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96개
-
[심장내과] 심장내과 의료진이 알아두면 좋은 주요 의학용어(약어) 와 용어 설명2025.01.081. 부정맥 & 심전도 부정맥과 관련된 주요 용어들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PAC(심방조기수축), PVC(심실조기수축), AT(심방빈맥), PSVT(발작성 상심실성 빈맥), VT(심실빈맥), VF(심실세동) 등의 용어와 정의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2. 심장 전도 및 구조 이상 심장의 전도 및 구조 이상과 관련된 용어들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AV block(방실차단), SA block(동방차단), BBB(각차단), LVH(좌심실비대), RAD(우측 편위), LAD(좌측 편위), WPW(Wolff-Parkinson-White) 증후군 등...2025.01.08
-
CPR 시 심전도 및 응급약물2025.01.141. 심전도 심전도에는 무수축(Asystole), 무맥성전기활동(PEA), 심실세동(Ventricular fibrillation, V.fib), 무맥성 심실 빈맥(pulseless VT, pVT) 등 다양한 리듬이 있습니다. 각각의 특징과 대응 방법이 다르므로 정확한 진단이 중요합니다. 2. 에피네프린 에피네프린은 제세동에 반응하지 않는 모든 심정지 환자에게 투여하는 약물입니다. 3-5분마다 1mg씩 정맥 투여하며, 정맥로 확보가 어려운 경우 기관내로 투여할 수 있습니다. 다른 약물과 병용 시 주의가 필요합니다. 3. 아트로핀 아트...2025.01.14
-
[성인간호학] Emergency cart - 약물 정리2025.01.041. 심폐소생술 중 투여되는 약물 심폐소생술 중 투여되는 주요 약물은 에피네프린, 바소프레신, 아트로핀입니다. 에피네프린은 말초혈관을 수축시켜 관상동맥과 뇌 관류압을 높이고, 바소프레신은 혈관 수축을 유발하여 말초 혈관 저항을 증가시킵니다. 아트로핀은 부교감신경을 차단하여 서맥, 저혈압 등을 치료합니다. 2. 항부정맥제 심실세동 환자에게 제세동에 반응하지 않을 경우 아미오다론을 투여할 수 있습니다. 아미오다론은 제세동 성공률을 높일 수 있습니다. 리도카인은 심실의 조기 수축을 억제하는 역할을 합니다. 3. 심근 수축력 및 혈압 조절...2025.01.04
-
통합간호실습 보건의료팀 협력 보고서2025.05.101. 보건의료팀 협력 보건의료팀 간에 업무 수행과 관련된 협력이 잘 된 상황에 대해 자세히 진술하였습니다. SDH 진단받은 환자의 BP가 불안정하다가 점점 떨어지면서 에피네프린 투여하였지만, 돌아오지 않았고, 간호사 선생님 한 분이 가슴압박 시행하였습니다. 다른 간호사 선생님이 Ambu-bagging 시행하였고, 또 다른 간호사 선생님이 arrest 상황으로 연락하였습니다. 간호사 선생님께서 응급카트에 있는 CPR 보드를 깔고, 가슴압박 지속적으로 시행하였습니다. 인턴 선생님 3분이 오셔서 가슴압박을 2분마다 교대하면서 시행하였고,...2025.05.10
-
심장내과 간호사가 반드시 알아두어야 할 주요 주사제2025.01.021. 강심제 강심제에는 디지탈리스(Digitalis)와 도부타민(Dobutamine)이 있습니다. 디지탈리스는 심근 수축력을 증가시켜 심박출량을 늘리고 비정상적인 심장 박동수를 조절하는 데 사용됩니다. 도부타민은 심장 질환이나 수술로 인해 수축력이 저하된 심부전 환자의 단기 치료에 사용됩니다. 2. 혈관확장제 혈관확장제에는 이소소르비드(Isosorbide)가 있습니다. 이소소르비드는 심부전, 협심증 등의 치료에 사용됩니다. 3. 칼슘채널차단제 칼슘채널차단제에는 딜티아젬(Diltiazem)과 니카르디핀(Nicardipine)이 있습니...2025.01.02
