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67개
-
뇌실내 배액 EVD 보고서2025.05.111. 뇌실 뇌실은 뇌 내부에 있는 공간으로, 뇌실막에 싸여 있다. 뇌실은 가쪽뇌실, 제3뇌실, 제4뇌실의 세 가지가 있으며 모두 연결되어 있는 연속적인 공간이다. 뇌실의 내부는 뇌척수액으로 채워져 있으며, 이 액체는 매일 일정한 양이 생산되고 분해되면서 뇌실계를 순환한다. 뇌실은 척수액의 생성, 저장 및 순환에 기여함으로써 뇌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2. EVD EVD(Extra-Ventricular Drainage)는 뇌실질 내 뇌척수액을 체외로 배출시켜 두개내압을 낮추기 위해 사용한다. 주로 뇌실내출혈이나 뇌출혈 시 피가 뇌실...2025.05.11
-
성장과 발달_중년기 특성과 건강증진을 위한 처방2025.05.151. 중년기 특성 중년기는 40세~65세로 성인 초기 왕성했던 신체에서 조금씩 쇠퇴해 가는 신체적 변화를 의미합니다. 노화와 호르몬의 변화로 생리적 측면, 사회적 압박이나 기대에 대한 문화적 충돌이 생기며 정서적으로는 '빈둥지'라는 표현과 신체적으로 '갱년기'라는 갈등이 생깁니다. 중년기에는 이러한 신체적, 심리사회적 변화에 적응해야 합니다. 2. 건강증진 중년기는 노화가 시작되어 근육량 저하와 근력 감소, 영양요구량 및 대사율 감소가 나타납니다. 비만은 혈압, 골관절염, 심혈관 질환 등 많은 질환과 관련되어 있어 건강관리가 중요합...2025.05.15
-
체위2025.01.161. 체위의 목적 자세를 편안하고 바르게 유지하며, 근육 수축의 방지, 배액의 촉진, 호흡을 용이하게 하며 합병증(욕창 등)을 예방하기 위함이다. 2. 체위를 취해줄 때 지침 1) 환자 체위에 따라 필요 부위에 지지대(Supportive device)를 놓음으로써 근육관절의 긴장을 방지하는 최적의 신체선열(Body alignment)을 유지한다. 2) 개인의 신체적 체형 및 신체적 능력에 따라 지지물을 적용한다. 3) 체위 변경을 위한 24시간 계획을 체계적으로 세운다. 최소 2시간 마다 체위변경을 하되 욕창 등이 우려될 경우에는 ...2025.01.16
-
상부위장관 출혈, L-tube_성인2 시뮬 사전과제2025.01.121. 상부위장관 출혈 상부위장관 출혈은 식도, 위, 십이지장에서 발생하는 출혈을 의미한다. 주요 원인으로는 소화성 궤양, 식도정맥류, 스트레스성 궤양, 미란성 위염, 위암 등이 있다. 출혈의 증상으로는 토혈, 흑색변, 가슴 두근거림, 어지러움, 호흡곤란, 실신 등이 나타날 수 있다. 진단을 위해 혈액검사, 내시경검사, 혈관조영술 등이 사용되며, 치료로는 수혈, 비위관 삽입, 내시경적 지혈술, 약물 투여 등이 이루어진다. 출혈로 인한 생리적 보상반응으로 저혈압, 빈맥, 저체온, 핍뇨 등이 나타날 수 있다. 2. L-tube 삽입 L-...2025.01.12
-
신규 간호사_수술 전후 간호 교육_교육 간호사2025.01.171. 수술 전 간호 수술 전 간호에는 수술 준비 체크리스트 작성, 수술 전 처치 및 간호 상태 확인, 수술 동의서 서명 확인, 수술 전 검사 및 시술 결과 확인, PCA 예정자 동의서 확인, 필요시 수혈 및 비급여 동의서 확인, 침습적 시술 및 수술부위 위치 표시, 필요시 NPO 시작, 필요시 skin prep 및 bowel prep 시행, 항 혈전제 복용여부 확인, 수술 스케쥴 및 마취방법 확인, 필요시 혈액준비, 항생제 skin test 시행, 수술실 prep 물품 준비, 18G IV line 및 3way extension tu...2025.01.17
-
