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캠퍼스북
  • 파일시티 이벤트
  • LF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한국 고등학생의 학습 스타일에 따른 영문법 교수·학습 인식에 관한 연구

*선*
최초 등록일
2013.11.04
최종 저작일
2012.12
33페이지/한글파일 한컴오피스
가격 4,5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목차

Ⅰ.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1.2. 연구의 목적
1.3. 연구 문제
1.4. 연구의 제한점

Ⅱ. 이론적 배경
2.1. 영문법 교수·학습 이론
2.1.1. 영문법의 정의
2.1.2. 영문법 지도의 변천
2.1.3. 영문법 지도의 필요성
2.1.4. 영문법 지도의 방법
2.1.5. 국내 선행연구
2.2. 학습 스타일 이론
2.2.1. 학습 스타일의 정의와 종류
2.1.2. 학습스타일에 관한 국내·외 선행연구

Ⅲ. 연구방법
3.1. 연구 대상
3.2. 연구 방법 및 절차
3.2.1. 학습 스타일 설문지
3.2.2. 영문법 교수·학습 선호도 설문지
3.3. 자료 분석 방법

Ⅳ. 연구결과 및 논의
4.1. 고등학생의 학습 스타일 분석
4.2. 고등학생의 영문법 교수·학습 인식 분석
4.2.1. 영문법 학습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 비교
4.2.2. 영문법 학습의 정의적 태도에 대한 인식 비교
4.2.3. 영문법 학습 방법에 대한 인식 비교
4.3. 고등학생의 학습 스타일에 따른 영문법 교수·학습 인식 차이
4.3.1. 장독립-장의존형 학습 스타일에 따른 영문법 인식비교
4.3.2. 종합-분석형 학습 스타일에 따른 영문법 인식비교
4.3.3. 포괄-지엽형 학습 스타일에 따른 영문법 인식비교
4.4.4. 시각-청각-신체형 학습 스타일에 따른 영문법 인식비교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영문초록
부록
<표 목차>

<표 1> 문법 교육에 대한 찬반이론
<표 2> 연역적 지도와 귀납적 지도의 장·단점
<표 3> 명시적 학습과 암시적 학습 비교
<표 4> 학습 스타일 분류 및 특징
<표 5> 설문 대상자의 분류
<표 6> 학습 스타일 설문지 구성
<표 7> 영문법 교수·학습 설문지 구성
<표 8> 학습 스타일의 학년별 분포
<표 9> 학습 스타일의 수준별 분포
<표 10> 영문법 학습의 필요성
<표 11> 영문법 학습의 필요성에 대한 학년별 t검정 결과
<표 12> 영문법 학습의 필요성에 대한 수준별 일원변량분석 결과
<표 13> 영문법 학습의 필요성에 대한 수준간 Tukey 사후검증
<표 14> 영문법 학습에 대한 정의적 태도
<표 15> 영문법 학습에 대한 정의적 태도의 학년별 t검정 결과
<표 16> 영문법 학습에 대한 정의적 태도의 수준별 일원변량분석 결과
<표 17> 영문법 학습에 대한 정의적 태도의 수준간 Tukey 사후검증
<표 18> 영문법 학습 방법에 대한 인식
<표 19> 영문법 학습 방법에 대한 학년별 t검정 결과
<표 20> 영문법 학습 방법에 대한 수준별 일원변량분석 결과
<표 21> 장독립-장의존 학습 스타일에 따른 영문법 인식
<표 22> 종합-분석형 학습 스타일에 따른 영문법 인식
<표 23> 포괄-지엽형 학습 스타일에 따른 영문법 인식
<표 24> 시각-청각-신체 학습 스타일에 따른 영문법 인식
<표 25> 영문법 인식에 관한 시각-청각-신체 학습 스타일간 Tukey 사후검증

본문내용

Ⅰ.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영어교육에서 문법 교육은 시대에 따라 변해왔다. 영어교육 초기에는 문법-번역식 수업으로 정확성에 초점을 맞춘 문법 교육을 강조하였다. 하지만, 문법에 초점을 맞춘 영어교육은 오랜 기간 영어를 학습해도 실제로 쓰이지 못한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에 따라 1970년대 이후 영어 교육은 의사소통능력과 유창성을 강조하는 의사소통중심 교수법이 대두되었다. Krashen과 Terrell(1983)은 명시적 문법 지식(explicit grammar knowledge)은 감시 장치 역할에만 한정되어 있다고 하면서 문법교육에 대한 반대의견을 나타냈다. 하지만 유창성만을 강조하다보면 정확성이 결여되는 것은 사실이다. 이를 보완 수정하기 위해 Doughty와 Williams(1998) 그리고 Lee와 Valdman(2000)은 형태 초점 의미교수(Form-focused instruction)를 주장하였다. 이는 의사소통을 중심으로 하는 교실에서 체계적으로 언어 패턴들을 인식하고 사용하도록 가르치는 것으로, 문법 학습에 있어서 문법의 구조와 형태만을 따로 설명하며 패턴 연습을 시키는 것이 아니라 의사소통 상황 속에서 학습자는 과업을 수행함으로써 문법을 자연스럽게 습득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중 략>

