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혈, 혈관외누출, extravasation 간호
본 내용은
"
일혈, 혈관외누출, extravasation 간호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3.19
문서 내 토픽
-
1. 일혈(Extravasation)일혈이란 주사 약물이 혈관 밖으로 새어나와 혈관 주변 조직을 손상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일혈 발생 시 즉시 약제의 주입을 멈추고, 청결장갑을 착용한 후 수액 세트나 주사기를 제거하고 주사바늘만 남긴 뒤, 새 주사기를 이용하여 바늘에 남아 있는 약을 흡인하여 빼낸다. 담당의사는 필요에 따라 해독제 주입, steroid 연고 처방, 성형외과 협의진료를 의뢰할 수 있다. 처방에 따라 냉온요법을 실시하며, 처음 24시간은 냉요법, 이후는 온요법을 적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
2. 일혈 유발 가능 약물일혈 유발 가능 약물 중 세포독성이 있는 항암제는 조직 손상 성향에 따라 발포제(vesicants), 자극제(irritants), 비발포제(non-vesicants)로 분류된다. 발포제는 혈관 밖 조직에 누출 될 경우 조직 괴사, 수포 등 조직손상을 초래하는 물질이며, 자극제는 혈관 누출 시 통증, 염증을 일으키나, 발포제와 같이 수포나 궤양을 일으키지는 않는 물질이다. 비발포제(non-vesicant)는 일혈을 유발하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최근 일부 약제 누출 시 혈전정맥염, 국소부종, 발적 등의 이상반응이 보고된 바 있다.
-
3. 일혈 유발 가능 항암 주사제의 종류와 처치법일혈 유발 가능 항암 주사제는 발포제(vesicants), 자극제(irritants), 비발포제(non-vesicants)로 분류되며, 각 약제별로 적절한 처치법이 다르다. 발포제는 냉찜질과 해독제(Sodium thiosulfate, Dexrazoxane, Hyaluronidase) 사용이 권장되며, 자극제는 냉찜질, 비발포제는 냉찜질 또는 온찜질과 해독제(Sodium thiosulfate, Hyaluronidase) 사용이 권장된다.
-
4. 정맥주입간호 기록말초정맥염 예방을 위해 'Phlebitis scale'을 사용하여 매 근무 시, 상황에 맞춰 관찰하고 기록하며, 특히 '교환 및 제거 시' 반드시 정맥염을 평가하고 기록한다. 또한 침범된 사지의 Pain, erythema, 경화, 종창, 괴사, 기능손상 여부를 규칙적으로 관찰한다.
-
1. 일혈(Extravasation)일혈은 정맥주사 시 약물이나 수액이 혈관 밖으로 유출되는 것을 말합니다. 이는 환자에게 심각한 조직 손상을 초래할 수 있는 위험한 합병증입니다. 일혈의 원인으로는 혈관 천자 실패, 약물의 자극성, 고농도 약물 투여 등이 있습니다. 일혈이 발생하면 즉시 주사를 중단하고 해당 부위를 냉찜질하며, 의사에게 신속히 보고하여 적절한 처치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예방을 위해 정맥주사 시 주사 부위와 상태를 주기적으로 관찰하고, 주사 기술을 향상시키는 것이 필요합니다.
-
2. 일혈 유발 가능 약물일혈을 유발할 수 있는 약물로는 항암제, 항생제, 스테로이드, 고삼투압 수액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약물들은 혈관 내피세포를 자극하거나 삼투압 차이로 인해 조직 손상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특히 항암제는 세포독성이 강해 일혈 발생 시 심각한 조직 괴사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일혈 위험이 높은 약물 투여 시 주사 부위를 면밀히 관찰하고, 발견 즉시 주사를 중단하고 적절한 처치를 해야 합니다. 또한 약물 투여 전 환자와 보호자에게 일혈 위험성을 충분히 설명하여 주의를 기울이도록 해야 합니다.
