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신규간호사 교육 매뉴얼_배출관장
본 내용은
"
신규간호사 교육 매뉴얼_배출관장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6.07
문서 내 토픽
  • 1. 배출 관장 (Cleansing enema)
    배출 관장은 관장액의 종류에 따라 1/2 Glycerin enema, 비눗물 관장(Soap Solution Enema, S-S enema), 미온수 관장 (Warm Water Enema), 식염수 관장(Saline enema)으로 구분된다. 각 관장의 목적, 준비물품, 업무 흐름 및 이론적 근거가 제시되어 있다.
  • 2. 관장의 목적
    관장의 주요 목적은 연동운동을 자극하여 배변을 돕고, 수술 후 장내 가스배출을 도모하며, 인공항문을 가진 환자의 규칙적인 배변습관을 형성하는 것이다.
  • 3. 관장 시 주의사항
    관장 시 주의해야 할 사항으로는 임신 초기, 급성 맹장염, 자궁외 임신, 노인 및 심장 질환자의 경우 금기이며, 관장액의 온도와 주입 속도, 주입량 등을 적절히 조절해야 한다.
  • 4. 관장 시 체위
    관장 시 학령기 및 성인 환자는 좌측위를 취하고 오른쪽 다리를 90도로 굴절시키며, 학령기 이전 아동은 와위를 취한다. 이는 S상 결장이 직장보다 낮아져 중력에 의한 용액 주입이 용이하고 항문을 충분히 노출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 5. 관장 시 주입량
    관장액의 주입량은 연령에 따라 다르며, 영아 250cc 이하, 유아기~학령전기 250~500cc, 학령기 300~500cc, 청소년기 500~700cc, 성인 750~1,000cc 정도이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주제2: 관장의 목적
    관장의 주요 목적은 장내 배출을 돕고 장 건강을 증진시키는 것입니다. 관장은 변비, 장 질환, 수술 전후 등 다양한 상황에서 활용될 수 있습니다. 변비 환자의 경우 관장을 통해 장내 축적된 찌꺼기를 제거할 수 있으며, 장 질환 환자의 경우 관장이 증상 완화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또한 수술 전후 관장은 장 기능 회복을 돕고 감염 위험을 낮추는 데 기여할 수 있습니다. 이처럼 관장은 장 건강 증진을 위한 중요한 의료 절차라고 할 수 있습니다.
  • 2. 주제4: 관장 시 체위
    관장 시 적절한 체위 선택은 매우 중요합니다. 일반적으로 측와위(옆으로 누운 자세)나 무릎-팔꿈치 자세가 권장됩니다. 이 자세들은 관장액이 장 내로 잘 유입되고 배출이 용이하도록 합니다. 또한 배변 시 복압 증가를 돕는 자세이기도 합니다. 때에 따라서는 앙와위(등으로 누운 자세)나 좌위(앉은 자세) 등의 체위도 활용될 수 있습니다. 중요한 것은 편안하고 안전한 자세를 취하는 것입니다. 관장 시 체위 선택은 개인의 상황과 선호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전문가의 조언을 구하는 것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