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86개
-
긴 QT 증후군 (Long QT Syndrome, LQTS)2025.04.281. 긴 QT 증후군 (Long QT Syndrome, LQTS) 긴 QT 증후군(LQTS)은 심전도(ECG)에서 QT 간격이 길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근 재분극 장애입니다. 이 증후군은 생명을 위협하는 심장 부정맥인 다형성 심실성 빈맥(Torsades de Pointes, TdP)의 위험 증가와 관련이 있습니다. 주요 증상으로는 심계항진, 실신, 발작 및 심장 돌연사가 있습니다. LQTS는 선천성과 후천성으로 구분되며, 선천성 LQTS는 유전자 돌연변이로 인해 발생하고 후천성 LQTS는 약물 부작용, 전해질 불균형 등으로 인...2025.04.28
-
심혈관계(협심증, 심근경색, 부정맥) 진단 및 치료2025.05.081. 심장의 구조 및 기능과 역할 심장은 근육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약 250-300g의 무게와 12cm 크기를 가지고 있다. 심장의 주요 기능은 노폐물 제거와 산소 및 영양분 공급으로, 분당 70-100회 박동하며 하루 10만 번 박동한다. 심장은 우심방, 좌심방, 우심실, 좌심실로 구성되어 있으며, 반월판, 방실판막으로 이루어져 있다. 심장벽은 심내막, 심근, 심외막의 3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심장을 둘러싼 혈관에는 동맥, 정맥, 모세혈관이 있으며, 관상동맥이 심장 조직에 혈액을 공급한다. 심장의 전기전달체계는 동방결절, 방실결...2025.05.08
-
소아 응급 처치: 소아 소생술 및 심폐소생술2025.01.141. 소아 심장정지의 생존사슬 소아 심장정지에서 기본소생술은 자발순환의 회복 및 생존율에 가장 큰 영향을 주며, 심장정지의 예방이 중요하다. 심장정지의 생존사슬은 심장정지의 인지 및 구조 요청으로 시작하지만, 심장정지의 예방이 선행되어야 한다. 영아 심장정지의 주원인은 호흡부전, 영아돌연사증후군 등이지만, 1세가 넘은 소아 심장정지의 가장 흔한 원인은 외상이다. 따라서 환경에 대한 적절한 관리 및 생활습관의 변경으로 소아의 심장정지의 상당 부분은 예방할 수 있다. 2. 일반인을 위한 소아 기본소생술 소아와 성인의 심장정지 원인은 차...2025.01.14
-
[성인간호학 실습 A+] 확장성 심근병증 간호과정 (심박출량 감소, 가스교환 장애)2025.05.041. 심근병증 심근병증이란 심근의 구조적, 기능적 능력에 일차적으로 영향을 주는 질병을 총칭하는 용어로 심장근육 장애이다. 특별한 원인 없는 심실확대와 기능저하가 특징이며, 확장성 심근병증, 비대성 심근병증, 제한성 심근병증의 3가지 유형으로 분류된다. 2. 확장성 심근병증 병태생리 확장성 심근병증은 좌우 심실과 심방이 모두 확장되며 심근수축력 저하로 좌우 심실부전이 유발된다. 확장기말 용적과 수축기말 용적이 모두 증가하고 좌심실 박출률이 지속적으로 감소하여 심박출량이 감소한다. 3. 확장성 심근병증 주요 증상 임상적으로 울혈성 심...2025.05.04
-
선천성 심장기형의 대표적인 임상적 결과와 CHD아동의 간호2025.01.241. 동맥관 개존증 동맥관 개존증 환자의 주요 증상은 잦은 상기도 감염, 운동 시 호흡곤란, 피로감, 심계항진, 전신 쇄약감, 심부전 등이다. 청진 소견에서는 91.8%의 환자에서 연속성 기계성 심잡음이 들렸고, 나머지 8.2%에서는 수축기성 심잡음만이 관찰되었다. 흉부 X-선 검사에서는 70.5%에서 심비대가, 75.4%에서 양측 폐혈관 음영의 증가가 있었다. 심전도 검사 결과, 51.7%에서 좌심실 비대가 관찰되었고, 3.3%에서는 우심실 비대, 9.8%에서는 양측 심실 비대가 나타났다. 2. 심실중격결손 심실중격결손 환자의 주...2025.01.24
