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뇌실내 배액 EVD 보고서
본 내용은
"
뇌실내 배액 EVD 보고서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7.20
문서 내 토픽
-
1. 뇌실뇌실은 뇌 내부에 있는 공간으로, 뇌실막에 싸여 있다. 뇌실은 가쪽뇌실, 제3뇌실, 제4뇌실의 세 가지가 있으며 모두 연결되어 있는 연속적인 공간이다. 뇌실의 내부는 뇌척수액으로 채워져 있으며, 이 액체는 매일 일정한 양이 생산되고 분해되면서 뇌실계를 순환한다. 뇌실은 척수액의 생성, 저장 및 순환에 기여함으로써 뇌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
2. EVDEVD(Extra-Ventricular Drainage)는 뇌실질 내 뇌척수액을 체외로 배출시켜 두개내압을 낮추기 위해 사용한다. 주로 뇌실내출혈이나 뇌출혈 시 피가 뇌실까지 확산되어 뇌척수액의 흐름이 막힌 경우 응급으로 시행한다. EVD는 일시적으로 뇌실에 카테터를 삽입해 뇌척수액을 체외로 빼내는 방법이다. 목적은 두개내압 상승 시 출혈액이나 뇌척수액을 배액시켜 두개내압을 조절하고, 두개내압을 지속적으로 측정하기 위함이다.
-
3. EVD 간호 및 배액관리EVD 간호 및 배액관리에는 사정, 체위, 배액량 관리, EVD 카테터 관리, ICP 측정, EVD 백 소독 등이 포함된다. 사정 시 배액 상태, 드레싱 상태, 신경학적 변화 등을 확인하고, 체위는 supine이나 semi-fowler position으로 유지한다. 배액량은 보통 10cc/hr로 관리하며, 카테터가 빠지지 않도록 주의한다. ICP는 드레인 삽입부에서 oscillation되는 지점까지의 길이를 측정하여 확인한다. EVD 백은 무균술을 적용하여 소독한다.
-
4. EVD 합병증EVD 시행 시 발생할 수 있는 합병증에는 뇌손상, 뇌척수액 과다배액으로 인한 slit ventricle, 측로기능 부전, 감염으로 인한 뇌압상승, 뇌내출혈, 경막외출혈, 경막하출혈, 경막하수종, 지속적인 두통, 오심, 빈맥, 발한 등이 있다. 이러한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해 주기적인 사정과 관리가 필요하다.
-
1. 뇌실뇌실은 뇌 내부에 있는 공간으로, 뇌척수액이 생성되고 순환하는 곳입니다. 뇌실은 뇌의 구조와 기능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뇌실이 막히거나 뇌척수액의 순환이 원활하지 않으면 수두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뇌실의 구조와 기능을 이해하는 것은 신경외과 영역에서 매우 중요합니다. 뇌실의 해부학적 구조와 생리학적 기능, 그리고 이와 관련된 질환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가 필요합니다.
-
2. EVDEVD(Extraventricular Drainage)는 뇌실 내 압력을 낮추기 위해 사용되는 중요한 신경외과 술기입니다. 뇌실 내 압력이 높아지는 다양한 원인, 예를 들어 뇌출혈, 수두증, 외상 등에서 EVD 삽입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EVD를 통해 뇌척수액을 배출함으로써 뇌압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EVD 삽입 및 관리에는 감염, 출혈 등의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숙련된 의료진의 세심한 관리가 필요합니다. EVD의 적절한 사용과 관리는 환자의 예후에 큰 영향을 미치므로 이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가 중요합니다.
-
3. EVD 간호 및 배액관리EVD 환자의 간호와 배액관리는 매우 중요합니다. 간호사는 EVD 삽입 부위의 감염 예방, 배액량 및 압력 모니터링, 배액관 관리 등을 수행해야 합니다. 특히 무균적 기술을 통한 배액관 관리와 배액량 및 압력 변화에 대한 지속적인 관찰이 필요합니다. 또한 환자의 전반적인 상태 변화에 대한 모니터링도 중요합니다. EVD 관리에 대한 간호사의 전문성과 숙련도는 환자 예후에 큰 영향을 미치므로, 이에 대한 지속적인 교육과 훈련이 필요합니다.
-
4. EVD 합병증EVD 삽입 및 관리 과정에서 다양한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합병증으로는 뇌실염, 뇌막염, 출혈, 뇌실-피부루 형성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합병증은 환자의 예후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예방과 조기 발견, 적절한 관리가 매우 중요합니다. 의료진은 EVD 삽입 및 관리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합병증을 숙지하고, 이를 예방하고 관리할 수 있는 전략을 수립해야 합니다. 또한 합병증 발생 시 신속하고 적절한 대응이 가능하도록 준비되어 있어야 합니다.
