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조직후원인식(POS)연구에 대한 비판적 리뷰

본 연구는 조직후원인식(POS)에 대한 기존의 선행연구들을 분석하여 향후 POS의 연구방향 및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POS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수단적 측면(예: 금전적 제도) 뿐만 아니라 정서적 측면(예 :리더십)이 결과적으로 조직 유효성을 증대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Rhoades & Eisenberger(2002)의 메타분석(meta-analysis)결과와 국내외에서 연구되었던 조직후원인식에 대한 선행연구들을 고찰하였다. 이들 연구에 대한 분석을 기초로 하여 POS가 선행변수, 매개변수, 결과변수로 연구된 경우를 분석하여 향후 조직후원인식의 새로운 연구주제와 방향, 측정도구의 한계점에 대해 제시하였다.
18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14.02.14 최종저작일 2013.06
18P 미리보기
조직후원인식(POS)연구에 대한 비판적 리뷰
  • 미리보기

    소개

    본 연구는 조직후원인식(POS)에 대한 기존의 선행연구들을 분석하여 향후 POS의 연구방향 및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POS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수단적 측면(예: 금전적 제도) 뿐만 아니라 정서적 측면(예 :리더십)이 결과적으로 조직 유효성을 증대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Rhoades & Eisenberger(2002)의 메타분석(meta-analysis)결과와 국내외에서 연구되었던 조직후원인식에 대한 선행연구들을 고찰하였다. 이들 연구에 대한 분석을 기초로 하여 POS가 선행변수, 매개변수, 결과변수로 연구된 경우를 분석하여 향후 조직후원인식의 새로운 연구주제와 방향, 측정도구의 한계점에 대해 제시하였다.

    목차

    Ⅰ. 초록

    Ⅱ. 연구목적

    Ⅲ. 이론적 배경
    1. 개념
    2. 조직후원인식의 구성개념

    Ⅳ. 조직후원인식의 선행연구
    1. 조직후원인식의 선행변수에 관한 연구
    2. 조직후원인식과 리더-구성원 교환관계(LMX)

    Ⅴ. 연구결과 요약 및 향후 연구 방향
    1. 연구결과 요약
    2. 조직후원인식 연구의 한계
    3. 토의 및 시사점

    Ⅵ. 참고문헌

    Ⅶ. Abstract

    본문내용

    초 록

    본 연구는 조직후원인식(POS)에 대한 기존의 선행연구들을 분석하여 향후 POS의 연구방향 및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POS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수단적 측면(예: 금전적 제도) 뿐만 아니라 정서적 측면(예 :리더십)이 결과적으로 조직 유효성을 증대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Rhoades & Eisenberger(2002)의 메타분석(meta-analysis)결과와 국내외에서 연구되었던 조직후원인식에 대한 선행연구들을 고찰하였다. 이들 연구에 대한 분석을 기초로 하여 POS가 선행변수, 매개변수, 결과변수로 연구된 경우를 분석하여 향후 조직후원인식의 새로운 연구주제와 방향, 측정도구의 한계점에 대해 제시하였다.
    기존의 연구결과에 의하면, 자율, 승진기회, 역할 갈등 등 개인들의 직무 및 작업 환경에 대한 경험 혹은 인식들이, 조직후원인식의 주요한 선행 변수들로서 제시되었다. 또한 절차적 공정성, 상사와의 좋은 관계, 동료의 지지, 고용안정, 참여 등도 POS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LMX와 POS는 상사에 대한 호의적인 행동측면과 긍정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내고 있으며, 특히 리더십이론과 POS간의 선행연구가 매우 미흡하며 POS 의 측정도구의 타당성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노력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POS를 개인(상사)차원, 시스템차원, 조직문화 차원의 3가지 관점에서 향후 연구자들이 구분하여 연구할 필요성이 있다

