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216개
-
미생물학 A+ 필기2025.01.021. 박테리아 박테리아는 가장 기본적인 미생물 중 하나입니다. 대표적인 박테리아로는 대장균(Escherichia coli), 이질균(Shigella dysenteriae), 페스트균(Yersinia pestis) 등이 있습니다. 박테리아는 세포벽, 세포막, 리보솜, DNA 등의 기본적인 세포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다양한 대사 활동을 통해 생존합니다. 2. 바이러스 바이러스는 세포 구조를 가지고 있지 않지만, 숙주 세포 내에서 증식할 수 있는 작은 입자입니다. 대표적인 바이러스로는 DNA 바이러스와 RNA 바이러스가 있습니다. 바이...2025.01.02
-
2022년 1학기 서울대 생물학실험 모듈 3 실험보고서2025.01.231. 형질전환 본 실험에서는 재조합된 플라스미드로 대장균을 형질전환하고, PCR과 전기 영동을 통해 형질전환의 결과를 DNA 수준에서 확인하고자 하였다. 여러 종의 플라스미드를 대장균에 도입해 형질전환을 유도했으며, colony PCR을 통해 도입된 플라스미드를 대량으로 복제한 후 확인했다. 2. PCR PCR은 DNA 중합 효소와 프라이머를 이용해 DNA의 특정 부분을 대량으로, 인공 환경에서 복제하는 기술이다. PCR을 통해 실험에서 활용되는 DNA를 대량으로 복제해 사용할 수 있으므로 PCR 기술은 유전 공학에서 매우 중요하다...2025.01.23
-
[식품미생물학실험 레포트] MPN법을 이용한 Coliform 정량실험2025.05.131. MPN법 MPN법은 Most Probable Number Method로 통계확률과 일부의 생장과 관련된 변수와의 관계를 이용하여 시료 내의 세균 수를 세는 방법이다. 주로 먹는 물의 안전성을 측정할 때와 오염도가 낮을 때, coliform과 같은 지표미생물을 검출하고자 할 때 사용한다. 이 방법은 특정 생장 매개변수에 대한 통계표가 존재할 때 사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제한적이다. 2. EC broth EC broth는 Escherichia coli를 위한 선택배지이며 한천이 없는 액체배지로, 추정시험에서 사용된다. Lactos...2025.05.13
-
CFU 미생물 실험보고서, Colony Forming Unit2025.05.061. 미생물의 집락형성능(Colony Forming Unit : CFU) 실험의 원리는 시료 내의 살아있는 미생물은 생장을 통해 colony를 형성하기 때문에 이들 colony 수를 세면 시료 내의 살아있는 미생물의 수를 측정할 수 있다. Colony수를 세면 시료 내의 살아있는 미생물의 수를 측정할 수 있다는 점을 이용하여 CFU를 사용하는데, CFU를 통해 측정한 미생물의 수는 현미경 관찰을 통해 측정한 미생물의 수와 차이가 난다. 2. 실험 재료 및 방법 실험재료로 NB, agar, 증류수를 사용하였고 실험 기기로 UV spe...2025.05.06
-
박테리아의 동정(그램염색)2025.01.031. 미생물의 정의 미생물은 0.1mm 이하의 크기인 미세한 생물로 단일세포 또는 균사로써 몸을 이루며, 생물로서 최소 생활단위를 영위한다. 조류, 균류, 원생동물류, 사상균류, 효모류와 바이러스 등이 이에 속한다. 2. 배지의 정의 및 분류 배지는 실험실에서 식물 및 동물세포, 미생물의 배양에 필요한 영양분을 섞어 인위적으로 만든 혼합물이다. 균종이나 세포종에 따라서 필요로 하는 영양성분이 다르므로 균종에 따라 적절한 배지를 만들어야 한다. 배지는 사용 목적에 따라 증식용 배지, 선별증균배지, 감별배지로 분류되며, 사용 형태에 따...2025.01.03
-
