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472개
-
병원 내 감염을 일으키는 다제내성 원내 감염균의 종류와 감염관리 방법2025.05.161. MRSA (메티실린내성황색포도알균) MRSA(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aureus)는 메티실린(Oxacilline)이나 베타락탐계 항생제에 내성을 나타내는 황색 포도알균으로, 1961년 영국에서 처음 보고되었다. MRSA는 mecA 유전자가 암호화하는 PBP2a 단백을 만들어 베타락타메제에 안정한 항균제에 내성을 나타낸다. 국내에서는 1976년 5% 정도였던 MRSA 비율이 1990년대 초부터 60~70%의 비율을 유지하고 있으며, 중환자실에서는 95.7%가 MRSA로 나타났다. 2. V...2025.05.16
-
동물질병학: 조충감염증과 회충증2025.11.121. 유구조충(Pork tapeworm) 유구조충은 갈고리가 있는 촌충으로 길이 2~6m이며 두부에 4개의 흡반과 26~30개의 갈고리를 가지고 있다. 덜 익거나 날 것 상태의 돼지고기에서 감염되며, 성충은 소장에 기생하여 경미한 증상을 유발한다. 유충이 조직에 감염되면 육구유충으로 부화하여 8~12주 후 유구낭미충으로 발육하며, 뇌와 안구 등에 침범하여 간질을 유발할 수 있다. 진단은 대변에서 충란이나 수태편절을 확인하고, 치료는 프라지콴텔을 사용한다. 2. 무구조충(Beef tapeworm) 무구조충은 갈고리가 없는 민촌충으로 ...2025.11.12
-
급성대장염(캄필로박터 장염) 간호과정 사례연구2025.11.131. 급성 감염성 장염(Acute Infectious Colitis) 급성 감염성 장염은 다양한 세균, 바이러스, 원충에 의해 발생하는 질환으로 설사와 복통이 주요 증상입니다. 캄필로박터, 살모넬라, 쉬겔라 등의 세균이 원인균이며, 2~5일의 잠복기 후 혈변, 복통, 발열 등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대부분 일주일 이내에 자연 치유되지만 유아, 고령자, 면역결핍자는 탈수와 고열이 심할 수 있습니다. 진단은 병력 청취, 대변 검체 검사, 혈액 배양 검사로 이루어지며, 치료는 보존적 치료와 수액요법이 주가 됩니다. 2. 간호진단 및 중재 ...2025.11.13
-
비판적사고사례분석 결장암2025.01.281. 결장암 위험요인 대상자는 68세 고령, 흡연자(30PY), 고지방 식이, 비만(BMI 23.38)으로 결장암의 주요 위험요인에 해당합니다. 이러한 요인들은 결장암 발생 위험을 높일 수 있습니다. 2. CEA 검사 CEA(carcinoembryonic antigen)는 대장암 수술 후 예후를 확인하는 데 효과적인 검사입니다. 수술 후 CEA 수치가 정상으로 돌아오면 종양이 성공적으로 제거되었음을 의미하고, 수술 후에도 계속 상승되어 있거나 수술 전보다 더 상승되는 경우는 종양이 남아 있거나 퍼진 것을 의미합니다. 3. Neomy...2025.01.28
-
다제내성균의 정의와 종류2025.05.091. 다제내성균 다제내성균은 한 가지 이상의 항생제에 내성을 가진 미생물을 의미하며, 대표적인 다제내성균에는 MRSA, VRE, ESBL, CRPA, CRAB, CRE 등이 있다. 이러한 다제내성균은 의료관련 감염의 주요 원인균이 되었으며, 환자의 사망률, 재원일수, 비용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나 감염관리의 중요한 목표가 되고 있다. 다제내성균의 출현을 억제하고 조기에 발견하여 적절한 예방지침을 시행하는 것이 중요하다. 2. MRSA MRSA(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는 메티실린 ...2025.05.09