-
심부전, 심장근육질환2025.04.281. 심부전 합병증 심부전의 주요 합병증인 급성 폐부종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급성 폐부종은 폐간질강과 폐포 내에 비정상적으로 액체가 저류되어 발생하는 응급상황으로, 대부분 좌심부전의 최종 합병증입니다. 원인은 좌심실 기능 저하로 인한 폐정맥압 상승과 폐모세관 정수압 증가로 인한 것입니다. 증상으로는 가벼운 기침으로 시작하여 급속히 진행되는 호흡곤란, 거품이 많은 분홍색 객담, 청색증, 빈맥 등이 나타납니다. 진단은 흉부 X선 촬영과 PCWP 측정으로 하며, 치료는 산소 공급, 이뇨제 투여, 혈관확장제 사용 등의 집중 관리가 필...2025.04.28
-
응급간호 간호술 적용 보고서(KALS)2025.05.111. 전문심폐소생술 전문 심폐소생술의 치료는 심정지의 예방과 치료에 목적을 두고 있으며, 심정지 대상자의 기도관리, 호흡 환기 보조, 서맥성 부정맥과 빈맥성 부정맥의 치료를 포함한다. 심정지 환자의 치료 과정은 심장 상태의 신속한 인지와 응급의료체계의 활성화, 신속한 심폐소생술, 신속한 제세동 및 약물치료를 동반한 자발순환 회복, 전문기도 처치와 생리적 모니터링이 수반되어야 한다. 2. 심정지 후 치료 심정지로부터 자발순환이 회복된 후에는 여러 장기의 기능장애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통합치료가 필요하다. 통합치료에는 기도확보, 적절한...2025.05.11
-
분담주제 Cardioversion & Defibrillation2025.01.281. Cardioversion (심장율동전환) 심방세동, 심방조동, 심방빈맥 등의 부정맥을 정상 율동으로 전환하고, 정상적인 전도체계를 회복하기 위해 시행하는 시술입니다. 부정맥이 발생하면 심박동의 전기적 자극이 불규칙하게 발생하는데, 이러한 심장에 직류 전기 충격을 가해 심장의 리듬을 재시작하도록 하는 원리입니다. 전기량은 부정맥의 종류에 따라 다르게 적용됩니다. 2. Defibrillation (제세동) 제세동은 심장마비를 일으키는 치명적인 부정맥을 정상으로 되돌리는 전기적인 치료 방법을 말합니다. 심장마비가 일어나면 전기적 자...2025.01.28
-
성인간호학 심근경색 정리, 부정맥과 약물2025.05.031. 심근경색증 심근경색증은 심해지면 심부전으로 발전할 수 있으며, 대부분 원인이 불명확하다. 진단 후 5년 이내에 50%가 심한 심부전으로 사망할 수 있다. 병태생리는 지속적인 심근의 스트레스로 인한 심실 확대이며, 중년층의 남자에게 많이 나타난다. 증상으로는 피로와 허약감이 있다. 치료와 간호로는 내과적 관리와 외과적 관리가 있다. 2. 비후성 심근병증 비후성 심근병증은 심실벽이 비후되고 경직되어 좌심실의 용적이 감소하는 질환이다. 사춘기 후나 청년기에 증상이 나타나며, 증상 없이 살 수도 있고 갑자기 사망할 수도 있다. 치료와...2025.05.03
-
태아 부정맥(정의, SVT, AF, CAVB)2025.01.031. 태아 심장 부정맥 태아 심장 부정맥은 전체 임신의 1%에서 발생하며, 태아 심장박동수의 서맥이나 빈맥이 갑작스럽게 나타나는 특징을 보입니다. 이소성 조기수축, 상실성빈맥, 방실차단 등의 부정맥이 있으며, 임상적으로 중요한 경우가 많습니다. 지속적인 상실성빈맥으로 이어지는 기외수축도 관찰될 수 있습니다. 치료는 항부정맥제인 Digoxin, Flecainide, Sotalol, Amiodarone 등을 사용하지만, 모체와 태아에 미칠 수 있는 부작용에 주의해야 합니다. 2. 상실성 빈맥(SVT) 상실성 빈맥(SVT)은 기외수축으로...2025.0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