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71개
-
내시경 검사 및 시술2025.05.161. 내시경 정의 내장장기 또는 체강 내부를 직접 볼 수 있게 만든 의료 기구이다. 광학계를 함께 조작 할 수 있는 관을 장기에 삽입하고 기체 또는 액체로 내강을 부풀게 하면서 조진이나 사진촬영을 한다. 시진 뿐 만 아니라 생검 겸자를 써서 직시하에 생검이나 내강을 세정하여 세포진찰도 한다. 2. 내시경의 종류 1. 위내시경 (gastrofiberscopy : GFS) 2. 대장내시경 (colonofiberscope : CFS) 3. 초음파 내시경 (Endoscopic Ultrasound scopy : EUS) 4. 캡슐내시경(Ca...2025.05.16
-
간경화 환자의 출혈위험성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2025.11.131. 간경화와 출혈위험성 알코올성 간경화로 인한 간 기능 저하 및 문맥압 상승으로 식도정맥류 출혈 위험이 증가한 상태. 환자는 토혈, 반상출혈, 잇몸출혈 등의 증상을 보이며, 혈액검사에서 헤모글로빈 6.8g/dl, 혈소판 41(10^3/ul)로 감소되어 있음. 간경화로 인해 응고인자 합성이 저하되어 위장관출혈 위험이 높음. 2년 전 식도정맥류 출혈로 내시경적 정맥류 결찰술(EVL) 시행 과거력 있음. 2. 간호중재 및 약물치료 Terlipressin 4시간 간격 투여로 문맥압 감소 및 출혈 조절. 비선택적 베타차단제(Indenol)...2025.11.13
-
식도정맥류 출혈 응급실 간호과정2025.11.151. 식도정맥류 출혈(Esophageal Varix Bleeding) 식도 및 위 정맥의 수가 증가하고 크기가 커져서 정맥이 혹처럼 부풀어 오르는 질병이다. 간경변증 환자에서 간내 혈관 저항이 증가하여 문맥압항진증이 발생하고, 이는 과역동적순환에 의해 악화된다. 정맥류 미파열 시 무증상이나 파열 시 상부위장관 출혈로 흑색 혈변, 토혈, 빈혈 등의 임상증상을 보인다. 간경변증 환자의 주된 사망 원인이 되고 있으며, 내시경적 결찰술(EVL)이 1차 치료법으로 가장 효과적이다. 2. 응급실 간호사정 및 활력징후 모니터링 환자는 59세 여...2025.11.15
-
[식도정맥류] 간호과정2025.04.271. 식도정맥류 식도 정맥의 수와 크기가 증가하여 정맥이 혹처럼 부풀어 오른 상태로, 간경변증의 주요 합병증이다. 간의 문맥압이 높아지면 혈액이 간을 가지 못해 식도와 위장의 혈관으로 역류하게 되어 정맥류가 생성되고, 이 부위에서 압력이 높아지면 혈관벽이 터져 출혈이 발생한다. 식도정맥류의 출혈은 생명을 위협하는 응급상태로 심한 출혈과 출혈성 쇼크를 일으킬 수 있다. 2. 식도정맥류 증상 출혈이 없는 경우 증상이 나타나지 않으며, 경미한 출혈의 경우 흑색변(melena)이 나타나고, 심한 출혈의 경우 혈변(hematochezia)이...2025.04.27
-
식도정맥류파열 환자 응급간호 시뮬레이션2025.11.121. 식도정맥류 간경화로 인한 합병증으로 식도의 정맥이 비정상적으로 부풀어 오르는 질환입니다. 본 시나리오의 환자는 5년 전 간경화 진단을 받았고, 2년 전 식도정맥류 파열로 내시경 수술을 받은 과거력이 있습니다. 이번에 3일간 음주만 하고 약물을 복용하지 않아 재발하였으며, 토혈과 혈변 증상으로 응급실에 내원하였습니다. 식도정맥류 파열은 생명을 위협하는 응급상황으로 즉각적인 의료 개입이 필요합니다. 2. 응급간호 중재 식도정맥류 파열 환자의 응급간호에는 손위생, 활력징후 모니터링, 정맥주사 확보, 수액 투여, 약물 투여 등이 포함...2025.11.12
-
