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선천성 심장기형의 대표적인 임상적 결과와 CHD아동의 간호
문서 내 토픽
-
1. 동맥관 개존증동맥관 개존증 환자의 주요 증상은 잦은 상기도 감염, 운동 시 호흡곤란, 피로감, 심계항진, 전신 쇄약감, 심부전 등이다. 청진 소견에서는 91.8%의 환자에서 연속성 기계성 심잡음이 들렸고, 나머지 8.2%에서는 수축기성 심잡음만이 관찰되었다. 흉부 X-선 검사에서는 70.5%에서 심비대가, 75.4%에서 양측 폐혈관 음영의 증가가 있었다. 심전도 검사 결과, 51.7%에서 좌심실 비대가 관찰되었고, 3.3%에서는 우심실 비대, 9.8%에서는 양측 심실 비대가 나타났다.
-
2. 심실중격결손심실중격결손 환자의 주요 증상은 빈번한 상기도 감염, 운동 시 호흡곤란, 발육부전, 심계항진 등이다. 이학적 검사에서는 앞가슴 돌출, 전신 상태 불량, Down 증후군 특유의 신체적 특징, 간 비대, 경정맥 돌출 등이 관찰된다. 청진 결과 대부분의 환자에게서 심잡음이 들리며, 동반된 기형에 따라 심잡음의 종류와 패턴이 달라진다. 흉부 X-선 소견에서는 심비대와 폐혈관 음영의 증가가 자주 관찰되며, 심도자 검사에서는 폐고혈압이 동반된 경우가 있다.
-
3. 심방중격결손심방중격결손 환자의 주요 증상은 운동 시 호흡곤란(64.0%), 빈번한 상기도 감염(43.8%), 청색증(10.1%), 피로감(7.9%) 등이다. 청진 소견에서는 모든 환자에게서 좌측 흉골연 3~4늑간 부위에서 수축기 심잡음이 청진되며, 67.4%는 해당 부위에서 진전이 느껴졌다. 심도자 검사 결과, 평균 단락 비율은 2.7로 나타났으며, 폐혈관 저항도는 평균 0.13으로 대부분 낮은 저항을 보였다. 흉부 X선 소견에서는 대부분 환자(68.5%)에서 심흉비가 0.5 이하로 나타났다.
-
4. 폐동맥 협착폐동맥 협착 환자의 주요 증상은 운동 시 호흡곤란, 빈번한 상기도 감염, 심계항진, 흉통, 청색증 등이다. 이학적 검사에서는 모든 환자에게 흉골 좌측 2~3늑간에서 수축기 심잡음이 있었으며, 16명은 Thrill이 느껴졌다. 혈액학적 검사에서는 청색증이 있었던 환자 1명의 혈색소가 18g%였고, 다른 2명은 10g% 이하였다. 흉부 X선 소견에서는 76%에서 심장 비대 소견이, 65%는 폐혈관 분포의 감소를, 71%에서는 폐동맥의 협착 이후 확장 소견이 발견되었다.
-
5. 울혈성 심부전울혈성 심부전 환자는 빈맥, 부적절한 발한, 소변량 감소, 피로, 허약감, 안절부절못함, 식욕부진, 창백함, 냉감 등의 증상을 보인다. 폐에 혈액이 정체되면 빈호흡, 호흡곤란, 기좌호흡, 기침, 쉰 목소리, 청색증, 천명음, 그르렁거리는 호흡음이 나타난다. 체정맥 울혈로 인해 체중 증가, 간비대, 부종, 복수 등이 발생할 수 있다. 간호 중재로는 반좌위 또는 복위 자세 유지, 불필요한 자극 최소화, 보조환기 도입, 산소 공급, 체액 섭취 제한, 고칼로리 영양 공급 등이 있다.
-
1. 동맥관 개존증동맥관 개존증은 태아 시기에 동맥관이 정상적으로 닫히지 않고 개방된 상태로 남아있는 선천성 심장 질환입니다. 이로 인해 동맥혈과 정맥혈이 섞여 폐로 가는 혈액량이 증가하고 전신 순환에 필요한 혈액량이 감소하게 됩니다. 이는 호흡곤란, 빈맥, 성장 지연 등의 증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조기 진단과 적절한 치료가 중요하며, 약물 치료나 수술적 치료를 통해 동맥관을 폐쇄시켜 정상적인 혈액 순환을 회복시킬 수 있습니다. 동맥관 개존증은 선천성 심장 질환 중 가장 흔한 질환 중 하나이며, 조기 발견과 적극적인 치료로 대부분의 환자들이 정상적인 생활을 할 수 있습니다.