-
신경외과 성인간호학실습일지(총5일) 4페이지
1. 학생실습활동 보고서 양식성명실습병동8B 신경외과교과목명성인간호학실습2분반/조담당교수실습일자2025-05-05시간실습목표실습활동결과05-05데이07:00~16:00PO2.비판적 사고와 임상적 추론으로 근거기반간호를 제공한다.PO5.외과계(일반외과, 정형외과, 신경외과) 병동 환자에게 안전하고 질적인 간호를 제공한다.PO6.외과계(일반외과, 정형외과, 신경외과) 병동 환자의 건강문제 해결을 위해 건강문제 해결을 위해 보건의료팀과 의사소통하고 협력한다.? 임상실습 현장이나 상황에 대한 기술? 지주막하출혈(SAH)을 가진 환자 정??...2025.07.19· 4페이지 -
배액관 관리(내용정리) 2페이지
학습요약보고서 - 배액관 관리학번 : 이름 :수업 제목학습 내용 요약 및 자신의 학습에 따른 성찰3. 배액관 관리Hemo vac과 JP drain은 수술 부위의 과다한 삼출물을 음압 원리에 의해 배액하기 위해 적용하고 수술 부위 감염을 줄이고 부종을 없애며 창상 치유 기간을 짧게 하는 역할을 한다. 장액성, 혈액성, 화농성의 특성을 보인다. Mastectomy(유방절제술), TAH(자궁적출술), 종양제거수술 등에 적용한다. 압력은 양압, 음압, 자연이 있다. 폐쇄형 배액관은 음압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PCD는 흉막 또는 복강 내...2021.01.09· 2페이지 -
성인간호A 뇌실 내 뇌내출혈(ICH)케이스(진단5개, 과정2개) 10페이지
간호과정 보고서- Intracranial hemorrhage목 차Ⅰ. 문헌고찰- 뇌내출혈 원인, 증상, 진단, 치료 및 간호, 합병증, 주의사항Ⅱ. 대상자 정보Ⅲ. 간호과정- 간호진단 우선순위- 간호과정Ⅳ. 참고문헌Ⅰ. 문헌고찰▷ 뇌실 내 뇌내출혈(Intracranial hemorrhage)뇌내 출혈은 혈관의 파열에 의해 뇌 안쪽에 생긴 출혈로 전체 뇌졸중의 10% 정도를 차지한다. 뇌내 출혈의 예후는 나쁘며 첫 48시간 이내 사망이 총 사망의 50%를 차지한다. 뇌내 출혈의 약 1/2이 기저핵에서 발생하고 그 외는 시상, 소뇌반구...2024.01.24· 10페이지 -
[성인간호] ICH 뇌출혈 문헌고찰 및 간호과정(2개) 28페이지
성인간호학 실습 보고서 제출일 20XX. XX. XX. 전공 간호학과 과목 학번 담당교수 000 교수님 이름 목 차 Ⅰ 문헌고찰--------P.1 Ⅱ 간호사례 ----------------P.17 Ⅲ 간호과정 -------------P.19 Ⅰ. 문헌고찰 뇌졸중은 ‘급속히 발생한 국소적인(또는 완전한) 뇌기능의 장애가 24시간 이상 지속되거나 그전에 죽음에 이르는 것으로 뇌혈관의 병 외에는 다른 원인을 찾을 수 없는 경우’로 WHO가 정의하고 있다. 뇌의 혈액순환을 방해하는 다양한 원인에 의해 나타나며, 손상받은 혈관의 위치나 범...2024.02.18· 28페이지 -
IVH CASESTUDY 간호과정 간호진단 2개 A+ 자료 11페이지
IVH 간호과정 보고서A+ 자료목차Ⅰ. 문헌고찰Ⅱ. 간호과정1) 두개내압 상승과 관련된 비효과적 뇌조직 관류의 위험2) 침습적 처치와 관련된 감염의 위험Ⅲ. 참고문헌Ⅰ. 문헌고찰1. 정의① 뇌내출혈 (cerebral hemorrhage)뇌내출혈은 겉질하 백색질부위의 작은 동맥과 정맥의 출혈로 인해 혈액이 뇌실질조직에 축적된 것이다. 뇌를 둘러싼 3종류의 막 사이사이에 일어나는 출혈의 해부학적 부위에 따라 뇌에 생긴 뇌내출혈 (ICH, Intracerebral hemorrhage), 뇌막을 기준으로 두개골과 뇌막사이에 생긴 경막외출혈...2023.01.24· 11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