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2,909개
-
[기본간호학] 요로감염과 간호사의 역할2025.05.111. 요로감염 요로감염은 전체 병원 감염의 35-40%를 차지하며, 의료비용의 낭비, 입원 기간의 연장, 도뇨관 장차기간의 연장, 만성요로감염으로 진행, 배뇨능력 손상, 환자의 불편감 증가 등의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요로감염 예방을 위한 도뇨 환자의 감염관리 간호는 간호사의 중요한 역할이며, 특히 유치도뇨를 대부분이 삽입하고 있는 환자의 도뇨관 관리를 간호사의 필수적 간호 항목으로 보다 수준 높은 지식과 실천이 요구된다. 2. 유치도뇨관 관리 유치도뇨관 관리체계에는 의료종사자에게 유치도뇨관 관련 요로감염 예방을 위한 지침...2025.05.11
-
신규간호사 교육 매뉴얼_세척, 멸균, 소독2025.05.111. 세척 세척은 적절한 소독이나 멸균을 위한 필수요건으로 의료기관에서는 세척에 대한 규정을 수립하고 규정에 따라 실시하며 이를 모니터링 한다. 세척 시 일반적 주의사항, 기계세척 시 주의사항 등이 포함된다. 2. 소독 소독 시 제품의 사용설명서 확인, 소독 대상 물품의 접촉, 소독제 관리, 자동세척소독기 관리 등의 주의사항이 포함된다. 3. 멸균 멸균 방법의 선택, 기구 멸균 및 소독방법, 멸균물품의 포장, 적재, 확인, 멸균기 관리, 멸균 실패 시 관리, 멸균물품의 보관 등이 포함된다. 4. 소독과 멸균 시 주의사항 사용한 기구...2025.05.11
-
[A+자료] 표준주의 지침(정의, 격리 및 역격리, 표준주의 적용사례기반 분석)2025.04.281. 표준주의 지침 표준주의는 의료기관 내에서 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모든 처치와 술기, 간호를 하는데 가장 기본적인 지침이다. 표준주의지침은 모든 환자에게 적용되며, 병원 내에서 감염원으로 인지하거나 인지하지 못한 모든 미생물의 전파를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이다. 환자와 병원직원 사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의료관련감염의 전파 예방을 위해 적용되기도 한다. 표준주의 권고사항에는 일반원칙, 호흡기 예절, 환자의 이동과 배치, 치료장비와 기구관리, 환경관리 등이 포함된다. 2. 공기매개주의 공기매개주의란 비말핵이 수증기화 된 물방울이나 먼지...2025.04.28
-
간호관리학 케이스2025.05.101. 감염관리 환자에게 접촉주의가 필요한 반코마이신 내성 장알균 감염증이 발생했다. 간호사들이 개인보호구를 착용하지 않고 환자 병실에 들어가며, 손위생을 수행하지 않는 등 부적절한 감염관리 행동을 보였다. 이로 인해 다른 환자와 간호사들에게 감염이 전파될 수 있는 상황이 발생했다. 2. 간호관리 간호사들의 부적절한 감염관리 행동은 의료관련감염 표준예방지침을 준수하지 않은 것으로, 이를 개선하기 위해 주기적인 교육, 손위생 및 개인보호구 착용 수행, 병실 내 물품 배치 확인, 병실 출입 기록 작성, 접촉주의 환자 병실의 청소 및 소독...2025.05.10
-
병원 내 손위생 수행률 지표 정의 및 결과 보고2025.01.031. 손위생 수행률 지표 이 자료는 병원 내에서 의료관련 감염 예방을 위해 손위생 수행을 관찰하고 분석하여 직원들과 공유하고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손위생 수행률을 유지하고 증진시키기 위한 지표 정의서와 지표 결과 보고서입니다. 지표 정의서에는 지표 명, 대상 기간, 지표 선정 배경, 지표 관리 부서, 지표 정의, 지표 목표, 분석 방법, 지표 성과 공유 등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지표 결과 보고서에는 지표 정의, 목표 설정, 자료 수집 및 분석 방법, 지표 결과 분석(행위별, 부서별, 전체 손위생 수행률, 손소독제 사용량 등), 향후 ...2025.01.03
-