-
2. 심실중격결손심실중격결손은 심장의 두 개의 심실 사이에 구멍이 생기는 선천성 심장 질환입니다. 이로 인해 산소가 풍부한 혈액과 산소가 부족한 혈액이 섞이게 되어 폐로 가는 혈액량이 증가하고 전신 순환에 필요한 혈액량이 감소하게 됩니다. 이는 호흡곤란, 피로감, 성장 지연 등의 증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경우 자연적으로 결손이 작아지거나 닫히지만, 크기가 크거나 증상이 심한 경우에는 수술적 치료가 필요합니다. 수술적 치료를 통해 결손을 폐쇄시켜 정상적인 혈액 순환을 회복시킬 수 있습니다. 심실중격결손은 선천성 심장 질환 중 가장 흔한 질환 중 하나이며, 조기 발견과 적절한 치료로 대부분의 환자들이 정상적인 생활을 할 수 있습니다.
-
3. 심방중격결손심방중격결손은 심장의 두 개의 심방 사이에 구멍이 생기는 선천성 심장 질환입니다. 이로 인해 산소가 풍부한 혈액과 산소가 부족한 혈액이 섞이게 되어 폐로 가는 혈액량이 증가하고 전신 순환에 필요한 혈액량이 감소하게 됩니다. 이는 호흡곤란, 피로감, 성장 지연 등의 증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경우 자연적으로 결손이 작아지거나 닫히지만, 크기가 크거나 증상이 심한 경우에는 수술적 치료가 필요합니다. 수술적 치료를 통해 결손을 폐쇄시켜 정상적인 혈액 순환을 회복시킬 수 있습니다. 심방중격결손은 선천성 심장 질환 중 비교적 흔한 질환이며, 조기 발견과 적절한 치료로 대부분의 환자들이 정상적인 생활을 할 수 있습니다.
-
4. 폐동맥 협착폐동맥 협착은 폐동맥 밸브 또는 폐동맥 근위부에 협착이 발생하여 폐로 가는 혈액 흐름이 원활하지 않은 선천성 심장 질환입니다. 이로 인해 우심실의 압력이 증가하고 폐혈관 저항이 높아져 폐 순환이 원활하지 않게 됩니다. 이는 호흡곤란, 피로감, 청색증 등의 증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경증의 경우 약물 치료로 증상을 관리할 수 있지만, 중증의 경우 수술적 치료가 필요합니다. 수술적 치료를 통해 협착 부위를 확장시키거나 새로운 밸브를 삽입하여 정상적인 혈액 순환을 회복시킬 수 있습니다. 폐동맥 협착은 선천성 심장 질환 중 비교적 드문 질환이지만, 조기 발견과 적절한 치료로 대부분의 환자들이 정상적인 생활을 할 수 있습니다.
-
5. 울혈성 심부전울혈성 심부전은 심장의 펌프 기능이 저하되어 혈액 순환이 원활하지 않은 상태를 의미합니다. 이로 인해 폐와 전신 순환에 필요한 혈액량이 부족해지고, 이는 호흡곤란, 부종, 피로감 등의 증상을 유발합니다. 울혈성 심부전의 원인은 다양하며, 대표적으로 관상동맥 질환, 고혈압, 판막 질환, 심근병증 등이 있습니다. 초기에는 약물 치료로 증상을 관리할 수 있지만, 진행된 경우에는 수술적 치료나 심장 이식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울혈성 심부전은 심각한 질환이지만, 조기 발견과 적절한 치료로 대부분의 환자들이 증상을 관리하며 생활할 수 있습니다. 또한 생활 습관 개선과 지속적인 관리가 중요합니다.
