· 이가옥 외, 「노인부양에 관한 연구」 한국보건사회 연구원, 1990.
· 손승영, “노인돌봄: 노인돌봄의 경험과 윤리”, 가족과 문화 제24집 1호, pp.212∼216
· 장세철 외, 『노인복지』, 교문사, 2006.
· 권중돈, 『노인복지론』, 학지사, 2005.
· 고수현 외, 『노인복지론』, 양서원, 2004.
· 여성가족부, 「2010년 제 2차 가족실태조사」.
· 인구주택총조사, 「2010인구주택총조사 전수집계」.
· 통계청, 「2012년 사회조사 보고서」.
· 통계청, 「2013 한국의 사회지표(인구, 가구와 가족)」.
· 양옥경, “가족문제와 사회안전망”. 한국사회복지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한국사회복지학회, 2004.
· 양정선, “가족의 변화, 어떻게 볼 것인가?”, 이슈브리프 제 28호,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 2011.
· 박병석, “한국의 가족복지제도의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2009.
· 통계청, 「2010 인구주택총조사」, 『인구주택총조사』, www.census.go.kr, 2010.
· 통계청, 「2009년 출생통계 결과 보도자료」, www.census.go.kr, 2010.
· UN, 「주요국가의 출산율 비교」, http://esa.un.org/, 2010.07.
· 통계청, 「2013한국의 사회지표 보도자료」, 2013.
· 통계청, 「장래인구추계」, 2012.12.
· 보건복지부, 「전국 결혼 및 출산 동향 조사」, 2013.11.14.
· 통계청, 「보도자료. 평균 초혼 연령 변화」, 2012.4.19.
· 통계청, 『2013년 출생통계(잠정), 국가승인통계 제10103호 출생통계』 2013.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국 출산력 및 가족 보건복지 실태조사」, 2013.11.25.
· 이삼식, 「최근의 결혼 및 출산 동향과 정책적 함의」, 『전국 결혼 및 출산동향 조사 결과보고회 및 학술세미나 자료집』,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9.
· 통계청, 「사교육비조사」, 각 년도.
· 통계청, 2002년 사회통계조사 결과(가족 복지 노동부문), 2002.
· 김미경·모선희·서윤, 「고령화 사회의 노인의 삶과 노인 부양 문제」, 『세미나 발표자료』, 충남여성정책개발원, 2003, pp.25~35.
· 김정석, 「노후생활에서의 성별 차이-경제적 차원을 중심으로」,『한국인구학』, 제26권1호, 2003, pp.59~77.
· 석재은, 「노령계층의 소득계층별 필요소득수준 연구」,『한국인구학』 ,제26권1호, 2003, pp.79~113.
· 조성남, 「노인부모부양에 관한 기혼자녀세대의 인식」, 『한국인구학』, 제29권 제3호, 2006, pp.139~157
· 김미숙, 「고령화에 따른 부양 경감을 위한 정책」, 『2004 노인복지정책학술대회 발표논문』, 한국노인학회, 2004.
· 변화순·송다영·김영란, 「가족 유형에 따른 생활실태와 복지 욕구에 관한 연구」, 『2001 연구보고서』, 한국여성개발원. 2001.
· 은기수·권태환, 「한국 유배우 여성의 인공임신중절의 실태 및 결정요인」, 『한국인구학』, 제25권1호, 2002, pp.5~32
· 양옥남 외, 『노인 복지론』, 학현사, 2005.
· 김근홍, 『노인복지와 르네상스』, 신정출판, 2010.
· 박광준, 『고령사회의 노인복지정책』, 현학사, 2004.
· 박광준 외 3인, 『노인복지의 정책과 과제』 ,양서원, 2010.
· 박석돈 외 3인, 『노인복지론』 삼우사, 2004.
· 한국임상사회사업학회, 『노인복지론』, 양서원, 2004.
· 서희영, 「가족구조의 시대변화에 따른 청소년-조부모의 친밀도와 노인부양의식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공공대학원, 2014.
· 황슬기, 「노인부양주체에 관한 의식 변화 연구 = (A)study on consciousness changes of supporting the elderly」, 한성대학교 행정대학원, 2013.
· 문지원, 「베이비붐 세대의 노인부양의식에 관한 연구 : 경제개발세대 및 X세대와의 비교분석 = Baby boomers' awareness of their support for the elderly in Korea : a comparative analysis with pre-baby-boomer generation and post-baby-boomer generation」, 가천대학교 보건대학원, 2013.
· 안지연·한은영, 「노인부양가구의 가족갈등에 대한 연구」, 『노인복지연구 =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통권61호 (2013. 가을), 한국노인복지학회, 2013, pp.267-290
· 강종훈·한혜원, 「노후는 스스로 책임져야? : 노년부양비 급상승… 젊은이 3명이 노인 1명 부양」, 『Midas』, 통권 108호, 연합뉴스 동북아센터, 2013, pp.96-97.
· 노원석, 「가족부양에 관한 한국노인과 자녀세대의 갈등 해결을 위한 의사소통 모델」,
· 『개신논집 =Journal for the study of reformed theology』 제10집, 개신대학원대학교 출판부, 2011, pp.257-2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