-
3. 일혈 유발 가능 항암 주사제의 종류와 처치법항암제 중에서도 특히 독성이 강한 약물들이 일혈을 유발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대표적인 예로 독소루비신, 빈크리스틴, 파클리탁셀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약물이 유출되면 심각한 조직 괴사와 통증, 부종 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일혈 발생 시 즉시 주사를 중단하고 해당 부위를 냉찜질하며, 해당 약물의 특성에 따라 특정 해독제를 투여하는 등의 처치가 필요합니다. 또한 주기적인 모니터링과 함께 환자의 상태를 면밀히 관찰해야 합니다. 일혈 예방을 위해서는 약물 투여 전 정맥 상태를 확인하고, 주사 기술을 향상시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
4. 정맥주입간호 기록정맥주입간호 기록은 정맥주사 시행 과정과 결과를 체계적으로 기록하는 것으로, 환자 안전과 간호의 질 향상을 위해 매우 중요합니다. 기록에는 주사 부위, 주사액 종류와 용량, 주입 속도, 주사 시간, 주사 방법, 환자 반응 등이 포함되어야 합니다. 특히 일혈 발생 시 즉각적인 대처와 처치를 위해 일혈 징후 발견 시점, 대처 내용, 결과 등을 상세히 기록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일혈 예방과 관리를 위한 근거 자료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정맥주입간호 기록은 의료진 간 의사소통과 환자 관리의 연속성을 보장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
침습적 처치와 관련된 혈관손상 위험성(항암제 일혈)에 대한 간호과정 2페이지
[간호진단]침습적 처치와 관련된 혈관손상 위험성[간호사정]주관적 자료“여기가 막 부어있는데 좀 아프네?”객관적 자료Non-Hodgkin’s Lymphoma 4차 항암 위해 입원함vincrestine 투여 후 수액 교환 시 일혈(extravasation) 발견→ Lt. wrist 부위에 발생→일혈 부위 열감→mild한 부종 관찰→일혈 부위 조금 따갑다고 통증 호소함(NRS 2점)[간호목표]단기: 3일 이내에 일혈 증상이 사라진다.장기: 퇴원 시까지 일혈이 재발생하지 않는다.[간호계획]-주사부위 피부를 1시간 마다 사정한다.-주사부위 ...2021.05.19· 2페이지 -
항암화학요법 [PPT 발표자료] 20페이지
항암화학요법Contents 1. 2. 3. 항암화학요법이란 ? 항암제 투여 항암화학요법의 부작용과 간호1. 항암화학요법이란 ? : 암치료에 세포독성 약물을 사용하는 방법으로 , 암을 치료하거나 억제 · 완화시키는 것이 목적이다 수술 , 방사선요법 또는 생물요법과 연계하여 시행하며 , 미세전이 치료가 목적이다 . 수술 전에 종양의 크기를 줄이기 위해 시행 다른 대안적 치료가 없는 환자에게 1 차 치료로 시행 두 가지 이상의 항암제를 함께 사용하는 방법 수술이나 방사선치료가 부적합하거나 재발암일 때 환자의 통증 및 기타 증상을 호전시킬...2021.05.18· 20페이지 -
일혈 문헌고찰 1페이지
일혈(Extravasation)Ⅰ. 정의일혈(Extravasation)이란 혈관에서 조직으로 약물이 새어 나가 침윤 또는 유출된 상태Ⅱ. 원인1. 주사바늘이 혈관 내 정확한 위치에 있지 않을 때2. 환자의 혈관 상태가 좋지 않을 때 (혈관의 탄력성, 크기, 위치 등)3. 항암제 중 특히 더 주변 조직을 자극하고, 파괴하는 항암제가 누출되었을 때amsacrine, cisplatin, dactinomycin, doxorubicin, epirubicin, idarubicin, mitomycin,paclitaxel, vinblastine,...2018.11.16· 1페이지 -
투약간호 18페이지
1. 정확한 약 Right drug : 성분명, 상품명이 다를 수 있으므로 약명을 반드시 확인한다. 2. 정확한 용량 Right dose : 투약 준비 시 약 용량 단위를 계산할 수 있어야 하며, 여러 번 사용할 수 있는 약물인 경우 용매를 섞은 날짜와 시간, 약품명, 용매 1ml당 용량, 준비자의 서명을 기록한다. 3. 정확한 방법 Right route : 적절한 경로와 방법으로 투여해야 기대효과를 얻을 수 있다. 4. 정확한 시간 Right time ① 모든 약물은 적절한 시간에 투여해야 최대의 효과를 얻고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2019.08.23· 18페이지 -
일혈(extravasation)의 발생, 예방, 조치법 24페이지
Extravasation ( 일혈 : 혈관외 유출 ) 혈관에서 주변 조직으로 발포제가 새어나가는 것 일혈에 의한 손상 ( Extravasation injury) 는 약물을 주입하는 동안 정맥 주변조직으로 새어나가 발생한다 .위험 요인 주입 관련 환자 관련 약물 관련주입 관련 요인 정맥주사 주입 시 저항감이 느껴질 때 Cannula 로 혈액 역류가 잘 되지 않을 때 Metal needle, large-gauge catheter 사용시 IV catheter 가 부적절하게 고정된 경우 IV catheter 삽입 부위가 적절하지 않은 경우...2017.04.20· 24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