간호학개론(나의 전문직 비전_감염관리간호사)2025.05.141. 감염관리 전문간호사 코로나19 유행으로 인해 감염관리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감염관리 전문간호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감염관리 전문간호사는 의료 관련 감염의 발생을 감시하고 관리하며, 유행 예방과 관리, 의료기관 환경 관리, 감염관리 정책 개발 등 다양한 업무를 수행합니다. 이들은 높은 수준의 전문지식과 의사결정 능력이 요구되며, 타 부서와의 협업이 중요합니다. 하지만 과다한 업무와 인식 부족으로 인한 스트레스도 큰 편입니다. 감염관리 전문간호사는 1980년대 중반부터 발전해왔으며, 최근 의료법 개정으로 인해 그 수...2025.05.14
-
손위생 교육 ppt2025.05.061. 손위생 정의 손위생은 의료기관 내에서 미생물의 주된 전파원인 손을 통한 의료관련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 손위생의 수행을 철저히 수행함으로써 의료감염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입니다. 손위생에는 손소독, 손마찰, 외과적 손위생 등 감염예방을 위하여 손을 위생적으로 관리하는 행동을 포함합니다. 2. 손위생 방법 손위생 방법에는 물과 비누로 손을 씻는 방법과 알코올 손소독제를 사용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물과 비누로 손을 씻는 경우 40초 이상 손 전체를 비누로 마찰하고 물로 헹구며, 일회용 타월로 건조시킵니다. 알코올 손소독제를 사용...2025.05.06
-
간호관리학 QI(간호 질 향상)활동 계획서, 손씻기2025.01.241. 감염예방을 위한 손 위생의 중요성 및 실천도 개선 고령화 사회에서 노인 환자의 증가와 의료 관련 감염 예방을 위해 손 위생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손 씻기는 감염병 예방에 가장 효과적이고 경제적인 방법으로, 올바른 손 씻기 실천을 통해 감염 질환 발병률을 크게 낮출 수 있다. 따라서 의료진과 환자, 보조 인력의 손 위생 실천도를 높이기 위한 다양한 교육과 모니터링, 환경 개선 등의 활동이 필요하다. 1. 감염예방을 위한 손 위생의 중요성 및 실천도 개선 손 위생은 감염 예방을 위해 매우 중요한 부분입니다. 손을 통해 다양한...2025.01.24
-
병원 내 감염을 일으키는 다제내성 원내 감염균의 종류와 감염관리 방법2025.05.161. MRSA (메티실린내성황색포도알균) MRSA(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aureus)는 메티실린(Oxacilline)이나 베타락탐계 항생제에 내성을 나타내는 황색 포도알균으로, 1961년 영국에서 처음 보고되었다. MRSA는 mecA 유전자가 암호화하는 PBP2a 단백을 만들어 베타락타메제에 안정한 항균제에 내성을 나타낸다. 국내에서는 1976년 5% 정도였던 MRSA 비율이 1990년대 초부터 60~70%의 비율을 유지하고 있으며, 중환자실에서는 95.7%가 MRSA로 나타났다. 2. V...2025.05.16
-
기본간호학 감염관리 레포트2025.05.041. 병원 내 감염 관리 병원 내 감염은 입원 당시에는 없었던 감염이 입원 기간 중에 발생하는 감염으로, 의료 관련 감염이라고도 불린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감염 전파 경로에 따른 적절한 주의(precaution)가 필요하며, 최근에는 다각적 전략(bundle approach)이 권고되고 있다. 2. 다재내성균의 감염 관리 중환자실에 입원한 CRAB 보균자로 인해 다른 환자들에게 CRAB가 전파되었다. 이에 대해 적극적 감시 배양 검사, 환자의 코호트 격리, 손 위생 증진 등의 감염 관리 중재 전략을 시행하여 유행을 종식시켰다....2025.05.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