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893개
-
[응급 A+] 보건의료팀간 협력관계 관찰보고서(낭만닥터 김사부)2025.04.261. 응급실 내원 환자 처치 45세 남자가 공사장 붕괴 사고로 우측 복부 관통 손상을 입고 응급실로 내원했다. 응급실 도착 시 BP는 정상이었지만 맥박이 130이었고 대량 출혈은 없었다. 선배 의사는 복강내출혈을 우려해 FAST 검사와 맥박 정상회복을 지시했다. 그러나 철근이 빠져나가면서 출혈이 심해지고 BP가 떨어져 수혈 처방을 내렸다. 의사와 간호사는 거즈와 붕대로 출혈 부위를 막고 Intubation과 Ambu bag으로 산소를 공급했다. 이후 복부를 절개하고 끊어진 동맥을 찾아 출혈을 막았다. 2. 보건의료팀의 역할 - 간호...2025.04.26
-
성인 브이심 Vsim 시나리오1 (Surgical Case 1 Marilyn Hughes)의 5단계와 6단계 답변2025.05.091. 통증 평가 환자는 붕대가 너무 꽉 조이는 것 같다고 하였으며, 통증을 1~10으로 표현하면 약 8점으로 매우 나쁘다고 답하였다. 통증의 위치는 왼쪽 다리이며, 누군가 다리를 만지면 더 아파진다고 하였다. 약을 먹어도 통증이 나아지지 않는다고 하였다. 2. 신경혈관 평가 환자의 왼쪽 아래 다리가 창백하고 피부가 시원하며 땀을 많이 흘린다. 왼쪽 발가락에 연장된 모세혈관 재충전이 있다. 발가락을 움직일 수 없고 감각이 없다. 왼쪽 족부맥박은 없었다. 3. 활력징후 변화 통증으로 인해 초반에 ECG는 동성 빈맥, 심박수 105회/분...2025.05.09
-
CPR 기록2025.01.081. 심폐소생술 기록 이 문서는 심폐소생술 과정에 대한 상세한 기록입니다. 환자의 심장리듬 변화, 약물 투여, 기관삽관, 인공호흡기 적용 등 CPR 전반에 걸친 내용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의식 없음, 청색증, 맥박 촉지 불가 등의 증상으로 심정지가 발생했으며, 의료진의 신속한 대응과 처치로 자발순환회복(ROSC)에 성공한 것으로 보입니다. 이러한 상세한 기록은 향후 의료 실무와 교육에 활용될 수 있을 것입니다. 1. 심폐소생술 기록 심폐소생술 기록은 매우 중요한 의료 기록입니다. 이 기록은 응급 상황에서 환자의 상태와 처치 과정을 ...2025.01.08
-
CPR 기록2025.01.051. 심폐소생술 기록 이 문서는 심폐소생술 과정에 대한 상세한 기록입니다. 환자의 상태가 무의식이며 청색증이 있어 도움을 요청했습니다. 심장박동과 맥박이 촉지되지 않아 심장마사지를 시작했고, 제세동기와 산소 공급을 요청했습니다. 심전도 모니터링 결과 무수축 또는 무맥성 전기활동 리듬이 확인되어 계속해서 심장마사지를 시행했습니다. 정맥로를 확보하고 에피네프린을 투여했으며, 기관 삽관과 인공호흡기 적용 등의 처치를 진행했습니다. 이후 자발순환회복이 되었고, 진정제와 근이완제 투여, 승압제 투여 등의 처치를 계속했습니다. 1. 심폐소생술...2025.01.05
-
(A+자료) 성인간호학 전해질불균형 요점정리 (최대 효율 암기 가능)2025.05.051. 저나트륨혈증 저나트륨혈증의 범위는 135mEq/l 이하이며, 주요 원인으로는 항이뇨호르몬 부적절 분비 증후군(SIADH), 수분 부족, 구토, 설사, 발한, 화상, 회장루, 상처나 배액관 있는 환자, 위장관계 흡인 환자, 애디슨병 환자, 금식상태에서 정맥 수액 받는 환자, 이뇨제 사용, 알도스테론 결핍, 신장질환, 암, 울혈성 심부전, 간경화증, 신부전 등이 있다. 증상으로는 쇼크, 오심, 구토, 설사, 장음 증가, 복부경련, 근육허약, 이완기혈압 감소, 빈맥, 체위성 저혈압, 약한 맥박, 혈압 상승, 강하고 빠른 맥박, 호흡...2025.05.05
-