선천성 심장기형의 대표적인 임상적 결과와 CHD아동의 간호 아동간호학
본 내용은 원문 자료의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11.01
-
선천성 심장기형의 임상적 결과와 CHD아동의 간호1. 선천성 심장기형의 임상적 결과 선천성 심장기형의 대표적인 임상적 결과에는 빈호흡, 빈맥, 청색증, 부정맥, 수유곤란, 심장비대, 수포음 등이 있다. 울혈성 심부전은 심장의 구조적 결손으로 인해 혈류량과 압력이 증가하면서 발생하며, 관리를 위해 자세 조절, 산소 공급, 약물 투여 등이 필요하다. 저산소혈증은 헤모글로빈 수치, 빈혈 등의 요인으로 발생하며...2025.01.13 · 의학/약학
-
[아동간호] 선천성 심장 기형의 대표적 임상 결과 & CHD아동의 간호1. 선천성 심장기형의 대표적인 임상적 결과 선천성 심장기형의 대표적인 임상적 결과로는 심부전, 저산소혈증 등이 있다. 심부전은 심장이 신체의 대사 요구만큼 적절한 양의 혈액을 전신순환으로 보내지 못하는 것으로, 용적 과부화, 압력 과부화, 심근 수축력 저하, 심박출 요구량 증가 등이 원인이 될 수 있다. 저산소혈증은 동맥혈의 산소분압이 정상보다 낮게 나타...2025.01.29 · 의학/약학
-
선천성 심장기형의 대표적인 임상적 결과와 CHD아동의 간호1. 울혈성 심부전 울혈성 심부전(congestive heart failure)은 신체의 대사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충분한 압력으로 적절한 양의 혈액을 박출하지 못하는 심장의 기능 부전이다. 아동의 심부전은 심장 내의 혈류량과 압력을 증가시키는 심장의 구조적 기형(예: 중격결손)에 의해 이차적으로 발생한다. 또한 심실의 수축력 장애를 일으키는 심근의 기...2025.01.15 · 의학/약학
-
선천성 심장기형의 대표적인 임상적 결과와 CHD아동의 간호 아동간호학 5페이지
선천적 심기형 (CHD) 의 대표적인 임상적 결과와 CHD 아동의 간호1) 울혈성 심부전 (congestive heart failure)울혈성 심부전(congestive heart failure)은 신체의 대사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충분한 압력으로 적절한 양의 혈액을 박출하지 못하는 심장의 기능 부전이다. 아동의 심부전은 심장 내의 혈류량과 압력을 증가시키는 심장의 구조적 기형(예: 중격결손)에 의해 이차적으로 발생한다. 또한 심실의 수축력 장애를 일으키는 심근의 기능부 전에 의해 발생할 수 있으며, 심근 장애, 리듬장애 또는 ...2024.05.20· 5페이지 -
선천성 심장기형의 대표적인 임상적 결과와 CHD아동의 간호 11페이지
아동간호학[선천성 심장기형의 대표적인 임상적 결과와 CHD아동의 간호]1. 선천성 심장기형의 대표적인 임상적 결과선천심장병(congenital heart disease)은 심장이나 대혈관들의 결함 또는 출생 후에도 지속되는 태아구조를 의미한다. 대부분의 선천심장병들은 임신 첫 8주 동안에 생긴다. 태아의 약물 노출, 임부의 고령, 염색체 이상과 같이 유전인자와 환경인자가 합쳐져서, 또는 이들의 상호작용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 선천성 심장병은 청색증의 존재뿐만 아니라 병태생리와 혈류역학에 따라 다음 3가지로 분류된다. ① 폐혈류량...2025.02.24· 11페이지 -
[아동간호] 선천성 심장 기형의 대표적 임상 결과 & CHD아동의 간호 8페이지
[선천성 심장기형의 대표적인 임상적 결과와 CHD아동의 간호]1. 선천성 심장기형의 대표적인 임상적 결과1) 심부전: 심장이 신체의 대사 요구만큼 적절한 양의 혈액을 전신순환으로 보내지 못하는 것? 원인- 용적 과부화: 좌우 단란 시 혈류량 증가를 보상하기 위해 우심실 비대해짐- 압력 과부화: 판막협착이나 대동맥 협착과 같은 폐쇄성 질환에 의함- 심근 수축력 저하: 심근의 수축력에 영향을 미치는 질환 (ex) 심한 빈혈, 심근증- 심박출 요구량 증가: 심장이 감당할 수 있는 수준 이상의 혈액 공급을 요구할 때 (ex)패혈증, 갑상선...2024.12.22· 8페이지 -
선천성 심장기형의 임상적 결과와 CHD아동의 간호 5페이지
1) 흔하게 나타나는 임상증상1)① 빈호흡(안정 시 60~100회/분)은 폐부종의 첫 번째 증상이다. ② 심박출량 감소에 대한 보상작용으로 빈맥(160~180회/분)이 나타난다. ③ 부족한 관류로 인해 중심성 혹은 말초 청색증이 나타난다. ④ 울혈성 심부전으로 인한 부정맥이 나타난다. ⑤ 수유곤란: 수유를 마치는데 40분 이상 걸릴 수 있다. ⑥ X선 영상에서 심장비대를 관찰할 수 있다. ⑦ 높은 음의 수포음과 낮은 음의 수포음이 들린다. 2) 울혈성 심부전2)(1) 울혈성 심부전의 기전3)좌심실에서 적절한 양의 혈약을 전신 혈관에...2024.04.10· 5페이지 -
선천성 심장기형의 대표적인 임상적 결과와 CHD아동의 간호 7페이지
선천성 심장기형의 대표적인 임상적 결과와 CHD아동의 간호학번/이름과목아동간호학담당 교수님제출 날짜2024.10.31선천적 심기형 (CHD) 의 대표적인 임상적 결과와 CHD 아동의 간호1) 울혈성 심부전 (congestive heart failure)울혈성 심부전(congestive heart failure)은 심장이 신체의 대사 요구에 적절한 양의 혈액을 전신순환으로 보내지 못하는 것이다. (1-1)▶ 울혈성 심부전의 병태생리? 우심부전 (right-sided failure)우심실의 기능이 저하된다. 우심실의 이완기말압이 증가하...2024.12.11· 7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