유의한 차이를 보인 영역에서 <표 25>와 같이 Tukey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영문법이 읽기, 쓰기 능력의 향상을 위해 필요하다는 응답과 영문법을 학습하는 이유가 정확성이라는 응답, 연역적 수업의 선호부분에서 시각-신체간의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문법 패턴 연습의 필요성은 시각-청각, 시각-신체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즉, 시각적 학습자들은 신체적 학습자들이 비해 읽기 및 쓰기 영역에서 영문법 학습의 필요성을 느끼고, 영문법의 학습 이유는 정확성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또한, 연역적 수업을 선호하며, 문법의 패턴 연습의 필요성을 느끼는 것으로 결론지을 수 있다. 즉, 시각형 학습자들은 눈에 보이는 읽기 영역이나 쓰기영역에서 정확한 사용에 대해 고민하고, 이에 따라 영문법의 필요성을 느끼며, 시각적으로 잘 정리된 연역적 수업과 문법의 패턴 연습을 다른 학습자들에 비해 더 선호한다고 볼 수 있다.

참고 자료

강명희. (2005). 인지양식과 영어 학습 성취도와의 관계 연구. 미출간 석사학위 논문,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광주.
김진희. (2011). 학습스타일에 따른 연역적 문법지도의 효과에 대한 개인차 연구. 미출간 석사학위 논문,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서울.
민찬규. (2002). 형태 초점 의사소통 접근 방법: 교수법적 특징과 영어교육에의 적용 방안. Foreign Languages Education, 9(1), 69-87.
박영예. (1999). 대학생들의 학습전략, 학습스타일, 학습자 변인 간의 상관관계에 대한 분석. 영어교육, 54(4), 281-308.
박찬규. (2012). 대학생의 영문법 학습에 대한 인식도: 사례연구. 언어학연구, 24, 105-123.
신희재. (2011). 교양영어프로그램에서 영문법 교육의 필요성: 학습자의 인식을 중심으로. 현대영어교육, 12(1), 157-176.
염규을, 김귀석. (2010). 문법 제시 방법과 오류 정정에 대한 영어 학습자의 선호도. Studies in English Education, 15(2), 153-176.
윤선옥. (1991). 인지양식이 외국어 학습에 미치는 영향: 장독립성/의존성과 애매상황에 대한 관용성을 중심으로. 미출간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서울.
이경랑. (2008). 영어 학습 전략과 스타일에 대한 오해와 실제. 영어학, 8(4), 501-522.
이남희. (2003). 말하기 능력과 학습스타일 간의 상관관계. 영상영어교육, 4(2), 37-62.
이윤주. (2007). 영문법에 대한 학습자들의 인식 및 선호하는 교수법 연구. 석사학위 논문.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서울.
정현숙. (2008). 초, 중, 고등 및 대학생의 영문법 학습에 관한 인식. Foreign Languages Education, 15(2), 319-344.
조명원, 이홍수. (1991). 영어교육사전. 서울: 한신문화사.
조윤경. (2008). 영문법 교수·학습에 대한 중등 영어 교사 및 학습자 인식 조사. Foreign Languages Education, 15(2), 243-272.
함순애. (2005). 한국 대학생들의 학습 스타일이 영어학습전략 사용과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Foreign Languages Education, 12(1), 295-332.
홍세라. (2009). 한국 고등학교 학생들의 영어 학습스타일과 학습전략에 관한 연구. 미출간 석사학위 논문,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서울.
Bachman, L. (1990). Fundamental considerations in language testing.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Brown, H. (2007a). Principles of language learning and teaching(5th ed). White Plains, NY: Pearson Education.
Brown, H. (2007b). Teaching by principles: An interactive approach to language pedagogy(3rd ed). White Plains, NY: Pearson Education.
Canale, M. (1983). From communicative competence to communicative language pedagogy. In J. C. Richards & R. Schmidt(Eds.), Language and communication (pp. 2-27). London: Longman.
Canale, M., & Swain, M. (1980). Theoretical bases of communicative approaches to second language teaching. Applied Linguistics, 1(1), 1-47.
Cele-Murcia, M. (2001). Language teaching approaches: an overview. In M. Celce-Murcia(Ed.), Teaching English as a second or foreign language(3rd ed.) (pp. 3-11). Boston: Heinle & Heinle.
Chomsky, N. (1965). Aspects of the theory of syntax. Cambridge: MIT Press.
Claxton, C. S., & Murrell, P. H. (1987). Learning styles: Implication for improving educational practices. College Station, TX: Association for the Study of Higher Education.
Cohen, A. D., & Oxford, R. L. (2001). Learning Style survey for Young Learners: Assessing your own Learning Styles. [On-line]. Available from http://www.carla.umn.edu
Cronbach, L., & Snow, R. E. (1977). Aptitudes and instructional method: A handbook for research on interactions. Oxford: Irvington.
