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24개
-
NICU 신생아 RDS 자료2025.05.101. 체중 및 재태기간과 관련된 고위험 신생아 미숙아 또는 조숙아는 임신 36주 6일 이전에 태어난 신생아를 말한다. 신생아의 출생체중이 10백분위 미만이면 부당 경량아로 보는데 평균과의 차이가 표준편차의 두 배를 넘거나 백분위 3 미만이면 부당 경량아라고 본다. 자궁 내 성장 지연(IUGR)은 임신은 진행되나 태아의 성장 잠재력은 감소된 상태를 뜻한다. 초극소저체중출생아(ELBW)는 출생 시 체중이 1,000g 미만인 경우를 말한다. 2. 호흡곤란증후군(RDS) 유리질막병이라고도 하며, 폐의 발달이 미숙하여 폐의 지속적 팽창을 유...2025.05.10
-
신생아 패혈증 (Neonatal Sepsis)2025.01.141. 신생아 패혈증 신생아 패혈증은 신생아에게 감염이 일어나 혈액에서 세균이나 진균이 발견되는 질환입니다. 신생아들은 면역력이 약하기 때문에 세균 감염의 위험성이 높습니다. 신생아의 경우 특징적인 증상이 잘 나타나지 않으며, 전반적인 증상을 간과하여 놓치기가 쉽습니다. 신생아의 패혈증의 경우 신경학적 장애 등의 심각한 후유증을 남길 수 있습니다. 2. 병태생리 미숙아들은 태반의 보호로부터 일찍 분리되어 각종 박테리아, 바이러스, 진균 및 기생충 감염에 이환되기 쉽습니다. 만삭아는 재태 기간 후반기에 어머니로부터 면역 물질인 IgG를...2025.01.14
-
아동간호학 질병보고서(황달)2025.01.171. 황달의 정의 고빌리루빈혈증(hyperbilirubinemia)은 혈액 중에 빌리루빈이 지나치게 축적되는 현상이며, 황달(jaundice, icterus), 즉 피부와 다른 기관의 색깔이 노랗게 변색되는 특징을 보인다. 고빌리루빈혈증은 간에서 글루쿠론산(glucuronic acid)과 결합하지 않는 간접 빌리루빈에 의한 비포합형 고빌리루빈혈증과 글루쿠론산과 결합하는 직접 빌리루빈에 의한 포합형 고빌리루빈혈증으로 분류된다. 2. 황달의 병태생리 빌리루빈은 적혈구 파괴로 인한 혈색소의 파괴산물이다. 적혈구가 파괴될 때 거기서 나온 ...2025.01.17
-
[간호학과 CASE STUDY] 아동간호학/태변흡입증후군/문헌고찰/간호과정2025.05.141. 태변흡입증후군 태변흡입증후군(meconium aspiration syndrome: MAS)은 만삭아 및 과숙아가 자궁 내 혹은 출생 후 첫 호흡 시에 태변을 흡인해서 발생하는 것으로 심각한 호흡부전을 일으킬 수 있다. 태변은 태아질식이나 자궁 내 스트레스로 인해 자궁강 내에서 배출될 수 있다. 주로 만삭아, 과숙아에 많으며, 특히 재태 기간 42주 이상의 과숙아에서는 거의 50% 정도 발생하고 분만이 지연될 때 호발한다. 태반조기박리, 제대 이상, 모체의 저혈압, 태반순환장애, 임신성 고혈압, 빈혈과 같은 산과적 합병증으로 태...2025.05.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