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376개
-
정맥수액요법 통합실습 과제2025.01.131. 정맥수액요법 절차 통합 실습핵심간호술 분석에 따르면, 정맥수액요법의 주요 절차는 손 씻기, 투약 처방 확인, 수액 준비, 수액백 라벨링, 수액세트 연결, 물품 준비, 대상자 확인, 투약 설명, 손 소독, 수액 주입, 주사부위 관찰, 수액 속도 조절, 기록 등입니다. 실제 임상에서는 지침서와 유사한 절차로 수행되지만, 일부 차이점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점적통 1/2 채우기, 수액 유효일자 표시, 주사부위 소독 방법, 바늘 삽입 각도 등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이러한 차이는 간호사마다의 개인적인 방식과 환자 상태에 따른 것으로 판...2025.01.13
-
일혈, 혈관외누출, extravasation 간호2025.05.041. 일혈(Extravasation) 일혈이란 주사 약물이 혈관 밖으로 새어나와 혈관 주변 조직을 손상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일혈 발생 시 즉시 약제의 주입을 멈추고, 청결장갑을 착용한 후 수액 세트나 주사기를 제거하고 주사바늘만 남긴 뒤, 새 주사기를 이용하여 바늘에 남아 있는 약을 흡인하여 빼낸다. 담당의사는 필요에 따라 해독제 주입, steroid 연고 처방, 성형외과 협의진료를 의뢰할 수 있다. 처방에 따라 냉온요법을 실시하며, 처음 24시간은 냉요법, 이후는 온요법을 적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2. 일혈 유발 가능 약물 일...2025.05.04
-
Croup case study(아동간호학, 학령기) - 간호진단 8개2025.05.101. 후두의 염증반응과 관련된 비효율적 호흡양상 대상자는 nasal prong을 제거하고도 Chest retraction이 없이 편안하게 호흡할 수 있다. 대상자는 Wheezing sound 및 쉰 목소리가 나지 않을 것이다. 대상자는 barking cough, sputum이 완화될 것이다. 2. 후두의 염증반응과 관련된 비효율적 기도청결 대상자는 기침 시 가래 소리가 들리지 않는다. 대상자는 호흡을 할 때 편안한 모습을 보인다. 3. 후두의 염증반응과 관련된 고체온 대상자의 체온이 37.5℃ 이하를 유지한다. 4. 고체온과 관련된...2025.05.10
-
쇼크 REPORT2025.01.131. 쇼크의 정의 쇼크는 하나의 단순한 질병이 아니라 임상증후군이며 심한 출혈, 화상, 충격, 손상, 중독, 과민반응(allergy) 등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 일어날 수 있다. 세포학적인 면에서 정의를 내린다면, 조직대사요구에 있어서 관류(perfusion)가 부적절한 상태이다. 즉 세포대사에 필요한 혈류와 산소공급이 부족한 상태이다. 2. 쇼크의 생리적 변화 쇼크 상태에서는 신체 조직으로 가는 모세혈관이 수축하게 된다. 세포 관류의 저하로 세포는 양분과 산소가 부족한 상태가 되고 혐기성 대사를 하게 된다. 이로 인해 세포의 정상...2025.01.13
-
간호현장 법적윤리문제 레포트2025.01.221. 간호단위업무 수행 시 발생하는 법적 문제 간호단위업무 수행 중 발생할 수 있는 법적 문제에 대한 인식이 필요합니다. 사례 1에서는 의약품 주입펌프 조작 중 수액세트를 제대로 잠그지 않아 약물이 급속 주입되어 환자의 의식 및 심박동수가 저하되는 상황이 발생했습니다. 사례 2에서는 지속주입 약물의 용량 감량을 위해 의약품 주입펌프를 조작하는 과정에서 소수점 대신 숫자를 잘못 입력하여 과용량의 약물이 주입되어 일시적인 혈압 상승이 있었습니다. 이러한 사례들은 간호사의 주의 의무 위반으로 인한 의료사고로 볼 수 있습니다. 2. 간호사...2025.01.22
