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286개
-
말하기 활동을 위한 활동지 작성2025.05.121. 정보 차이 활동 정보 차이 활동은 학생들이 자신의 가족 구성원이나 세계 여행지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고 서로 질문하며 의사소통하는 활동입니다. 초급 수준에서는 자신의 가족 구성원에 대해 이야기하고, 중급 수준에서는 세계 여행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질문하는 활동을 진행합니다. 2. 추론 차이 활동 추론 차이 활동은 학생들이 주어진 정보를 분석하고 추론하여 정답을 찾는 활동입니다. 초급 수준에서는 동물에 관한 사실을 바탕으로 동물을 추론하고, 중급 수준에서는 범죄 사례를 바탕으로 범인을 추론하는 활동을 진행합니다. 3. 의견 차...2025.05.12
-
말하기 과제의 유형 중 하나를 선택하여 초, 중, 고급 학습자를 위한 말하기 과제를 각 하나씩 제시2025.01.031. 정보 차이 활동 초급 학습자를 위한 정보 차이 활동으로 각자 받은 활동지를 보고 물건의 위치가 어디에 있는지 짝과 이야기해보는 과제를 제시했습니다. 나와 짝은 서로 다른 정보가 있는 카드를 가지고 있어 질문을 하여 자신의 카드 속 빈 칸을 채워볼 수 있습니다. 중급 학습자를 위한 정보 차이 활동으로는 서울 거주하는 A와 B가 '2023 한강 페스티벌'에 참여하고자 하는 상황을 제시했습니다. A는 인터넷 사이트에서 검색한 정보를, B는 자신이 얻은 정보를 토대로 대화를 나누며 필요한 정보를 얻는 과제입니다. 2. 추론 차이 활동...2025.01.03
-
세종한국어3의 14단원 중 한 단원의 듣기 전 활동 개발2025.05.071. 듣기 + 말하기 통합 활동 초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음식을 말하다'에 대한 주제의 지시문 완성형 지문을 듣고 말하는 활동을 개발했습니다. 김밥, 비빔밥과 같이 발음이 유사한 단어를 사용하여 발음 구분 능력을 확인하고, 떡볶이, 맛있다와 같은 어휘를 통해 악센트와 연음 발음을 연습할 수 있습니다. 2. 듣기 + 쓰기 통합 활동 중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약속'이라는 주제에 대한 지문을 만들고 받아쓰기를 연계했습니다. 6월과 10월의 속음 발음, 6일과 9일, 11일의 연음 등을 확인할 수 있으며, 영화 제목과 약속 시간을 정확히 ...2025.05.07
-
한국어 학습자의 말하기와 쓰기 오류 수정에 대한 논의2025.04.301. 한국어 학습자의 말하기와 쓰기 오류 수정 최근 한국어 학습자들이 보이는 말하기와 쓰기의 오류 수정에 대한 논의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오류 수정의 시기와 방법, 교사, 동료, 학습자 스스로의 오류 수정 방식 등이 중요한 쟁점이 되고 있다. 초급 단계 학습자의 경우 발음, 문법, 어휘 오류에 대한 체계적인 교육이 필요하며, 중급 단계에서는 잘못된 발음의 화석화 방지와 문법 형태의 의미 및 기능에 대한 상세한 설명이 요구된다. 궁극적으로는 학습자 스스로 오류를 발견하고 수정할 수 있는 자기 주도적 학습 방식이 가장 바람직하다....2025.04.30
-
한국어 학습자의 듣기 능력 평가 문항 분석 및 개선방안2025.05.031. 한국어 듣기 능력 평가 한국어 학습자의 듣기 능력을 평가하는 듣기 평가 문항을 문항 분석 관점에서 검토하고 문제가 있는 문항 10개를 찾아 문제점을 분석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주요 문제점으로는 질문의 모호성, 문화적 차이, 어휘와 문법 수준 고려 부족 등이 있었으며, 이를 개선하기 위해 질문 명확화, 문화적 맥락 반영, 초급/중급 수준에 맞는 어휘와 문법 사용 등의 방안을 제시하였다. 1. 한국어 듣기 능력 평가 한국어 듣기 능력 평가는 매우 중요한 과정입니다. 외국인들이 한국어를 배우고 한국 문화를 이해하는 데 있어 듣...2025.05.03
-
