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223개
-
부정맥 및 천식 치료 약물2025.01.051. 부정맥 치료 약물 부정맥 치료에 사용되는 주요 약물은 다음과 같습니다. 아미오다론은 상심실 및 심실성 부정맥 치료에 사용되며, 부작용으로 서맥, 심장차단, 갑상선 기능 저하증이 있습니다. 도로네다론은 발작성 심실성 빈맥, 심방조동, 심방세동 치료에 사용됩니다. 리도카인은 심실세동 조절 및 예방에 효과적이며, 프로카인아미드는 심실부정맥 및 심방세동 치료에 사용됩니다. 프로프란놀롤은 생명을 위협하는 부정맥 치료에 사용되며, 퀴니딘은 심방 및 심실 빈맥 치료에 사용됩니다. 2. 천식 치료 약물 천식 치료에 사용되는 주요 약물은 다음...2025.01.05
-
[성인간호] 순환기계 질환 및 간호2025.05.081. 심전도 검사 심전도 검사는 체표면에서 심장의 전기적 활동을 기록하는 검사입니다. 정상 심전도의 특징은 심박수 60-100bpm, 규칙적인 리듬, P파 높이 2.5mm 미만, P파 폭 0.21초 미만, PR 간격 0.12-0.20초, QRS 복합체 0.10-0.12초, ST 분절은 TP 분절 또는 PR 분절과 일치, T파 높이는 표준 유도에서 5mm 이하, 흉부 유도에서 10mm 이하입니다. 2. 비침습적 혈압 측정 비침습적 혈압 측정 시 주의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앙와위 자세에서 적절한 크기의 혈압 커프를 상완에 감아야 하며...2025.05.08
-
부정맥 환자 간호과정2025.01.101. 부정맥 부정맥은 심실의 박동수와 부정맥 발생 위치에 따라 분류할 수 있다. 부정맥은 정상인들 사이에서도 가장 흔하게 발생될 수 있으며, 증상이 있는 부정맥과 증상이 없는 부정맥이 있다. 대부분 거의 일시적인 증상이 나타나지만 고령이나 중환자인 경우 큰 타격을 입을 수 있는 무서운 증상이기도 하다. 단순히 가슴 통증과 발작이 나타나서 일시적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대부분이지만 이런 경우 병원에 내원하여 심전도나 정밀 검사를 통해 원인을 파악하고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을 진단 받고 처방받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2. 발작성 상심실성...2025.01.10
-
A+ 성인간호학 심방세동 보고서 [간호진단 3개, 간호과정 1개]2025.01.151. 심방세동 심방세동은 부정맥 중 심방에서 발생하는 빈맥(빠른 맥)의 한 형태로 임상에서 접하게 되는 지속성 부정맥 중 가장 흔하다. 우리나라는 심방세동의 빈도가 2006년 0.73%에서 2015년 1.53% 증가하였고, 2060년에는 5.6% 환자가 심방세동을 가질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심방세동으로 인한 심부전과 뇌졸중과 같은 질환 발생을 올리게 된다. 따라서 심방세동에 대한 문헌고찰을 하고 사례연구를 통하여 심방세동 대상자에게 적절한 간호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자 한다. 2. 심방세동의 정의 심방세동은 상심실성 빈맥의 일종으...2025.01.15
-
심실조기수축(PVC) 간호과정2025.05.041. 심실조기수축(PVC) 심실조기수축(premature ventricular contraction, PVC)은 심실에서 기원하는 조기 심장박동이다. PVC는 규칙적인 심장박동 전 조기에 발생하기 때문에 정상 맥박보다 이르게 발생하며, 이로 인해 증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심실조기수축 후 심장의 전기적 시스템은 즉시 reset된다. PVC가 일어나는 동안 동방결절(SA node)로부터 정상적으로 전기적 신호가 도달되기 전에 심실은 정상보다 이른 신호를 보낸다. 이러한 조기 신호는 심실근의 전기적인 과민성 때문이라고 알려져 있으며 심근...2025.05.04
