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학과/케이스스터디/A+과제] trigger finger(방아쇠 수지), fracture&metal removal(골절 및 내고정술 제거), appendicitis(충수염) OR 케이스스터디 (간호진단 15개, 간호과정 3개)
본 내용은
"
[간호학과/케이스스터디/A+과제] trigger finger(방아쇠 수지), fracture&metal removal(골절 및 내고정술 제거), appendicitis(충수염) OR 케이스스터디 (간호진단 15개, 간호과정 3개)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6.27
문서 내 토픽
  • 1. 건활막염(Tenosynovitis)
    건활막염이란 건을 둘러싸는 활액막(synoviallining)에 생기는 염증을 말하며, 힘줄 윤활막염(tenovaginitis), 건주위염(peritendinitis) 등이라고도 한다. 건 자체의 염증반응은 건염(tendinitis)이라 하는데, 건의 혈관분포가 적기에 드물고 건내섬유가 끊어지는 경우에 발생하기도 한다. 건활막염은 대부분 건의 부피증가, 섬유골환의 협착 결과, 접촉부위의 마찰이 발생하는 협착성, 포착성 건활막염(stenosing, entrapment tenosynovitis)이 흔하며, 이밖에도 염증, 미란이 건초를 따라 확산 및 건 침투와 건 약화*파열을 일으키는 증식성 건막염(proliferative tenosynovitis. 류마티스 관절염이 대표적임), 감염에 의해 발생하는 감염성 건활막염으로 분류된다.
  • 2. 건활막염의 원인과 병태생리
    건활막염의 발생 원인은 명확하지 않지만, 직업 등으로 인한 근육반복적인 활동 혹은 과다 사용으로 인한 미세손상이 있을 때 발생하며, 이밖에도 류마티스 관절염, 화농성 세균 혹은 결핵균, 진균 등에 의해서도 발생한다. 우리몸의 뼈-뼈는 인대(ligament)란 결합조직으로 연결, 고정되고, 근육-뼈는 건(힘줄. tendon)이란 결합조직으로 연결되어있다. 인대는 관절주머니를 이루는 내재 인대(intrinsic ligament.)와 바깥 인대(extrinsic ligament)가 뼈-뼈를 연결 및 안정화시키고, 힘줄은 근육 수축시 부착된 뼈를 당겨서 움직임을 발생시키는데, 특히 힘줄은 관절을 지나고 둘러쌈으로서 기계적으로 지지 및 안정화시키고, 가동범위를 제한한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건활막염(Tenosynovitis)
    건활막염은 건(tendon)과 건초(tendon sheath) 사이의 활막(synovium)이 염증을 일으키는 질환입니다. 이로 인해 통증, 부종, 운동 제한 등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주요 원인으로는 반복적인 과사용, 외상, 감염 등이 있습니다. 건활막염은 초기에 적절한 치료를 받지 않으면 만성화되어 심각한 기능 장애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확한 진단과 함께 휴식, 약물 치료, 물리 치료 등의 종합적인 치료가 필요합니다. 또한 재발 방지를 위해 원인 요인을 제거하고 예방 조치를 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2. 건활막염의 원인과 병태생리
    건활막염의 주요 원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반복적인 과사용으로 인한 미세 손상입니다. 이로 인해 건과 건초 사이의 활막이 염증 반응을 일으킵니다. 둘째, 외상으로 인한 급성 손상입니다. 이 경우 활막이 직접적으로 손상되어 염증이 발생합니다. 셋째, 감염입니다. 세균, 바이러스, 진균 등의 감염으로 인해 활막이 염증 반응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병태생리적으로는 염증 반응으로 인해 활막이 비후되고 혈관 투과성이 증가하여 부종이 발생합니다. 또한 활액 분비가 증가하여 건초 내압이 상승하게 됩니다. 이로 인해 통증, 운동 제한, 기능 장애 등의 증상이 나타나게 됩니다. 만성화되면 섬유화와 석회화가 진행되어 영구적인 기능 장애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