DeKeyser, R. (1998). Beyond focus on form: Cognitive perspective on learning and practicing second language grammar. In C. Doughty & J. Williams(Eds.), Focus on form in classroom second language acquisition (pp. 42-63).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Doughty, C., & Williams, J. (1998). Pedagogical choices in focus on forms. In C. Doughty & J. Williams(Eds.), Focus on form in classroom second language acquisition (pp. 197-261).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Dunn, R., Dunn, K., & Price, G. E. (1990). The learning style inventory. Lawrence, KS: Price Systems.
Ehrman, M., & Oxford, R. (1990). Adult language styles and strategies in an intensive training setting. The Modern Language Journal, 74(3), 311-327.
Ehrman, M., & Oxford, R. (1995). Cognition plus: Correlates of language learning success. The Modern Language Journal, 79(1), 67-89.
Eysenck, H. J. (1970). The structure of human personality. London: Methuen.
Garger, S., & Guild, P. (1984). Learning style: The crucial differences. Curriculum Review, 23, 9-12.
Keefe, J. W. (1979). Student learning styles: Diagnosing and prescribing programs. Reston, VA: National Association of Secondary School Principals.
Kim, S. (2003). Problems and needs in the secondary school "communicative" English classes. Korean Journal of Applied Linguistics, 19(1), 59-92.
Kinsella, K. (1995). Understanding and empowering diverse learns in ESL classroom. In J. M. Reid(Ed.), Learning styles in the ESL/EFL classroom (pp. 170-194). Boston: Heinle & Heinle.
Krashen, S. (1994). The input hypothesis and its rivals. In M. Ellis(Ed.), Implicit and explicit learning of language (pp. 45-77). London: Academic Press.
Krashen, S., & Terrell, T. (1983). The natural approach. New York: Pergamum.
Lee, H. J. (2005). A comparative study on the awareness of grammar instructional approach by EFL teachers and learners. English Teaching, 60(1), 69-96.
Lee, J., & Valdman. A. (2000). Form and meaning: Multiple perspectives. Boston: Heinle & Heinle.
Lee, K. (1998). The interaction between learning style and grammar instruction for Korean students of 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The University of Georgia, georgia.
Long, M. H. (1991). Focus on form: A design feature in language teaching methodology. In K. deBot, D. Coste. R. Ginsberge, & Kramsh(Eds.), Foreign language research in cross-cultural perspective (pp. 39-52). Amsterdam: Jon Benjamins.
Myers, I. B. (1962). The Myers-Briggs Type Iindicator. Palo Alto, CA. Consulting Psychologists Press.
Norris, J. M., & Ortega, L. (2000). Effectiveness of L2 instruction: A research synthesis and quantitative meta-analysis. Language Learning, 50, 417-528.
Oxford, R. L. (1993). Style analysis survey(SAS). Tuscaloosa, AL: University of Alabama.
Reid, J. M. (1987). The learning style preferences of ESL students. TESOL Quarterly, 21(1), 87-111.
Shaffer, D.E. (2011). Foreign language learner beliefs on grammar instruction. 한국외국어교육학회 2011년 학술대회 발표논문.
Spada, N. (1997). Form-focused instruction and second language acquisition: A review of classroom and laboratory research. Language Teaching, 30(2), 73-87.
Stebbins, C. (1995). Culture-specific perceptual-learning style preferences. In J. M. Reid(Ed.), Learning styles in the ESL/EFL classroom (pp.108-133). Boston: Heinle & Heinle.
Swain, M. (1985). Communicative competence: Some role of comprehensible input and comprehensible output in its development. In S. M. Gass & C. G. Madden(Eds.), Input in second language acquisition (pp. 235-255). Rowley, NJ: Newbury House.
Thornbury, S. (1999). How to teach grammar. Harlow: Longman.
Violand-Sanches, E. (1995). Cognitive and learning styles of high school students: Implications for ESL curriculum development. In J. M. Reid(Ed.), Learning styles in the ESL/EFL classroom (pp. 50-53). Boston: Heinle & Heinle.
*선*
판매자 유형Bronze개인

주의사항

저작권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한국 고등학생의 학습 스타일에 따른 영문법 교수·학습 인식에 관한 연구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