미생물 배양 배지 만들기, 배양 및 관찰2025.01.031. 미생물 미생물은 매우 작아서 눈에 보이지 않는 아주 작은 생물로, 원생생물, 세균, 곰팡이, 바이러스 등을 포함하며 유전적, 생리적, 생화학적, 생태학적으로 다양성을 보인다. 미생물은 원핵미생물과 진핵미생물로 나뉘며, 원핵미생물은 핵막이 없고 핵산이 세포질 내에 존재하는 단세포 생물이고, 진핵미생물은 막으로 둘러싸인 핵을 가진 곰팡이나 효모 등이 포함된다. 2. 배양 미생물의 특징을 알아내거나 증식을 위해 미생물을 배양하는데, 배양이란 미생물을 온도, 산소 등 적당한 조건에서 증식시키는 과정이며 액체배양과 고체배양이 있다. 배...2025.01.03
-
세균과 곰팡이의 항생제와 살균제 반응 차이2025.05.071. 세균 배양 손 씻기 전, 물로 세척 후, 비누로 세척 후, 그리고 손 세정제로 세척 후 각각 손에 있는 세균을 채취하여 배양하고 세균의 수와 상태를 비교하였다. 손 씻기 전 채취한 세균의 수가 가장 많았고, 물로 세척한 후, 비누로 세척한 후, 마지막으로 손 세정제로 세척한 후 채취한 세균의 수가 가장 적었다. 2. 세균과 곰팡이의 항생제 및 살균제 반응 비교 세균과 곰팡이를 항생제와 살균제, 그리고 일반 배지에 각각 접종하여 반응을 관찰하였다. 곰팡이는 항생제 배지에서 가장 많이 증식되었고, 일반 배지, 살균제 배지 순으로 ...2025.05.07
-
완충용액의 생물학적 적용2025.01.291. 완충용액 완충 용액은 산이나 염기를 첨가하여도 수소이온 농도의 변화가 적은 용액으로, 주로 약산과 그 짝염기 또는 약염기와 그 짝산의 혼합물로 구성되어 있다. 헨더슨-하셀바흐 식은 pH 완충용액을 만들 때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2. 미생물 배양 미생물과 함께 배양한 배지에서 배지 성분인 인산의 섭취에 따른 배지의 pH 변화를 분석하였다. 인산을 1가 이온인 H2PO4로 분해할 때와 2가 이온인 HPO4로 분해할 때 수소이온 농도 변화를 계산하였다. 미생물의 대사작용으로 인한 유기산 생성과 암모니아 소비가 pH 변화의 주요...2025.01.29
-
식품미생물실험 실험보고서 배지제조, 식품미생물 실험, 배지제조실험 A+2025.01.291. 배지 제조 배지란 미생물을 배양하기 위해 배양체가 필요로 하는 영양물질과 특수한 목적을 위한 물질을 넣어 혼합한 것이다. 본 실험에서는 굳힌 상태에 따라 평판배지, 사면배지, 고층배지를 제조하였다. 배지를 제조할 때 배양체가 필요로 하는 물질과 실험목적에 부합하는 물질을 제외한 다른 물질이나 미생물 등이 존재할 경우 정확한 실험결과를 얻기 어려우므로, autoclave 처리를 통해 미생물을 사멸시키고 알코올을 이용하여 무균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2. 식품미생물 실험 식품미생물 실험에서는 미생물을 배양하기 위한 배지 제...2025.01.29
-
Cell Culture and Cell Counting using a hemocytometer 보고서2025.01.211. 세포 배양 세포 배양은 동물이나 식물에서 채취한 세포를 인공적으로 조성된 환경에서 성장시키는 과정입니다. 세포 배양에는 세포 배양 플라스틱, 세포 배양 배지, 트립신 등이 사용됩니다. 세포 배양 시 무균 상태를 유지하고 각 세포 유형에 맞는 환경을 제공해야 합니다. 2. 세포 계수 세포 계수는 세포의 수를 측정하는 과정입니다. 트립판 블루 염색법을 이용하여 살아있는 세포와 죽은 세포를 구분할 수 있습니다. 혈구 계산기, 유세포 분석기, 쿨터 계수기 등 다양한 방법으로 세포를 계수할 수 있습니다. 3. NIH-3T3 세포 배양 ...2025.01.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