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82개
-
인코텀즈 2010과 2020 비교 및 무역클레임 해결방법2025.01.251. 인코텀즈 2010과 2020 비교 인코텀즈는 국제 무역에서 사용되는 표준거래 조건의 집합으로, 국제상업회의소(ICC)에서 개발했다. 인코텀즈 2010과 2020의 주요 차이점은 조항 순서 변경, 사용자를 위한 설명문 도입, FCA 조건 변경, 운송 허용 기준 변경, DAT에서 DPU로의 명칭 변경, 보안 관련 의무의 명시적 할당 등이다. 이러한 변경 사항들은 국제 무역의 정세와 상황 변화에 맞추어 인코텀즈 규칙이 시대 흐름을 따라 계속해서 개정되는 과정에서 나타난 것들이다. 2. 인코텀즈 2020의 각 조건 인코텀즈 2020의...2025.01.25
-
구협회적하약관2025.01.231. 구협회적하약관 구협회적하약관은 1912년 8월 1일 F. P. A. Clause(단독해손부담보약관)가 런던 보험자협회에 의하여 채택되면서 영국 보험 시장에 최초로 사용되기 시작했습니다. 이후 시대적 요구, 관계법률의 제정 또는 개정, 특별한 사건에 따라 1958년과 1963년에 개정을 거쳐 오늘날까지 사용되고 있습니다. 구협회적하약관의 담보조건에는 전손담보조건, 단독해손부담보조건, 분손담보약관, 전위험 담보약관 등이 있으며, 각각의 특징과 보상범위가 다릅니다. 1. 구협회적하약관 구협회적하약관은 해상운송 계약에서 화주와 운송인...2025.01.23
-
Incoterms 2020의 개정특징과 주요내용2025.01.291. Incoterms 2020의 소개 2019년 9월 10일 국제상업회의소(ICC)에서는 인코텀즈 제8차 개정분 "인코텀즈2020"을 공표하였다. 인코텀즈 2020은 2020년 1월부터 시행되었다. 국제상업회의소에서 발간한 인코텀즈2020(Incoterms2020)은 "인코텀즈2020 소개문", "모든 운송방식용 규칙", "해상 및 내수로 운송방식용 규칙", "조항별 규칙 비교" 등의 4개 부문으로 구성되어 있다. 2. Incoterms 2020 소개문 인코텀즈2020의 주요 개정에는 소개문도 포함이 되는데 인코텀즈2020에서 소...2025.01.29
-
무역대금결제 관련 선적서류2025.01.181. 선하증권 선하증권(Bill of Lading, B/L)이란 화주와 선박회사 간에 해상운송계약에 의하여 선박회사가 발행하는 유가증권이다. 즉 선주가 자기 선박에 화물을 적재하였음을 증명하고 이 화물을 도착항에서 수화인 또는 그 지시인에게 인도할 것을 약정한 유가증권이다. 선하증권은 B/L상에 기재된 화물에 대한 권리를 화체하는 것으로서 B/L의 인도 및 이서(endorsement)에 의해 화물에 대한 소유권이 이전된다. 2. 상업송장 송장(invoice)이란 수출업자가 작성하여 수입업자에게 보내는 선적안내서, 선적화물의 계산서 ...2025.01.18
-
해상운송2025.01.201. 해상운송의 의의 및 특징 무역은 서로 다른 국가에 거주하는 당사자 간에 행하여지는 물품의 매매로 수출업자는 어떤 물품을 외국에 있는 수입업자에게 인도하고 수입업자는 그것에 대하여 대금을 지급하는 것을 내용으로 한다. 따라서 이러한 이전과 대금결제가 가능하기 위해서는 매매물품을 수입업자의 수중까지 운반할 운송수단이 필요조건이다. 해상운송은 육상운송이나 항공운송에 비해 대량운송이 가능하고 경제성이 있으며 원거리의 국제운송에 적합한 특성을 지니고 있다. 2. 해상운송의 형태 해상운송은 선박의 운항형태에 따라 정기선박운송과 부정기선박...2025.01.20
-