기본간호학 실습 보고서(참고용) / 개인위생, ROM, 체위변경, 보행 돕기, 낙상예방간호2025.05.131. 구강간호 구강 및 입술 건조를 예방하기 위해 시행한다. 환자의 상태를 확인하고 처치 과정을 설명한 후 코튼볼에 생리식염수나 클로르헥시딘 용액을 적셔 부드럽게 닦아준다. 마지막으로 환자의 입술에 윤활제를 발라준다. 2. 등 간호 근육의 긴장 완화, 혈액순환 촉진, 욕창 예방을 위해 실시한다. 환자의 상태를 확인하고 마사지 절차와 목적을 설명한 후 경찰법, 유날법, 경타법으로 등 간호를 수행한다. 3. 수동 관절 가동범위 운동(passive ROM) 환자의 관절을 움직여줌으로써 관절의 가동성을 유지한다. 목, 어깨, 팔꿈치, 손목...2025.05.13
-
septoplasty(비중격 교정술) case study- A+2025.05.061. 비중격 교정술 비중격 교정술(septoplasty)이란 비중격연골을 보존하면서 연골 내부의 압력체계를 변형함으로서 만곡된 연골을 교정하는 것으로 휘어진 비중격 연골과 골부를 일부 절제하고 제 위치로 고정한 후, 필요에 따라 부분적으로 재건하는 외과적 수술법이다. 적응증으로 가장 보편적인 것은 '비중격 만곡'이다. 비중격은 좌우 코를 가르는 콧속 중앙부의 반듯한 벽을 말하며, 비중격이 반듯하지 않고 휘어있는 경우를 '비중격만곡증'이라고 한다. 이는 코나 얼굴 부위의 외상, 선천성, 코수술, 성장기의 변형 등에 의해 발생하게 된다...2025.05.06
-
A+++ 편도염 질병보고서2025.01.131. 편도선 편도선은 인두점막 속 발달한 림프세포인 여포의 집합체로 상기도를 침범하는 미생물에 대항하는 방어벽이다. 편도염은 백혈구, 죽은 세포, 세균 등이 음와에 축적되고 편도조직이 염증과 함께 비대된 상태를 말한다. 2. 편도염의 원인 편도염의 원인은 몸의 저항력이 떨어졌을 때 세균이나 바이러스에 감염되어 발생한다. 주요 원인균으로는 B용혈성 연쇄상구균, 포도상구균, 폐렴구균, 헤모필루스 및 다양한 혐기성 균주, 바이러스로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파라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단순 헤르페스 바이러스, 리노바이러스 등이 있다. 3. 편...2025.01.13
-
급성 심부전으로 인한 폐울혈 간호과정 케이스, 성인간호학실습, 간호진단 2개, 비효과적 호흡양상 간호과정2025.05.011. 급성 심부전 대상자는 AHF(acute heart failure, 급성 심부전)을 앓고 있다. 이러한 상태가 현재 우측폐 흉막삼출과 폐부종을 유발한 원인으로 보여진다. 심장의 펌프기능은 전부하, 후부하, 심박수, 심근수축력 등 4가지 인자의 상호작용에 의하여 심박출량을 정상으로 유지한다. 심장기능은 수축기능과 확장기능으로 나누며 수축기능은 심근수축력, 심박수, 전부하의 증가로 항진되고 후부하의 증가로 낮아진다. 확장기능은 심실의 신장성으로 나타나며 신장성이 낮으면 심실확장 용량이 조금만 증가되어도 확장기압은 상당히 상승되고 폐...2025.05.01
-
급성 세기관지염 (Acute bronchiolitis) case a+ 자료, 간호과정 4개(고체온, 비효율적 기도청결, 낙상위험성, 비효율적 대응)2025.05.151. 급성 세기관지염 급성 세기관지염은 영아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하부 호흡기 질환으로 작은 기도의 염증 폐쇄로 인하여 발생한다. 기관지의 구조적 약점을 많이 가지고 있는 생후 2세 이전의 영아에서 주로 발생하며, 돌 전후에 가장 높은 발생 빈도를 보이고 영아 입원의 가장 흔한 원인 중 하나이다. 연장아나 성인들은 영아보다 세기관지 부종에 더 잘 적응하기 때문에 바이러스에 감염이 되어도 세기관지염의 임상적 증상이 잘 나타나지 않는다. 겨울과 초봄에 가장 많이 발생하며, 산재성 또는 유행성으로 발생한다. 2. 고체온 환아가 38도 이...2025.05.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