-
성인간호학_VSIM Carl Shapiro 보고서2025.01.221. 심근경색 환자는 약 3시간 전부터 흉통, 발한, 숨가쁨을 호소하여 응급실에 내원하였다. 초기 심장 박동은 82회/분으로 나타났으며, ECG 결과 전방 심근 경색이 있는 동 리듬이었다. 약 9분 후 심실세동이 발생하면서 심장 박동이 측정되지 않았다. 심폐소생술과 제세동기 사용 후 자발순환이 회복되었다. 심근경색으로 인한 심실세동은 신속한 처치가 필요한 응급상황이며, 골든타임 내에 심장 기능을 회복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2. 심폐소생술 심실세동 발생 시 신속한 CPR과 제세동기 사용이 필요하다. 흉부 압박은 분당 100-120회로...2025.01.22
-
심혈관계(협심증, 심근경색, 부정맥) 진단 및 치료2025.05.081. 심장의 구조 및 기능과 역할 심장은 근육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약 250-300g의 무게와 12cm 크기를 가지고 있다. 심장의 주요 기능은 노폐물 제거와 산소 및 영양분 공급으로, 분당 70-100회 박동하며 하루 10만 번 박동한다. 심장은 우심방, 좌심방, 우심실, 좌심실로 구성되어 있으며, 반월판, 방실판막으로 이루어져 있다. 심장벽은 심내막, 심근, 심외막의 3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심장을 둘러싼 혈관에는 동맥, 정맥, 모세혈관이 있으며, 관상동맥이 심장 조직에 혈액을 공급한다. 심장의 전기전달체계는 동방결절, 방실결...2025.05.08
-
A+ [성인간호학실습] CSICU 흉부외과중환자실 승모판협착증 Case study(케이스스터디) 사례보고서2025.05.071. 승모판 협착증 승모판 협착증은 대게 류마티스성 심내막염에 의해 발생되는데, 섬유화와 석회화에 의해 판막이 두꺼워지는 것이다. 류머티스열은 승모판 협착증의 가장 흔한 원인이다. 공업국가에서는 승모판 협착증 환자의 대부분이 선천성 기형으로 발생한다. 승모판 협착증에서 판막의 첨판은 융합되고 딱딱해지고 건삭은 수축하여 짧아진다. 판막이 좁게 열리면 좌심방에서 좌심실로 가는 정상혈류가 방해를 받는다. 이러한 변화로 좌심방압이 증가하고 좌심방이 확장되며, 폐동맥압은 상승하고 우심실비대가 나타나게 된다. 2. 심방세동 심방세동은 심방의 ...2025.05.07
-
순환기내과 중환자2025.05.041. 심장수술 관상동맥 우회술(CABG)은 관상동맥이 막힌 경우 혈관부위를 우회하여 혈관을 이식함으로써 혈액을 공급하는 수술적 방법이다. 수술 후 간호에는 기도개방성, 폐 상태, 활력징후, I/O 모니터링 등이 포함된다. 합병증으로는 혈역동학적 불안정성, 급성신부전, 호흡기계 감염 등이 있다. 2. 심장의 감염 심내막염은 심장 가장 안쪽 막의 염증으로 세균성 감염에 의해 발생한다. 증상으로는 미열, 오한, 피로, 호흡곤란 등이 있으며 진단을 위해 심초음파, ECG, 혈액검사 등이 필요하다. 치료는 항생제 요법과 함께 심장 기능 지지...2025.05.04
-
심방세동 간호사정, 간호과정2025.04.281. 심방세동 심방세동은 여러 개의 이소성 전기충동 발생으로 심방의 전기적 활동이 완전히 무너지는 것이 특징이며 그 결과 심방의 효과적 전도가 상살하는 것이다. CAD, 판막 심장질환, 심근병증, 고혈압성 심장질환, 심부전, 심낭염 같은 기존의 심장질환이 있는 환자에게 보통 발생한다. 갑상선 중독증, 알코올 중독, 카페인 사용, 전해질 불균형, 스트레스, 심장 수술과 같은 요인에서 급성으로 발생하기도 한다. 심방세동은 심박출량 감소를 유발하여 혈액정체를 일으켜 심방에서의 혈전 생성 가능성을 높인다. 색전화된 혈전은 뇌를 지나면서 뇌...2025.04.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