Teaching Tips: Creative Activities for English Lessons (Arizona TESOL Approved)2025.05.101. Hospital Storyboard Activity 이 활동은 중급 이상 수준의 영어 수업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 활동을 통해 학생들은 병원 주제를 탐구할 수 있으며, 자신만의 병원 상황을 만들어 발표할 수 있습니다. 필요한 자료로는 역할 이름표, 질병 이름 목록, 예시 대본, 포스터 보드 등이 있습니다. 학생들은 의사, 간호사, 환자 역할을 정하고 대본을 작성하며, 교사는 이를 교정해줍니다. 각 그룹은 자신들의 대본을 발표할 수 있습니다. 고급 학습자의 경우 전문 의학 용어를 추가로 가르칠 수 있습니다. 또한 COVID-...2025.05.10
-
말하기 과제의 유형 중 하나를 선택하여 초·중·고급 학습자를 위한 말하기 과제 제시2025.01.041. Nunan(1989)의 과제 구성 요소 Nunan(1989)은 의사소통 관련 과제를 수행하는 것에 있어서 목표(goals), 입력(input), 활동(activities)이라는 3가지 요소로 구성되어 있음을 주목했다. 목표는 의사소통적, 사회문화적, 학습방법, 언어문화적 목표로 구분되며 상호보완적이다. 입력은 실제적인 자료여야 하며, 활동은 학습자가 입력을 갖고 실제로 수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과제의 구성요소로 교사의 역할, 학습자의 역할, 교실 환경을 제안했다. 2. Nunan(1989)의 과제 구성 요소를 활용한 말하...2025.01.04
-
한국어 문법 표현 교육 연구: 'ㅂ'불규칙, -고 싶다, -(으)려고 하다2025.11.151. 'ㅂ'불규칙 'ㅂ'불규칙은 동사의 어간이 받침으로 끝나는 경우 어미 '-ㅂ-'가 사용되는 문법적 형태입니다. 명령이나 제안을 나타내며 비격식적 상황에서 주로 사용됩니다. 서강한국어 초급 2A, 연세 한국어 초급 1-2, 고려대 한국어 초급 1 등 주요 교재에서 다루어집니다. 예: '같이 커피 마실까요?', '나랑 함께 해운대 해수욕장 가볼래?' 등의 제안 표현에 활용됩니다. 2. -고 싶다 -고 싶다는 자신의 의사나 원하는 것을 표현하는 문법으로, 동사 뒤에 붙어 특정 행동이나 경험에 대한 강한 욕망을 나타냅니다. 서강한국어 ...2025.11.15
-
모음 사각도와 모음 체계의 공통점과 차이점, 한국어교육에서의 활용2025.01.281. 모음 사각도 모음 사각도는 모음이 발음될 때 혀의 위치에 따른 모음의 배열을 시각적으로 표현한 도표입니다. 모음은 혀의 높이에 따라 고모음, 중모음, 저모음으로 나뉘며, 혀의 전후 위치에 따라 전설 모음과 후설 모음으로 구분됩니다. 이를 통해 학습자는 모음이 발음되는 구체적인 위치를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2. 모음 체계 모음 체계는 한 언어에서 사용되는 모음들을 음성적 특성에 따라 분류한 구조입니다. 한국어 모음 체계는 대립 관계를 통해 각 모음이 다른 모음과 어떻게 구별되는지 설명합니다. 예를 들어, ㅏ와 ㅓ는 혀의 높...2025.01.28
-
한국어 교재에서 문학 작품이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 조사하고, 초중고급 등 학습자 수준에 맞는 문학 작품을 선정하고 제안해 봅시다.2025.01.201. 한국어 교재에서 문학작품의 활용 한국어 교재에서 문학 작품은 학습자들에게 언어 학습과 문화 이해를 통합하여 제공됩니다. 이를 통해 학습자들은 언어적 기술뿐만 아니라 한국 문화의 깊이 있는 이해를 동시에 얻을 수 있습니다. 문학 작품은 학습자들에게 다양한 어휘와 문법을 소개하고 확장시키며, 읽고 해석하는 과정에서 학습자들의 독해 능력과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킵니다. 또한 한국의 문화적 배경과 역사에 대한 이해를 촉진합니다. 2. 초급 학습자 수준에 맞는 문학작품 제안 한국어를 배우는 초급자를 위한 문학 작품으로 동요 '옹달샘'을...2025.0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