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022개
-
(22년) 중앙대학교 전자전기공학부 전자회로설계실습 결과보고서 2. Op Amp의 특성측정 방법 및 Integrator 설계2025.04.301. Op Amp의 특성 측정 Op Amp의 두 입력단자에 ground를 연결하고 출력파형을 관찰하였고 Offset Voltage가 증폭되어 나온 출력 -12.5V를 확인했다. Op Amp에 공급하는 전압 이상으로 증폭할 수 없으므로 출력이 Saturation되는 결과가 나타났다. 2. Integrator 설계 R = =1 kΩ, C = 0.47 F의 Integrator를 설계하고, input pulse로 2V, 250Hz의 사각파를 인가하고 2ms 뒤의 출력파형을 관찰하였다. PSPICE 시뮬레이션 결과와는 출력전압의 크기에서 차...2025.04.30
-
[예비보고서]중앙대학교 아날로그및디지털회로설계실습 논리함수와 게이트2025.05.101. NAND 게이트 설계 및 특성 분석 NAND 게이트를 AND, NOT 게이트를 활용하여 설계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 입력이 둘 다 1인 경우 출력이 0이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NAND 게이트의 진리표를 제시하였다. 2. NOR 게이트 설계 및 특성 분석 NOR 게이트를 OR, NOT 게이트를 활용하여 설계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 입력이 둘 다 0인 경우 출력이 1이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NOR 게이트의 진리표를 제시하였다. 3. XOR 게이트 설계 및 특성 분석 XOR 게이트의 회로도와 시뮬레이션 결과를 제시...2025.05.10
-
중앙대 전자회로설계실습 결과보고서82025.01.121. 단일 Current Mirror 구현 및 측정 단일 Current Mirror 회로를 구현하고 측정한 결과를 분석하였습니다. 설계한 대로 회로를 구현하고 전압을 측정하고 전류값을 계산한 결과 대부분 작은 오차를 보였습니다. 설계실습계획서에서 설계한 회로에 비해 실제로 구현한 회로에서는 channel length modulation에 의해 약간의 오차가 발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2. Cascode Current Mirror 구현 및 측정 Cascode Current Mirror 회로를 구현하고 측정한 결과를 분석하였...2025.01.12
-
Input&Output impedence(voltage) A+ 물리화학실험결과보고서2025.01.281. 전압계의 입력저항 측정 실험에서는 전압계의 입력저항을 측정하기 위해 건전지와 전압계를 직렬로 연결하고, 추가로 저항을 연결하여 전압을 측정하였다. 이를 통해 입력저항을 계산할 수 있었다. 새 건전지와 폐 건전지를 사용하여 DVM과 Oscilloscope의 입력저항을 각각 구했다. 입력저항이 클수록 측정값이 실제 값에 가까워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2. 전원의 출력저항 측정 전원의 출력저항을 측정하기 위해 전압계의 양단에 저항을 연결하여 전압을 측정하였다. 이를 통해 출력저항을 계산할 수 있었다. 새 건전지와 폐 건전지를 ...2025.01.28
-
[A+] 인천대 기계공학실험 제어실험 레포트2025.05.051. 제어 공학 제어 공학은 입력과 출력이 존재하는 시스템을 원하는 방향으로 작동하게 하는 작용과 조작을 의미합니다. 개방 루프 제어 시스템(OLCS)과 폐쇄 루프 제어 시스템(CLCS)의 두 가지 유형이 있습니다. OLCS는 시스템의 제어 입력이 출력과 독립적인 경우를 의미하고, CLCS는 시스템의 제어 입력이 출력에 종속적인 경우를 의미합니다. 우리는 CLCS에서 시스템을 원하는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피드백 제어 중 하나인 PID(비례-적분-미분) 제어를 사용합니다. 2. 개방 루프 응답 개방 루프 응답 실험에서는 단계 함수의 ...2025.05.05