-
부정맥_arrhythmia 문헌고찰 및 정리2025.05.051. 부정맥의 정의 부정맥은 증상이 갑작스레 나타나거나 또는 무증상일 수 있기 때문에 대개 많은 사람들은 자신이 부정맥에 처해있음을 모른 채 지나가기도 한다. 또한 부정맥의 종류에 따라 EKG monitor에 나타나는 형태 및 양상이 다양하기 때문에 의학 또는 간호학을 전공하는 학생들에게 어려움이 있을 수 있으므로 이와 같은 고찰을 통해 더 알아보고자 한다. 2. 부정맥의 병태생리 부정맥의 발생기전은 전기자극 형성장애와 전도장애, 그리고 이 두가지가 복합된 혼합장애 형태로 나눌 수 있다. 자극형성 장애에는 이소성 박동과 이탈박동이 ...2025.05.05
-
[성인간호학 보고서] 순환장애 대상자 간호 (심장의 구조와 기능, 순환과 전도계, 주요 질환)2025.01.181. 심장의 구조 심장은 종격중부에 위치하며 크기는 보통 성인의 주먹 정도로 300g 정도이다. 심장의 apex는 횡경막 위에서 앞쪽을 향하며 base는 3번째 늑골에 위치한다. 심장은 1분에 약 72회 박동하는데, 1회 박동에 70ml의 혈액을 내보내 하루에 대략 7000ml 이상의 혈액을 분출한다. 또한 심장은 심낭으로 둘러쌓여 있으며 장측심막과 벽측심막 사이에는 pericardal space가 있어 10-20ml 정도의 심낭액이 흐르는데, 이는 심장 운동 시 마찰을 줄여주는 역할을 한다. 심장의 구조는 크게 2개의 Atrium...2025.01.18
-
전문심장소생술(ACLS)2025.01.131. 전문심장소생술(ACLS) 전문심장소생술(Advanced Cardiovascular Life Support, ACLS)은 심정지 환자의 심박동을 회복시킨 후 혈압을 유지하고 뇌 소생을 위한 치료를 하며 심정지의 원인을 규명하고 심정지의 재발을 방지하는 소생술입니다. 기본심폐소생술에 심전도 감시 및 분석 결과에 따른 전기적 제세동, 약물 투여, 기관내 삽관 등 전문기도유지술에 의한 기도확보, 산소투여, 양압 인공호흡을 포함한 호흡 보조 및 호흡 상태의 평가, 심정지의 원인의 규명 등이 포함됩니다. 첫 번째 목표는 순환회복이며 최종...2025.01.13
-
A+ KALS 자격증 조사 완벽정리!2025.01.131. KALS 정의 및 과정신청 KALS(Korean Advanced Life Support)는 전문소생술 교육과정이며, KBLS(Korean Basic Life Support)는 기본소생술 교육과정입니다. 대한심폐소생협회 홈페이지에서 과정을 검색하고 원하는 일정을 선택하여 신청할 수 있습니다. 간호사의 경우 간호사 보수교육으로 인정받을 수 있는 기관에서 교육을 받아야 합니다. 2. KALS 자격증 이수조건 KALS 교육생 자격은 병원 내 근무하는 의사, 간호사, 치과의사, 1급 응급구조사, 의학과/간호학과/응급구조학과 교수 및 학...2025.01.13
-
부정맥 종류와 정의2025.05.031. 부정맥 부정맥이란 심장박동(heart rhythm)이 정상적인 리듬을 잃고 흐트러진 상태를 말한다. 심장은 정상적으로 분당 60-100번, 하루 약 10만 번, 규칙적으로 펌프질을 반복하는데 이러한 심장박동에 문제가 생겨서 맥박이 지나치게 빨라지거나 느려지거나 불규칙하게 되는 것이 부정맥이다. 2. 빈맥 빈맥이란 맥박수가 분당 100회 이상인 경우를 말한다. 운동을 할 때나 흥분 또는 긴장할 때 맥박수가 100회 이상으로 올라가는 것은 정상적인 것이지만 안정 시에도 빈맥을 보인다면 이에 대한 정확한 진단과 원인에 대한 규명이 ...2025.05.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