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대로(To the Lighthouse)』에 나타난 삶과 예술에 대한 비젼
- 최초 등록일
- 2011.12.10
- 최종 저작일
- 2011.06
- 10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500원

판매자blue*******
3회 판매

소개글
울프가 생각하는 삶의 본질과 의미가 잘 드러나 있으면서도, 그녀의 자전적 요소가 강하게 투영된 울프의 대표작
『등대로(To the Lighthouse)』. 이 작품 속에서 작가가 중점을 둔 램지 부인과 릴리의 관계를 통한 삶의 본질과 그 예술적 승화에 대해 생각해보았다.
목차
I. 서론
II. 본론
1. 램지 부인의 생명력
가. 상반된 세계의 대립과 갈등 속, 삶에 대한 태도와 이해
나. 조화를 통한 삶의 비젼 (빛나는 순간) 창조
2. 릴리의 삶의 본질에 대한 깨달음과 예술적 비젼
III. 결론
IV. 참고문헌
본문내용
I. 서론
‘진정한 삶의 본질이란 무엇인가?’ 이러한 삶에 대한 보편적 물음과 관련하여, 20세기 모더니즘 문학을 이끄는 선구자로 알려진, 버지니아 울프(Virginia Woolf, 1882~1941)는 인간의 내면세계에 관심을 기울이면서, 기존의 합리적이고, 도덕적인 면을 강조한 전통적 형식과는 다른 실험적인 기법을 시도하며 삶과 그 본질에 대한 문제를 깊이 있게 다룬 작가이다. 그녀는 복잡하고 시시각각 변하는 인간의 내면세계처럼, 삶 자체 또한 고정되어 있지도 ‘이것이다’라고 정의내릴 수 있는 것도 아니라고 생각하였다.
『등대로(To the Lighthouse)』는 울프가 생각하는 삶의 본질과 의미가 잘 드러나 있으면서도, 그녀의 자전적 요소가 강하게 투영된 울프의 대표작이다. 울프는 자신이 이 소설 속에서 담으려고 한 이야기에 대해 다음과 같이 밝혔다.
This is going to be fairly short; to have father`s character done complete in it; and mother`s; and St. Ives; and childhood ; and all the usual things I try to put in - life, death, etc. But the centre is father`s character, sitting in a boat, reciting We perished, each alone, while he crushes a dying mackerel.
<중략>
결론 중 일부..
이 작품은 전체적으로 상반되는 세계의 갈등을 통합적으로 인식하였던 램지 부인과 이를 예술적 승화로 이루어지게 하는 릴리의 관계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그녀는 램지 부부의 대조적 세계가 어느 하나의 부재로는 조화를 이룰 수 없다는 것, 현재의 삶에서 나타난 램지 부인의 죽음에 대한 회상을 통해 삶과 죽음 또한 분리될 수 없다는 것 등을 깨닫고, 죽은 램지 부인을 이해하는 과정 속에서 그림의 완성을 이루었다. 그리고 그림의 완성과 함께 자신의 삶 자체에 대한 완성도 달성하였다고 볼 수 있다. 울프는 릴리의 그림 창작과정을 통해 삶의 본질이 단순히 하나로만 이루어지는 것은 아닌 것이라는 소설의 주제를 보여주고 있다.
참고 자료
버지니아 울프, 박희진 저,『버지니아 울프』, 솔, 2004
태혜숙,『버지니아 울프』, 건국대학교출판부, 1996
김정,「버지니아 울프Virginia Woolf :『막간』에 멈추어 선 실험정신」,『20세기 영국소설의 이해 1』, 현대영미소설학회, 2002
김정,「그림을 그릴 수 없는 여자들 :『등대로』와 『각 성』을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인문과학연구소,《인문과학연구 4》, (1999): pp.85-1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