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77개
-
장폐색 케이스 스터디(간호진단2, 간호과정2)2025.05.041. 장폐색(Ileus) 장, 특히 소장이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막혀 음식물, 소화액, 가스 등의 장내용물이 통과하지 못하는 질환입니다. 장폐색 시 수분, 가스, 창자내용물이 폐색 근위부에 축적되고, 원위부는 허탈됩니다. 근위부는 팽창되어 압력이 증가하며, 압력의 증가는 모세혈관 투과성을 증가시켜 수분과 전해질의 복강 내 유출을 증가시킵니다. 장과 복강내 수분정체는 순환혈액량을 감소시켜 저혈압과 혈액량감소 쇼크를 유발합니다. 조직의 혈액공급이 원활하지 않아 허혈과 괴사를 일으켜 장천공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장폐색은 기계적 장폐색...2025.05.04
-
인체 구조와 기능에 대한 개요2025.01.031. 상피조직 상피조직은 인체의 표면과 체강의 안쪽 면을 이루며, 다양한 기관의 외부 또는 내부 층을 구성합니다. 상피조직은 분비조직의 대부분을 구성하며, 소성결합조직 위에 위치하여 혈관으로부터 영양을 공급받고 노폐물을 제거합니다. 상피조직에는 기저막이 있어 상피조직을 결합조직에 고정하고 상피 조직과 그 밑의 조직 간 물질 교환을 조절합니다. 상피조직에는 단층상피, 단층편평상피, 단층입방상피, 단층원주상피 등 다양한 형태가 있으며, 각각 다른 기능을 수행합니다. 2. 단층편평상피 단층편평상피는 폐포, 신장의 사구체, 심장과 혈관의 ...2025.01.03
-
성인간호학실습 폐렴 문헌고찰2025.01.031. 폐렴 폐렴은 병을 일으키는 세균에 의해 숨을 쉬는 경로 중 호흡세기관지 이하 부위의 폐조직에 염증 반응과 경화를 일으키는 질환입니다. 폐는 쇄골 바로 위에 폐끝 부분인 폐첨이 위치하고 횡격막 쪽 넓은 면에 폐저부가 위치합니다. 우측 폐의 길이와 무게는 좌측 폐보다 넓고 짧으며 무겁습니다. 폐포에는 세 종류의 세포가 존재하는데, 1형 폐포세포는 편평세포로 폐포의 상피를 형성하고 가스가 확산되는 가스교환 부위입니다. 2형 폐포세포는 표면활성제를 생산하여 폐조직의 탄력을 유지하게 하며, 3형 폐포세포는 대식세포로 세균이나 이물질을 ...2025.01.03
-
병원에서 사용하는 소독제의 종류 및 특성2025.05.101. 소독제의 종류 및 특성 소독제는 기구, 피부, 환경 등을 소독하는데 사용됩니다. 알코올은 단백질을 변성시켜 살균하는데, 수분이 제거된 순수 에틸알코올은 물과 혼합된 용액보다 살균력이 낮습니다. 75% 전후의 알코올 소독제가 살균효과가 더 좋습니다. 4가 암모늄염은 아포와 결핵균, 친수성 바이러스에 대한 소독 효과가 낮지만 환경과 기구 소독에 사용됩니다. 양성 계면활성제는 세포벽의 물질 투과를 방해하고 호흡을 방해하여 그람양성균과 그람음성균에 대한 살균력이 우수합니다. 글루타르알데히드는 RNA, DNA, 단백질 합성을 변형시켜 ...2025.05.10
-
Antihistamines 항히스타민제2025.01.131. 히스타민 히스타민은 비만세포, 호염구, 임파구, 신경세포, gatric enterochromaffin-like cells 등의 많은 조직에서 발견되는 생체아민으로 국소적으로 분비되어 인근 세포들의 기능적 활성을 증사기키거나 억제하는 autocoid다. 히스타민은 폐, 혈관민무늬근, 혈관내피세포, 말초신경에서 H1 receptor에 작용한다. 폐에서 기관지 수축을 일으켜 천식증상을 나타내며, 혈관민무늬근에서 모세혈관후 세정맥 확장, 말단세동맥 확장, 정맥수축을 일으켜 피부발적을 나타낸다. 혈관내피세포의 수축과 분리를 일으켜 부종...2025.01.13
-
