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성인 브이심 Vsim 시나리오1 (Surgical Case 1 Marilyn Hughes)의 5단계와 6단계 답변
본 내용은
"
성인 브이심 Vsim 시나리오1 (Surgical Case 1 Marilyn Hughes)의 5단계와 6단계 답변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6.08
문서 내 토픽
-
1. 통증 평가환자는 붕대가 너무 꽉 조이는 것 같다고 하였으며, 통증을 1~10으로 표현하면 약 8점으로 매우 나쁘다고 답하였다. 통증의 위치는 왼쪽 다리이며, 누군가 다리를 만지면 더 아파진다고 하였다. 약을 먹어도 통증이 나아지지 않는다고 하였다.
-
2. 신경혈관 평가환자의 왼쪽 아래 다리가 창백하고 피부가 시원하며 땀을 많이 흘린다. 왼쪽 발가락에 연장된 모세혈관 재충전이 있다. 발가락을 움직일 수 없고 감각이 없다. 왼쪽 족부맥박은 없었다.
-
3. 활력징후 변화통증으로 인해 초반에 ECG는 동성 빈맥, 심박수 105회/분, 맥박 105회/분, 혈압 154/92mmHg, 호흡 21회/분이었다. 통증이 감소한 후반에는 ECG는 동리듬, 심박수 94회/분, 혈압 145/87mmHg, 호흡 19회/분이었다.
-
4. 간호 우선순위구획증후군 예방을 위해 통증 사정, 신경혈관계 사정, 사지 높이 조절, 압박 붕대 풀어주기 등의 간호가 우선적으로 필요하다.
-
5. 간호 중재와 환자 반응통증, 활력징후, 신경혈관계 사정, 압박 붕대 풀어주기, 사지 높이 조절 등의 간호 중재를 제공하였고, 환자는 통증이 지속되고 감각 및 운동 기능이 저하된 것으로 반응하였다.
-
6. 사지 높이 유지의 중요성손상된 사지를 심장 높이로 유지하면 부종을 감소시킬 수 있다. 구획압이 정상인 경우 심장 높이보다 높이지 않고 심장 높이로 유지하는 것이 안전하다.
-
7. 적절한 치료 지연의 결과적절한 치료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조직으로의 혈류 감소로 인한 허혈이 발생하여 극심한 통증, 지각 장애, 마비, 맥박 약화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허혈이 지속되면 근육과 신경에 치명적인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
-
1. 통증 평가통증 평가는 환자의 건강 상태를 파악하고 적절한 간호 중재를 제공하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통증 강도, 양상, 지속 시간 등을 정확히 파악하여 환자의 주관적인 경험을 이해하고 이를 토대로 통증 관리 계획을 수립해야 합니다. 또한 통증 평가 시 환자의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요인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환자 중심의 통합적인 간호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
2. 신경혈관 평가신경혈관 평가는 환자의 혈액 순환과 신경 기능을 확인하여 조직 손상 여부를 파악하는 중요한 과정입니다. 맥박, 피부 색깔, 체온, 감각 및 운동 기능 등을 정기적으로 사정하여 변화를 모니터링하고, 이상 징후가 발견되면 신속히 대응할 수 있어야 합니다. 이를 통해 합병증 예방과 조기 치료가 가능해집니다. 또한 환자와의 신뢰 관계 형성을 위해 평가 과정을 충분히 설명하고 환자의 반응을 경청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
3. 활력징후 변화활력징후 변화는 환자의 건강 상태를 반영하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체온, 맥박, 호흡, 혈압 등의 변화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이상 징후를 조기에 발견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활력징후 변화는 다양한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으므로, 환자의 병력, 투약 상황, 검사 결과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분석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환자의 건강 상태를 정확히 파악하고 적절한 간호 중재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
4. 간호 우선순위간호 우선순위 설정은 환자의 건강 문제를 체계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핵심 과정입니다. 환자의 생명과 직결된 문제, 증상의 심각성, 발생 가능한 합병증 등을 고려하여 우선순위를 결정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가장 시급한 문제부터 해결하고 효과적인 간호 계획을 수립할 수 있습니다. 또한 환자와 보호자의 요구사항도 함께 반영하여 환자 중심의 간호를 제공해야 합니다.
-
5. 간호 중재와 환자 반응간호 중재와 환자 반응을 모니터링하는 것은 간호의 질을 평가하고 개선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간호 중재 후 환자의 증상 변화, 활력징후 변화, 만족도 등을 확인하여 중재의 효과성을 분석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환자의 요구에 부합하는 간호 중재를 제공하고 지속적으로 개선할 수 있습니다. 또한 환자와의 의사소통을 통해 그들의 경험과 피드백을 경청하고 이를 간호 실무에 반영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6. 사지 높이 유지의 중요성사지 높이 유지는 부종 및 혈액 순환 장애 예방을 위해 매우 중요합니다. 사지를 심장 높이 이상으로 유지하면 중력에 의한 정맥 환류가 증가하여 부종 감소와 혈액 순환 개선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이는 조직 손상 예방과 회복 촉진에 도움이 됩니다. 간호사는 환자의 상태와 불편감을 고려하여 사지 높이 유지 방법을 교육하고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환자의 건강 회복을 돕고 합병증 발생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
7. 적절한 치료 지연의 결과적절한 치료 지연은 환자의 건강 상태 악화와 합병증 발생 위험을 높일 수 있습니다. 응급 상황이나 시간 민감성 질환의 경우 신속한 진단과 치료가 필수적이며, 지연될 경우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간호사는 환자의 상태 변화를 주기적으로 사정하고 의사와 긴밀히 협력하여 적절한 시기에 치료가 이루어지도록 해야 합니다. 또한 환자와 보호자에게 치료 지연의 위험성을 충분히 설명하고 이해를 구하는 것도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