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대인, “남북 방송교류정책의 연원과 추진방향”, 방송연구 2001년 겨울호. 2001
· 김규창, 아동그림영화미술의 특성, 「조선예술」, 주체88 11호, 평양: 문학예술출판 사, 2000
· 김동규 외, 「실질적 통합 단계에서의 남북 문화예술 분야의 통합 방안」, 서울: 통일연구원, 2002
· 김현주, “북한 애니메이션의 특성과 활용에 대한 연구”, 경남대학교 북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 리현순, 「위대한 령도자 김정일동지의 사상리론: 문예학」, 평양: 사회과학출판 사, 1996
· 문화관광부, 「2004 문화정책백서」, 2005
· 방송위원회, “남북한 방송교류를 위한 정책 연구”, 2000
· 배성인, “북한 애니메이션을 활용한 남북한 문화 교류협력 방안”, 「문화정책논총」, 제17집, 한국문화광광정책연구원, 2005
· 서정남, 「서정남의 북한영화탐사」, 생각의 나무, 2002
· 서정남, “애니메이션을 통해 본 북한 아동문화 이해”, 「통일논총 제 18호」, 숙명 여자대학교 통일문제연구소, 2002
· 안기웅, “동심적지향을 생동하게 반영한 아동영화주제가”, 「조선예술」 주체 92(2003년) 제3호(평양: 문학예술출판사, 2003)
· 오양렬, "남북한 문예정책의 비교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1998
· 이용배, “북한 애니메이션의 현황과 남북교류 가능성에 대한 고찰”, 「만화애니메 이션 연구」, 제6권,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2002
· 이우승, “북한관련 방송프로그램 현황과 개선방안 연구”, 방송연구 2001년 겨울호, 한국방송개발원, 2001
· 이지은, “동물 소재의 애니메이션 캐릭터 수용에 관한 연구”, 「서울디자인포럼학 회 디자인학연구집」, 7권 2호,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01
· 장명희, “아동영화문학에서 맺어지는 극적인물관계”, 「조선예술」 주체88(1999년) 제12호(평양: 문학예술출판사, 1999),
· 장미진, 「북한의 아동영화 연구」, 한국문화정책개발원, 1995
· 전성우, "남북한 사회통합: 비교사회론적 접근", 민족통일연구원, 1997
· 조달원, “아동영화의 특성에 맞는 구성조직 몇가지”, 「조선예술」 주체91(2002년) 제9호(평양: 문학예술출판사, 2002)
· 통일부, 「2004통일백서」, 통일부 통일 정책실, 2004
· 최척호, 「북한영화사」, 2000
· 최척호, 「북한예술영화」, 신원문화사, 1990
· 한국문화정책개발원, “남북 문화교류협력사업의 진단과 전망”, 2002
· 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 「동북아 문화콘텐츠산업현황」, 2003
· 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 「디지털콘텐츠, 북한 디지털 산업을 주목하라」, 통권 제 134호, 2004.
· 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 “북한의 문화콘텐츠산업 실태와 교류협력 방안”, 2003
· 한국방송진흥원, “남북 영상교류 및 제작협력 활성화 방안 연구”, 2000
· 한국방송진흥원, “정상회담 이후 북한 관련 프로그램의 현황”, 한국방송진흥원, 2000
· 한국언론연구원, “남북한 언론 교류-현황과 활성화 방안”, 2000
· 한국언론재단, “북한 언론: 조직특성과 매체별 현황”, 2000
· 방송심의위원회 홈페이지(http://www.kbc.go.kr)
· 북한문화예술 홈페이지(http://www.nk-culture.re.kr)
· 통일부 홈페이지(http"//www.unikorea.go.kr)
· 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 홈페이지(http://www.locca.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