임상적 수액요법2025.04.281. 수액 요법의 정의 수액 요법은 용적 치료(volume therapy)의 효율성, 전해질 및 pH에서 혈액과의 유사성을 추구하며 적절한 에너지와 효과적인 완충 물질을 공급하는 것을 의미한다. 2. 체액 구성 총 체액량은 체중의 60%이며, 이 중 세포 내액은 40%, 세포 외액은 20%를 차지한다. 세포 외액 중 간질액은 15%, 혈장은 5%를 차지한다. 3. 삼투압과 긴장성 삼투압은 단위 수분당 용질의 수를 나타내며, 긴장성은 세포 외액과 세포 내액의 삼투압 비율을 의미한다. 삼투 현상은 농도가 낮은 곳에서 높은 곳으로 선택적...2025.04.28
-
[간호학과/케이스스터디/A+과제] trigger finger(방아쇠 수지), fracture&metal removal(골절 및 내고정술 제거), appendicitis(충수염) OR 케이스스터디 (간호진단 15개, 간호과정 3개)2025.05.101. 건활막염(Tenosynovitis) 건활막염이란 건을 둘러싸는 활액막(synoviallining)에 생기는 염증을 말하며, 힘줄 윤활막염(tenovaginitis), 건주위염(peritendinitis) 등이라고도 한다. 건 자체의 염증반응은 건염(tendinitis)이라 하는데, 건의 혈관분포가 적기에 드물고 건내섬유가 끊어지는 경우에 발생하기도 한다. 건활막염은 대부분 건의 부피증가, 섬유골환의 협착 결과, 접촉부위의 마찰이 발생하는 협착성, 포착성 건활막염(stenosing, entrapment tenosynovitis)...2025.05.10
-
양파 표피세포를 통한 원형질 분리 현상 관찰 실험2025.05.131. 세포벽 식물세포의 가장 바깥층을 에워싸고 있는 막으로, 변형균을 제외한 모든 식물 세포에 존재하며, 동물세포에는 없다. 세포벽은 식물세포를 보호하고, 형태를 유지하며, 적당량의 물만 흡수할 수 있도록 물의 흡수를 막아주는 역할을 한다. 식물의 세포벽은 세포막보다 매우 두꺼워 0.1mu m에서 수mu m에 이른다. 세포벽의 정확한 화학 조성은 종에 따라 다양한데, 대부분 다당류인 셀룰로오스로 구성된 미세한 섬유는 셀룰로오스 합성효소에 의해 합성되어 세포 외부로 분비된다. 2. 세포막 세포를 둘러싼 세포막은 주변 환경으로부터 살아...2025.05.13
-
급성담낭염 케이스2025.05.041. 급성 담낭염의 정의 및 원인 급성 담낭염은 담석, 종양 혹은 담낭의 기능 이상 등으로 인해 담낭관이 부분적이거나 완전히 좁아지면서 담낭 내에 기계적, 화학적 또는 세균성 염증이 발생한 질환을 의미합니다. 급성 담낭염의 원인 중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담낭 내 담석으로, 72~93% 정도 입니다. 담석 없이 급성 담낭염이 발생하는 경우는 5~10% 정도로 보고되었습니다. 담석이 담관을 막으면 담낭의 압력이 높아지고 담낭벽이 붓고 염증이 생깁니다. 염증이 심해지면 담낭이 터지거나 괴사하기도 합니다. 2. 급성 담낭염의 병...2025.05.04
-
성인간호학 MICU 케이스 - 패혈증, septic shock 환자 케이스2025.05.061. 패혈증 및 septic shock의 병태생리 패혈증은 감염성 원인에 의한 전신성 염증반응 증후군을 의미하며, 패혈성 쇼크는 적절한 수분 공급에도 저협압 상태가 지속되는 것을 말한다. 균이 체내에 들어오면 면역반응, 염증반응, 응고체계가 활성화되고 사이토카인이 분비되면서 연쇄적인 염증반응이 일어난다. 이로 인해 혈관이 확장되고 모세혈관 투과성이 증가하여 혈관 누출 증후군이 발생하고 저혈압이 나타나게 된다. 2. 패혈증 및 septic shock의 진단 및 치료 진단을 위해 감염원에 해당되는 부위에서 배양 검사를 실시하고, 가능한...2025.05.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