    <중 략>

    본 연구에서 조직후원인식과 관련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조직후원인식의 선행 연구의 리뷰에 대한 가치를 지니고 있으며 추가적인 후속연구에 많은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특히, 노동시장에서는 자신이 고용상태가 안정적인가가 종업원들의 주요관심사 중의 하나이므로, 근로자들에게 고용안정이 아주 중요할 수 있기 때문이다. 만일 그렇다면, 고용안정 인식은 조직후원인식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이 가능성을 검증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참고자료

    · 김윤성,(2002). 조직시민행동, 조직몰입에 대한 지각된 조직적 지원의 선행요인과 매개효과에 관한 연구, 영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이재원,(2009). 종단적 분석을 통한 조직후원인식과 직무/작업 환경 변수인식 사이의 인과 관계 추정, 인사관리연구, 33(3), 159-185.
    · 서재현,(2000), 조직 공정성이 조직 후원인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상사에 대한 신뢰의 매개역할을 중심으로,” 경영학연구(한국경영학회), 29(3), 451-472.
    · Allen, M. W.(1992), Communicational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as a Mediating Factor, Communication Quarterly, 40, 357-367.
    · Allen, D., Shore, L. & Griffeth, R.(1999), A Model of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Unpublished manuscript, University of Memphis and Georgia State University.
    · Andrews, M. C., & Kacmar, K. M. (2001), Discriminating Among Organizational Politics, Justice, and Support,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22, 347-366
    · Armeli, S., Eisenberger, R., Fasolo, P., & Lynch, P. (1998).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and police performance: The moderating influence of socioemotional need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83(2), 288-297.
    · Bandura, A. (1977). Social learning theory. Englewood Cliffs, NJ: Prentice Hall.
    · Blau, P.(1964), Exchanges and Power in Social Life, New York: Wiley.
    · Eisenberger, R., Fasolo, P., Davis-LaMastro, V. (1990).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and employee diligence, commitment, and Innovation.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75(1), 51-59.
    · Eisenberger, R., Armeli, S., Rexwinkel, B., Lynch, P. D., and Rhoades, L.(2001). Reciprocation of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86: 42-51.
    · Eisenberger, R., Huntington, R., Hutchison, S. & Sowa, D. (1986).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71,500-507.
    · Eisenberger, R., Rhoades, L. & Cameron, J.(1999), Does Pay for Performance Increase or Decrease Perceived Self-Determination and Intrinsic Motiva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7, 1026-1040.
    · Fasolo, P. M.(1995), Procedural Justice and Perceived Organizational
    · Support: Hypothesized Effects on Job Performance, In R.S.Cropanzano, & K.M. Kacmar(Ed.), Organizational Politics, Justice, and Support, 185-195.
    · Hutchison, S. and Garstka, M. (1996). Sources of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Goal setting and feedback.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26: 1351. 1366.
    · Meyer, J. P., D. Stanley, L. Herscovitch, and L.Topolnytsky(2002), "Affective, Continuance and Normative Commitment to Organization:A Meta Analysis of Antecedents, Correlates, and Consequences,"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61(1), 20-52.
    · Rhoades, L., & Eisenberger, R.(2002),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A Review of the Literature,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87, 698-714
    · Setton, R. P., Bennett, N., & Liden, R. C. (1996). Social exchange in organizations: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leader-member exchange, and employee reciprocity.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81(3), 219-227.
    · Shore, L. M. & Tetrick, L. E. (1991). A construct validity study of the survey of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76(5), 637-643.
    · Shore, L. M. & Wayne, S. J. (1993). Commitment and employee behavior: Comparison of affective and continuance commitment with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78(5). 774-780.
    · Wayne, S. J., Shore, L. M., and Liden., R. C. (1997).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and leader-member exchange: A social exchange perspective.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40: 82.111.
    · Witt, L. A., M. C. Andrew, and D. S. Carlson(2004), "When Conscientiousness Isn.t Enough: Emotional Exhaustion and Performance among Call Center Customer Service Representatives,"h Journal of Management, 30(1), 149-160.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자료는 깊이 있는 분석과 명확한 설명이 잘 어우러져 있어 학습에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과제 작성 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었습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3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