선하증권의 개념, 선하증권 발행과 배서, 선하증권 수리요건2025.01.291. 선하증권의 개념 선하증권(Bill of Lading : B/L)은 운송서류 중에서 가장 중요한 서류로서, 송하인과 수화인이 물품의 인도. 인수를 위하여 물품운송의 임무를 맡은 선박회사가 송하인의 청구에 의하여 발행하는 운송서류를 말한다. 선하증권은 선박회사가 물품을 수령한 것을 확인한 후, 양륙항에서 그 선하증권의 소지인에게 선하증권과 교환하여 물품을 인도할 것을 약속한 수령증이며, 선박회사와 화주간의 운송계약서이다. 2. 선하증권의 법적 성질 선하증권은 증권면에 기재된 물품의 소유권을 표창하고 있어, 선하증권을 유상으로 취득...2025.01.29
-
인코텀즈 20202025.01.161. 인코텀즈 2020 변경사항 인코텀즈 2020에서는 CIF와 CIP 간 부보수준의 차별화, DAT 삭제 및 DPU 신설, FCA에서의 본선적재의무 후 선적식 선하증권 발행의무, FCA, DAP, DPU 및 DDP 조건에서 매도인 또는 매수인 자신의 운송수단에 의한 운송 허용 등의 변경사항이 있었다. 2. 인코텀즈 2020의 매도인과 매수인의 의무 인코텀즈 2020에서는 위험의 이전과 비용의 분담이 가격을 결정하고 보험을 누가 들지를 판단하는 데 중요한 기준이 된다. 매도인과 매수인은 사고로 인해 발생할지도 모르는 손해에 대비하기...2025.01.16
-
해상보험증권2025.01.271. 해상보험증권 해상보험증권은 계약조건이 CIF나 C&I 등으로 되어 있을 때 보험자(보험회사)가 피보험자(수출업자)의 청구에 의해서 발행하는 것으로 양도 가능한 유통증권이다. 보험서류에는 보험증권(insurance policy)과 보험증명서(certificate of insurance) 및 부보각서(cover note) 등이 있으며, 보험증권에는 예정보험증권(open policy)과 확정보험증권(definite policy)이 있다. 보험증권은 선하증권과 마찬가지로 원본이 수통씩 발행되며, 그 중 1통에 의하여 보험채무가 이행되...2025.01.27
-
항공 및 복합운송2025.01.221. 항공운송 항공운송은 야행성, 편도성, 비계절성, 신속성 등의 특성을 가지고 있다. 항공운송의 장점으로는 수송기간 단축, 재고비용 절감, 양호한 수송조건 등이 있다. 항공운송에서는 항공화물운송대리점과 혼재업자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 항공화물운송장은 화물 유통을 보장하는 기본적인 운송서류이다. 2. 복합운송 복합운송은 두 가지 이상의 운송수단을 결합하여 화물을 운송하는 방식이다. 복합운송인이 전체 운송구간에 대한 책임을 지며, 복합운송증권을 발행한다. 대표적인 복합운송경로로는 시베리아 랜드브리지와 미니 랜드브리지가 있다. 1. 항...2025.01.22
-
해상운송의 의의와 유형, 해상운송계약의 형태2025.01.281. 해상운송의 의의 해상운송(carriage by sea)은 해상에서 선박을 이용하여 다른 사람의 화물이나 사람을 운송하고, 그 대가로 운임을 받는 상업활동을 말한다. 해상운송의 특징은 대량수송이 가능하고 경제성이 있으며 원거리의 국제운송에 적합하다. 2. 해상운송의 형태 해상운송은 선박의 운항형태에 따라 정기선운송, 부정기선운송, 특수전용선운송으로 구분된다. 정기선은 정해진 항로를 따라 규칙적으로 운항하며, 부정기선은 화물이나 항해에 제약 없이 화주가 요구하는 시기와 항로에 선복을 제공한다. 특수전용선은 특정한 화물을 운송할 목...2025.01.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