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장내과] 심장내과 의료진이 알아두면 좋은 주요 의학용어(약어) 와 용어 설명
본 내용은
"
[심장내과] 심장내과 의료진이 알아두면 좋은 주요 의학용어(약어) 와 용어 설명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1.12
문서 내 토픽
  • 1. 부정맥 & 심전도
    부정맥과 관련된 주요 용어들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PAC(심방조기수축), PVC(심실조기수축), AT(심방빈맥), PSVT(발작성 상심실성 빈맥), VT(심실빈맥), VF(심실세동) 등의 용어와 정의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 2. 심장 전도 및 구조 이상
    심장의 전도 및 구조 이상과 관련된 용어들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AV block(방실차단), SA block(동방차단), BBB(각차단), LVH(좌심실비대), RAD(우측 편위), LAD(좌측 편위), WPW(Wolff-Parkinson-White) 증후군 등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 3. 심장 판막 질환
    심장 판막 질환과 관련된 용어들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TR(삼첨판 역류), MR(승모판 역류), AR(대동맥판막 역류), RAE(우심방비대), LAE(좌심방비대) 등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 4. 심장 기능 및 압력
    심장의 기능 및 압력과 관련된 용어들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EF(박출률), RVSP(우심실수축기압력), RAP(우심방압력) 등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 5. 심장 질환
    다양한 심장 질환과 관련된 용어들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CAD(관상동맥질환), MI(심근경색), HF(심부전), DVT(심부정맥혈전증), PE(폐색전증), PVD(말초혈관질환), SSS(동기능부전) 등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 6. 심장 검사 및 시술
    심장 검사 및 시술과 관련된 용어들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TTE(경흉부 심초음파), TEE(경식도 심초음파), ECG(심전도), ABI(발목상완지수), CAVI(심장발목혈관지수), CAG(관상동맥조영술), PCI(관상동맥중재술), PPM(영구 심박동기), TPM(임시 심박동기), TAVI(경피적대동맥판막치환술), AVR(대동맥판막치환술), RFCA(고주파전극도자절제술), ICD(삽입형 제세동기), CABG(관상동맥 우회술) 등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부정맥 & 심전도
    부정맥은 심장의 정상적인 리듬이 깨지는 것을 말합니다. 이는 심장 근육의 전기적 활동에 문제가 생겨 발생하며, 심장이 불규칙하게 뛰거나 빨리 뛰는 등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심전도는 이러한 부정맥을 진단하는 데 가장 중요한 검사 방법입니다. 심전도를 통해 심장의 전기적 활동을 기록하고 분석하여 부정맥의 유형과 원인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부정맥은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으며, 심장 질환, 약물 부작용, 스트레스 등이 주요 요인입니다. 따라서 부정맥이 발생하면 정확한 진단과 함께 원인 파악이 중요하며, 이를 바탕으로 적절한 치료와 관리가 필요합니다.
  • 2. 심장 전도 및 구조 이상
    심장은 복잡한 전도 시스템을 가지고 있어 심장 근육의 수축과 이완을 조절합니다. 이 전도 시스템에 문제가 생기면 심장의 구조와 기능에 이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예로 방실 차단, 심방 세동, 심실 세동 등의 부정맥이 있습니다. 또한 선천성 심장 질환이나 후천성 심장 질환으로 인해 심장 구조가 변형되어 심장 기능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 심초음파, 심장 MRI 등의 검사를 통해 정확한 진단이 필요하며, 약물 치료, 시술, 수술 등의 적절한 치료가 요구됩니다. 심장 전도 및 구조 이상은 심각한 합병증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조기 발견과 적극적인 관리가 중요합니다.
  • 3. 심장 판막 질환
    심장 판막 질환은 심장 판막의 구조적 또는 기능적 이상으로 인해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대표적인 심장 판막 질환으로는 판막 협착, 판막 역류, 판막 탈출증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질환은 심장 기능을 저하시켜 심부전, 부정맥, 혈전 등의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심장 판막 질환은 선천성 또는 후천성으로 발생할 수 있으며, 노화, 감염, 류마티스 열 등이 주요 원인입니다.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심초음파, 심장 CT, 심장 MRI 등의 검사가 필요하며, 증상의 정도와 진행 상태에 따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