위장관 출혈의 원인, 증상, 진단 및 치료2025.11.121. 위장관 출혈(GI Bleeding) 위장관 출혈은 상부 위장관(위, 십이지장, 식도)과 하부 위장관(소장, 대장)에서 발생하는 출혈을 의미한다. 상부 위장관 출혈의 주요 원인은 위/십이지장 궤양, 식도 정맥류, 식도 열상 등이며, 하부 위장관 출혈은 대장 게실, 궤양성 대장염, 대장암 등이 원인이다. 증상으로는 토혈(hematemesis), 흑색변(melena), 혈변(hematochezia) 등이 있으며, 내시경 검사가 가장 정확한 진단 방법이다. 치료는 수액 공급, 약물 투여(넥시움), 필요시 수혈 등을 포함한다. 2. 식...2025.11.12
-
GI bleeding (상하부 위장관계 출혈) ppt2025.01.181. 상부 위장관 출혈의 원인 소화성 궤양, 미란성 위염 및 식도염, 식도 및 위정맥류, Mallory-Weiss 증후군 등이 상부 위장관 출혈의 주요 원인이다. 소화성 궤양이 약 50%로 가장 흔하며, 십이지장 궤양 29%, 위궤양 16%를 차지한다. 미란성 위염, 식도염, 십이지장염도 약 15~30%를 차지한다. 간문맥압 상승으로 인한 식도 및 위정맥류도 주요 원인이며, Mallory-Weiss 증후군은 식도와 위문부의 열상으로 인한 출혈이다. 2. 하부 위장관 출혈의 원인 하부 위장관 출혈의 주된 원인은 상부 위장관 출혈이다....2025.01.18
-
병원 임상, 내시경간호 컨퍼런스 PPT 발표자료(상부, 하부내시경, 취담도, 캡슐, GFS,CFS,ERCP)2025.01.121. 상부 소화기 검사 상부 소화기 검사는 내시경 카메라를 이용하여 식도, 위, 십이지장 등 상부 소화기관을 관찰하는 검사입니다. 검사 전 금식, 동의서 작성, 전처치 등의 준비가 필요하며, 검사 중 발생할 수 있는 합병증에 대해 환자와 보호자에게 충분한 설명이 필요합니다. 또한 BFS(기관지내시경), GFS(위내시경) 등 다양한 상부 소화기 검사 방법이 있으며, 내시경적 초음파(EUS), 내시경적 점막절제술(EMR), 내시경적 점막하 박리술(ESD), 내시경적 정맥류 결찰술(EVL) 등의 응용 기술도 소개되어 있습니다. 2. 하부...2025.01.12
-
간경변증 (Liver Cirrhosis) 문헌고찰2025.01.291. 간경변증의 정의 간경변증은 만성 간질환의 마지막 단계로 간세포의 손상에 대한 치유 반응으로 stellate cell이 콜라겐을 생성해 섬유질 변성 현상을 일으키게 되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만성적인 염증으로 인해 정상적인 간조직이 재생결절(regenerative nodules) 등의 섬유화 조직으로 바뀌어 간이 딱딱해지고 그로 인해 간기능이 저하되는 것을 의미한다. 2. 간경변증의 병인과 병태생리 만성 B형 간염이나 C형 간염, 과도한 음주, 비만, 간 독성 물질의 사용 등으로 간의 염증 상태등 모든 만성 간질환은 간경화를 유...2025.01.29
-
식도정맥류 간호과정 출혈 위험성 (진단5, 과정1)2025.01.291. 식도정맥류 출혈 위험성 대상자는 10년 전 alcoholic LC 진단을 받았고, 고혈압과 당뇨가 있는 상태입니다. 최근 식도정맥류 출혈로 내원하여 내시경 결찰술을 받았습니다. 간호사는 대상자의 활력징후, 출혈 징후, 검사 결과 등을 면밀히 사정하여 출혈 위험 요인을 파악하고, 수혈, 약물 투여, 환자 교육 등의 간호중재를 통해 출혈 예방 및 관리를 하고 있습니다. 1. 식도정맥류 출혈 위험성 식도정맥류 출혈은 매우 위험한 합병증으로, 적절한 관리와 치료가 필요합니다. 식도정맥류는 간경화 등의 질환으로 인해 문맥압이 상승하면서...2025.01.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