-
모성간호실습 자궁이완으로 인한 산후출혈과 관련된 체액부족 간호과정2025.05.061. 자궁이완으로 인한 산후출혈 자궁이완은 산후출혈의 가장 흔한 원인이다. 자궁의 탄성이 떨어지면 요의가 줄어들 수 있으며, 다량 출혈 시 체액 부족으로 인해 소변량이 감소할 수 있다. 산후출혈 중 간호의 중요한 역할은 결절질 용액(일반 식염수와 포도당 수액) 주입 혹은 혈액 그리고 혈액대체제의 주입이다. 2. 체액부족 두통, 갈증으로 나타나는 자궁이완으로 인한 산후출혈과 관련된 체액부족은 영역 2. 영양/ 나트륨의 변화 없는 물의 소실, 즉 탈수에 의한 혈관 내, 간질 내, 세포 내 체액의 감소이다. 간질액의 손실은 피부 탄력성 ...2025.05.06
-
[A+인증] 중환자실(ICU) 장비 및 기계 정리 보고서2025.05.061. CRRT(continuous renal replacement therapy) CRRT는 특수한 혈관통로를 통해 몸 밖으로 혈액이 기계장치와 연결된 체외순환 라인을 거쳐 다시 몸 안으로 주입되는 과정에서 투석이 이루어지는 치료법입니다. 동정맥 치료 시 평균 혈압을 60-70mmHg로 유지하며 대퇴동맥과 정맥을 이용하고, 정정맥 치료 시 대퇴정맥이나 쇄골하정맥을 사용하며 혈류량이 풍부해야 합니다. CRRT는 신장기능이 손상된 환자에게 하루 24시간 지속적으로 시행되며, 손상된 신장 기능을 대신하여 수분, 노폐물, 전해질 등을 제거...2025.05.06
-
정맥염2025.01.281. 정맥염의 정의와 원인 정맥염은 정맥에 생기는 염증으로, 표재성 정맥에서 가장 흔하게 발생한다. 정맥염은 종종 혈전증과 함께 발생하며 혈전정맥염 또는 표재성 혈전정맥염이라고 한다. 정맥염의 발생 요인에는 내적 요인(수액 세트 및 장치의 오염 등)과 외적 요인(수액 주입 과정에서의 오염, 정맥주사요법 부위 관리 미비 등)이 있다. 2. 정맥염의 증상 및 진단 정맥염의 증상으로는 통증, 압통, 발적, 열감, 부종, 경과, 화농, 정맥 건 촉지 등이 나타난다. 정맥염 진단을 위해 Visual Infusion Phlebitis (VIP...2025.01.28
-
중심정맥관 유지관리(Central line management)2025.05.101. 중심정맥관 삽입 목적 및 분류 중심정맥관이란 수액, 약물, 수혈, 영양공급을 목적으로 상대정맥 혹은 우심방 입구에 삽입 사용하며, 사용 목적과 기간 등을 고려하여 결정한다. 중심정맥관 삽입 목적에는 단기간 or 장기간의 항생제, 항암제 등 약물투여, 말초 정맥염 발생 위험성 감소, 만성중환자에서 장기간 TPN이 필요한 경우, 말초혈관에 접근이 불가능 하거나 잦은 정맥 접근이 필요한 경우, 중환자에서 체액의 균형을 맞추기 위해 중심정맥압을 관찰하는 경우 등이 있다. 사용기간에 따른 분류로는 단기(1-3주), 중기(6개월 전후),...2025.05.10
-
heparinization (잠금용액) 계산 및 주의보관법2025.05.061. 헤파린 잠금용액 계산 헤파린 잠금용액은 국내종양간호학회 권고안에 따라 100unit/mL 헤파린 5mL을 기준으로 하며, 이에 맞춰 생리식염수 용량을 1:100으로 희석하여 사용한다. 구체적인 계산 예시로는 1000unit/10mL, 1000unit/20mL, 20000unit/20mL, 25000unit/5mL 등이 제시되어 있다. 2. 헤파린 잠금용액 주입 주기 중심정맥관은 희석농도에 따라 3일~7일, 매립형 포트는 4주~6주마다 헤파린 잠금용액을 주입하는 것이 권장된다. 3. 헤파린 바이알 보관 방법 헤파린은 다른 약품과...2025.05.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