<기본간호학> 기초지식 모음2025.01.071. 활력징후 성인의 정상 활력징후 수치는 체온 36.1~37.2°C, 맥박 60~100회/분, 호흡 12~20회/분, 혈압 수축기 90~140mmHg, 이완기 60~90mmHg입니다. 체온 측정 시 부위에 따른 정상 범위와 측정 시간이 다르며, 구강 체온 측정이 금기인 경우가 있습니다. 맥박은 다양한 부위에서 측정할 수 있으며, 맥박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 있습니다. 호흡에도 영향을 주는 요인이 있습니다. 2. 감염관리 외과적 무균법은 모든 미생물과 아포를 완전히 제거하는 멸균 상태를 유지하는 방법입니다. 감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2025.01.07
-
말초혈관계 사정2025.05.011. 말초혈관계 사정 김 00 님의 시진 결과 - 하지 상승시 창백한 양상: 2+, CRF: 4초 소요. Trendelenburg 검사: 우측 종아리 안쪽에서 울퉁불퉁하게 정맥이 부풀어 오름. 발목 부위 정맥 침착으로 보라색과 파란색 피부 관찰됨. 촉진 결과 - 족배 동맥과 후경골 동맥에 1+, 가냘픈 맥박으로 50회/분, 호만씨 징후검사시에 종아리 부위에 통증을 느낌, 우측 종아리에 부종이 육안으로 보이며, 요흔성 부종이 있음. 구불구불한 정맥이 촉진됨. 다리-팔 지수 0.79로 경증도 수준. 김 00 님의 사정 결과 하지 정맥류...2025.05.01
-
동기능부전증후군 사례연구보고서2025.01.281. 동기능부전증후군 동기능부전증후군은 동방결절에 장애가 생겨서 심박동이 느려져 여러 증상이 나타나는 증후군입니다. 맥박이 느려지는 것이 보통이지만 일시적으로는 맥박이 없어져서 의식이 없어지기도 합니다. 발생 원인으로는 심장의 전기 발전기인 동결절이 노화함에 따라 발생하는 섬유화 변성, 전해질 불균형, 자율신경계 긴장도 변화 등이 있습니다. 이외에 유전적 질환, 심근경색 등의 허혈성 심질환, 선천성 심질환, 심근증, 심장판막 질환 등이 있으며, 여러 약물에 의해 이 질환이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1. 동기능부전증후군 동기능부전증후군...2025.01.28
-
성인간호학실습 사전과제_ 중환자실, 수술실2025.05.011. Hemodynamic monitoring 혈역학 감시(hemodynamic monitoring)는 환자의 혈역학 상태를 평가하고, 의료진으로 하여금 심혈관계 질환을 진단하고 치료 및 중재의 지침을 제공함과 동시에 중재 후 결과를 평가하는 데 있어 중요한 단서를 제공한다. 혈역학 지표로는 심박수, 동맥압, 중심정맥압, 폐동맥압, 심박출량을 포함한다. 중심 정맥압 내지 우심방압, 폐동맥압, 폐동맥 계입압, 심박출량, 동맥압, 시간요량에 대해서 이루어진다. Swan Ganz 카테터가 사용되며, 동맥 내 카테터와 중심정맥관을 통해 혈...2025.05.01
-
ICU 사례 연구: A+ HF(심부전) 환자의 실제 간호 사례2025.01.041. 환자의 전반적인 건강 상태 평가 79세 남성 환자로, 심부전(HFrEF), 우심실 부전, 중등도 승모판 역류, 중증 삼첨판 역류, 심방세동 빠른 심실반응, COPD, 기관지확장증 등의 병력이 있습니다. 의식 수준은 혼미하며, 체온 37.6°C, 호흡 20회/분, 맥박 142회/분, 혈압 99/45mmHg로 측정되었습니다. 식욕은 부진하며, 구강 섭취가 어려워 위관 영양을 하고 있습니다. 전반적으로 중증 심부전과 호흡기 질환으로 인해 전반적인 건강 상태가 좋지 않은 것으로 보입니다. 1. 환자의 전반적인 건강 상태 평가 환자의 ...2025.0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