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위장관 출혈의 원인, 증상, 진단 및 치료
본 내용은
"
[성인간호학실습 A+] Gi bleeding/문헌고찰/상부위장관출혈/하부위장관출혈/hematochezia(혈변)/hematemesis(토혈)/Lc/SB-tube/Esophageal varix/TBL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2.14
문서 내 토픽
  • 1. 위장관 출혈(GI Bleeding)
    위장관 출혈은 상부 위장관(위, 십이지장, 식도)과 하부 위장관(소장, 대장)에서 발생하는 출혈을 의미한다. 상부 위장관 출혈의 주요 원인은 위/십이지장 궤양, 식도 정맥류, 식도 열상 등이며, 하부 위장관 출혈은 대장 게실, 궤양성 대장염, 대장암 등이 원인이다. 증상으로는 토혈(hematemesis), 흑색변(melena), 혈변(hematochezia) 등이 있으며, 내시경 검사가 가장 정확한 진단 방법이다. 치료는 수액 공급, 약물 투여(넥시움), 필요시 수혈 등을 포함한다.
  • 2. 식도 정맥류(Esophageal Varix)
    식도 정맥류는 간경화증으로 인한 문맥압 상승으로 식도 하부 점막하 정맥이 확장되고 구불구불해지는 질환이다. 파열 전까지는 무증상이지만 파열 시 심한 토혈을 일으킨다. 증상은 흑색변, 구토, 빈혈, 어지럼증 등이며, 상부 위장관 내시경으로 진단한다. 치료는 수혈, 내시경 정맥류 결찰술(EVL), SB튜브 삽입 등이 있으며, SB튜브는 풍선 확장을 이용해 출혈 부위를 압박하여 지혈한다.
  • 3. 간경변증(Liver Cirrhosis)
    간경변증은 지속적인 간세포 손상으로 인해 간에 흉터가 쌓이고 간 섬유화가 진행되는 질환이다. 주요 원인은 만성 B형 간염(70%), 알코올성 간염, 만성 C형 간염 등이다. 초기에는 증상이 없으나 진행되면 간의 비대, 피로감, 식욕부진, 황달, 복수 등이 나타난다. 주요 합병증은 문맥성 고혈압, 식도 정맥류, 복수, 간성 혼수 등이며, 진단은 임상 검사, 간 생검, 초음파, CT 검사 등으로 이루어진다.
  • 4. SB튜브(Sengstaken-Blakemore Tube) 삽입 및 간호
    SB튜브는 식도 정맥류 출혈 시 사용되는 기구로, 위와 식도에 위치한 두 개의 풍선으로 출혈 부위를 압박하여 지혈한다. 삽입 시 환자를 30도 이상 앉힌 후 윤활제를 바르고 50~55cm 이상 삽입하여 위 풍선에 200~250cc 공기를 넣는다. 유지 간호는 풍선 내 압력을 40mmHg 이상 넘지 않도록 1~2시간 간격으로 확인하고, 30도 거상 자세 유지, 2시간마다 구강 및 비강 간호를 시행한다. 제거 시 식도 풍선을 먼저 제거한 후 위 풍선을 제거한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위장관 출혈(GI Bleeding)
    위장관 출혈은 응급 의료 상황으로서 신속한 진단과 치료가 필수적입니다. 상부 위장관 출혈과 하부 위장관 출혈의 구분이 중요하며, 각각의 원인에 따라 치료 방법이 달라집니다. 내시경 검사를 통한 정확한 출혈 부위 파악과 지혈술이 현대 의료에서 가장 효과적인 치료법입니다. 환자의 혈역학적 안정성 유지를 위해 수액 요법과 수혈이 필요하며, 약물 치료도 병행됩니다. 위장관 출혈의 예방을 위해서는 원인 질환의 관리와 위험 인자 제거가 중요합니다. 특히 고령 환자나 기저 질환이 있는 환자에서는 더욱 주의 깊은 모니터링이 필요합니다.
  • 2. 식도 정맥류(Esophageal Varix)
    식도 정맥류는 간경변증으로 인한 문맥압 항진의 심각한 합병증으로, 파열 시 생명을 위협하는 대량 출혈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내시경 검사를 통한 조기 진단과 예방적 치료가 매우 중요합니다. 베타 차단제 투여, 내시경적 정맥류 결찰술, 경정맥 간내 문맥전신 단락술 등 다양한 치료 방법이 있으며, 환자의 상태에 따라 적절한 치료를 선택해야 합니다. 식도 정맥류 환자는 정기적인 추적 관찰과 예방적 치료를 통해 출혈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간 질환의 근본적인 치료와 함께 식도 정맥류 관리가 필요합니다.
  • 3. 간경변증(Liver Cirrhosis)
    간경변증은 만성 간질환의 최종 단계로서 간 기능의 심각한 손상을 초래하는 질환입니다. 알코올, 바이러스성 간염, 지방간 등 다양한 원인이 있으며, 조기 진단과 원인 제거가 질병 진행을 늦추는 데 중요합니다. 간경변증이 진행되면 복수, 식도 정맥류, 간성뇌증 등 심각한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현재로서는 간 이식이 유일한 근본적인 치료법이며, 약물 치료와 생활 습관 개선을 통해 증상을 관리합니다. 간경변증 환자의 삶의 질 향상과 생존 기간 연장을 위해서는 다학제적 접근과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수적입니다.
  • 4. SB튜브(Sengstaken-Blakemore Tube) 삽입 및 간호
    SB튜브는 식도 정맥류 파열로 인한 대량 출혈 시 응급 지혈을 위한 중요한 도구입니다. 튜브의 식도 및 위 풍선을 적절히 팽창시켜 정맥류를 압박함으로써 출혈을 조절합니다. 그러나 SB튜브는 일시적인 지혈 방법이므로 장기 사용은 피해야 하며, 삽입 후 내시경적 치료나 다른 정확한 치료법으로 전환해야 합니다. 간호 측면에서는 튜브 위치 확인, 풍선 압력 모니터링, 구강 및 비강 관리, 흡인 예방이 중요합니다. SB튜브 삽입 환자는 합병증 발생 위험이 높으므로 집중적인 모니터링과 세심한 간호가 필요하며, 환자의 불편감을 최소화하기 위한 심리적 지지도 중요합니다.
주제 연관 토픽을 확인해 보세요!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