-
A+ 2022 중앙대학교 전자회로설계실습 예비보고서 9 피드백 증폭기 (Feedback Amplifier)2025.05.011. Series-Shunt 피드백 회로 설계 Series-Shunt 피드백 회로를 설계하고 시뮬레이션을 통해 입출력 transfer characteristic curve를 확인했습니다. Op amp의 이득이 충분히 크다고 가정하면 입력 임피던스는 무한대, 출력 임피던스는 0에 가까운 값이 되어 입력 전압과 피드백 전압이 같아지게 됩니다. 따라서 출력 전압은 입력 전압과 피드백 저항 비에 의해 결정됩니다. 시뮬레이션 결과 출력 전압이 입력 전압의 2배가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2. Series-Series 피드백 회로 설...2025.05.01
-
전자회로실험 과탑 A+ 결과 보고서 (실험 14 캐스코드 증폭기)2025.01.291. 캐스코드 증폭기 캐스코드 증폭기는 입력단, 증폭단, 출력 특성으로 구성되어 있다. 입력단의 MOSFET M_1은 소스 팔로워 역할을 하며, 증폭단의 MOSFET M_2는 캐스코드 역할을 한다. 캐스코드 구조는 출력 저항을 크게 만들어 전압 이득을 향상시키며, 채널 길이 변조 효과를 최소화하여 넓은 대역폭에서 동작할 수 있다. 캐스코드 증폭기의 전압 이득은 대략적으로 A_v = g_m * R_D로 나타낼 수 있다. 2. 실험 절차 및 결과 실험에서는 V_GG 값을 변화시키며 출력 전압을 측정하였고, 트랜스컨덕턴스 g_m과 출력 ...2025.01.29
-
아날로그 및 디지털회로설계실습 11장 결과보고서2025.01.041. 비동기식 카운터 비동기 카운터는 첫 번째 Flip-Flop에만 클록이 입력되고, 이후 FF는 이전 FF의 출력을 입력으로 사용한다. 이 때문에 delay가 발생되고, glitch나 ripple 현상이 일어나게 된다. 두번째 FF부터는 이전단의 출력을 입력으로 사용하므로 한 stage를 거칠수록 Qn값의 주기가 2배씩 늘어나며 이것을 '분주회로'의 특성으로 볼 수 있다. 때문에 각 stage의 결과값을 이진법기준으로 한자리씩 할당하였을 때, 그 결과값은 clk가 한 주기 지날때마다 1(2)씩 증가하는 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 2...2025.01.04
-
전자회로실험 과탑 A+ 예비 보고서 (실험 22 연산 증폭기 특성)2025.01.291. 연산 증폭기 특성 이번 실험에서는 연산 증폭기의 전압 이득, 입력 저항, 출력 저항, 대역폭, 옵셋 전압, 슬루율 등 기본적인 성능 파라미터들을 익히고 실험을 통해서 측정하여, 이를 바탕으로 연산 증폭기를 이용한 응용 회로를 설계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고자 한다. 2. 연산 증폭기의 이상적인 특성 op-amp의 이상적인 조건에서는 입력 임피던스가 무한대이므로 입력 단자로 전류가 흐르지 않고, 출력 저항이 0이어서 출력 전압이 외부 부하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또한 op-amp의 이득이 매우 크므로 입력 전압 차이가 아주 작아...2025.01.29
-
운영체제 입출력 시스템 레포트2025.05.021. 입출력 시스템과 모듈 입출력 시스템은 모니터, 프린터 등의 하드웨어 장치와 입출력 모듈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입출력 모듈은 메모리, 프로세서, 레지스터 등의 내부 저장장치와 물리적 입출력장치 사이의 이진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을 담당한다. 입출력 채널은 입출력 모듈이 프로세서를 대신해 입출력과 관련한 복잡한 일을 처리하며, 입출력 제어기는 프로세서의 입출력과 관련한 일을 담당한다. 2. 입출력 모듈의 구성 입출력 모듈은 데이터 레지스터, 상태 레지스터, 입출력 논리회로로 구성된다. 데이터 레지스터는 입출력 모듈로 들어가거나 나오...2025.05.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