-
미생물학 실습 균 배양 실험 보고서2025.01.121. 그람 염색 그람 염색은 세균을 분류하는 데 널리 사용되는 감별 염색법입니다. 그람 양성균은 crystal violet으로 청색 또는 보라색으로 염색되고, 그람 음성균은 safranin으로 분홍 또는 붉은색으로 염색됩니다. 이 실험에서는 그람 염색 기술을 익히고 그람 양성균과 그람 음성균을 구분하는 것이 목적입니다. 2. 미생물 배양 이 실험에서는 인체 부위에서 미생물을 채취하여 배지에 배양하는 실험을 진행했습니다. 이를 통해 다양한 미생물의 특성을 관찰할 수 있었습니다. 3. Escherichia coli Escherichia...2025.01.12
-
신규간호사 교육 매뉴얼_배출관장2025.05.081. 배출 관장 (Cleansing enema) 배출 관장은 관장액의 종류에 따라 1/2 Glycerin enema, 비눗물 관장(Soap Solution Enema, S-S enema), 미온수 관장 (Warm Water Enema), 식염수 관장(Saline enema)으로 구분된다. 각 관장의 목적, 준비물품, 업무 흐름 및 이론적 근거가 제시되어 있다. 2. 관장의 목적 관장의 주요 목적은 연동운동을 자극하여 배변을 돕고, 수술 후 장내 가스배출을 도모하며, 인공항문을 가진 환자의 규칙적인 배변습관을 형성하는 것이다. 3. ...2025.05.08
-
<현역의대생> 코 점막 속 미생물 활용 가능성_연구보고서_생명과학(세특)2025.01.111. 비강성 미생물의 생태학적 특성 실험 결과 우리는 팀원의 콧속에서 모두 4종류의 서로 다른 미생물을 분리할 수 있었고 각각 L1, L2, L3, J1이라 명명하였으며 이들의 분류학적 위치를 16S rRNA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L1은 pH11에서도 잘 자라는 호염기성 균이며 3%이상의 염도에서도 잘 자라는 호삼투압 균임을 알 수 있었다. L2는 pH4에서도 생육이 가능한 호산성 균이며 L1과 같은 호삼투압 균임을 확인하였다. 2. 비강성 미생물의 유기물 분해 능력 L1은 protease 활성을 강하게 나타내는 생리적 특징을 확...2025.01.11
-
아동 급성위장염 간호사례 및 간호과정 적용2025.11.171. 급성위장염(Acute Gastroenteritis)의 병태생리 급성위장염은 바이러스, 박테리아, 기생충 등이 원인이 되어 위장계통에 생긴 염증으로, 병원체가 대변-구강 경로를 통해 감염된다. 장의 점막층이 손상되고 괴사와 궤양이 발생하며, 세균이 배출하는 장내독소와 세포독소에 의해 장내 체액과 전해질 분비가 증가하고 소장의 흡수기능이 방해된다. 이로 인한 체액 분비와 흡수의 불균형이 대변의 수분손실을 일으키고 설사를 유발한다. 2. 급성위장염의 임상증상 및 합병증 주요 증상은 설사, 복통, 구토, 발열이며, 심각한 경우 탈수가...2025.11.17
-
[기초간호과학 2024년] 항생제 남용, 산-염기 불균형, 종양의 영향과 간호중재2025.01.251. 항생제(항균제) 남용으로 발생하는 문제점 항생제 남용으로 인한 의료비용 증가, 부작용 위험 증가, 항생제 내성 유도 등의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 항생제를 적절하게 사용하고, 불필요한 사용을 줄이며, 분야별 전문가 협조와 항생제 사용 제한이 필요하다. 2. 산-염기 불균형 분류와 간호중재 산-염기 불균형은 대사성 산증, 대사성 알칼리증, 호흡성 산증, 호흡성 알칼리증으로 분류된다. 각 상황에 따라 중탄산염 공급, 전해질 불균형 교정, 기도 유지 및 환기 보조, 심리적 안정 등의 간호중재가 필요하다. 3. ...2025.01.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