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ICU 신생아 RDS 자료
본 내용은
"
NICU 신생아 RDS 자료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6.21
문서 내 토픽
  • 1. 체중 및 재태기간과 관련된 고위험 신생아
    미숙아 또는 조숙아는 임신 36주 6일 이전에 태어난 신생아를 말한다. 신생아의 출생체중이 10백분위 미만이면 부당 경량아로 보는데 평균과의 차이가 표준편차의 두 배를 넘거나 백분위 3 미만이면 부당 경량아라고 본다. 자궁 내 성장 지연(IUGR)은 임신은 진행되나 태아의 성장 잠재력은 감소된 상태를 뜻한다. 초극소저체중출생아(ELBW)는 출생 시 체중이 1,000g 미만인 경우를 말한다.
  • 2. 호흡곤란증후군(RDS)
    유리질막병이라고도 하며, 폐의 발달이 미숙하여 폐의 지속적 팽창을 유지시켜주는 물질인 폐 표면활성제가 부족하여 무기폐를 초래하는 대표적인 진행성 호흡부전의 하나이다. 주로 미숙아에게서 나타나는데 폐에서 표면활성제가 부족한 점이 원인으로 밝혀진 후 표면활성제를 인위적으로 보충해 주는 치료법이 개발되어 사망률 감소와 예후 개선을 가져왔다. 요인으로는 폐 발달이 미숙한 미숙아와 당뇨병 산모의 신생아, 흉부 기형에 의한 폐 표면활성제 부족, 유전질환에 의한 폐 표면활성제 단백 유전자 변이, 주산기 가사, 분만진행 지연의 제왕절개술, 다태아(특히 두번째), 백인, 호흡곤란증후군 가족력, 남아 등이 있다.
  • 3. RDS의 병태생리
    RDS의 병태생리는 (1) 폐 표면활성제의 부족에 의한 무기폐, (2) 폐포에서의 공기교환 부족으로 저산소증, 고탄산혈증, 산증의 가중, (3) 폐탄성 감소, 저항의 증가 등 호흡생리의 장애, (4) 여러 장기의 합병증 유발 등이다. 고탄산혈증(PCO₂의 증가), 저산소증(PO₂의 감소), 산증(pH의 감소) 등이 생기면 폐동맥이 수축되어 난원공, 동맥관을 통한 우 - 좌 단락이 되고, 폐동맥 혈류가 감소되어 폐포의 표면과 혈관벽이 손상되며 폐포강 내로 혈액 성분의 단백질과 같은 물질이 흘러나오게 된다.
  • 4. RDS의 임상증상 및 치료
    RDS의 임상증상으로는 청색증, 빈호흡(60회/분 초과), 무호흡, 그렁거림, 코벌렁임 등이 있다. 치료로는 예방하기 위한 방안으로 조산을 적극적으로 예방하는 것과 태아의 폐 발달을 강화하기 위한 스테로이드 요법이 있다. 인공 폐표면활성제 보충요법은 부족한 폐표면활성제를 폐에 직접 투여하여 폐포를 펴지게 유지하여 환아의 산소화 및 호흡을 용이하게 한다. 호흡관리를 위하여 비강캐뉼라로 산소를 투여하고, CPAP, 기도삽관을 통한 기계적 환기요법, 고빈도 진동 환기요법(HFV) 등을 시행할 수 있다.
  • 5. RDS의 합병증
    RDS의 대표적인 합병증은 미숙아 망막증이다. 고농도의 산소에 지속적으로 노출되는 경우 발생의 위험이 증가하며, 재태 주령 34주 미만의 미숙아에서 주로 발생한다. 미숙한 망막에 비정상적인 혈관 조직이 생성되면서 치료 받지 못하는 경우 망막이 떨어지는 경우까지 있으며, 이런 경우 추후 시력에 영향을 받게 되고 심한 경우 실명에도 이르게 된다.
  • 6. 대상자 간호사정
    대상자는 27주 6일 만에 출생한 여아로, 출생 시 체중 685g, APGAR 점수 1분 후 3점, 5분 후 5점이었다. 현재 RDS 진단을 받고 NICU에 입원 중이며, 호흡 보조근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 활력징후는 체온 36.8°C, 맥박 168회/분, 호흡 57회/분, 혈압 63/35mmHg이다. 피부는 전반적으로 pinkish하나 산소포화도가 떨어지거나 힘을 쓸 경우 청색증이 동반된다. 검사 결과 RDS 소견이 있으며, 치료를 위해 인공 폐표면활성제 보충요법, 산소요법, 기계적 환기요법 등을 받고 있다.
  • 7. 가족간호 교육 계획
    대상자의 어머니는 아이의 상태에 대해 매우 걱정스러워하며 거의 매일 면회를 오고 있다. 어머니는 질병 과정, 예후, 치료, 예방법 등에 대해 잘 알고 있으며 적극적으로 정보를 찾아오고 있다. 하지만 퇴원 후 신생아 추후관리에 대해서는 아직 잘 모르고 있다. 간호사는 어머니와의 면담을 통해 신생아의 현 상태와 치료 계획, 퇴원 후 관리 등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고 교육할 필요가 있다.
  • 8. 간호중재 및 평가
    대상자에게 제공된 간호중재로는 인공 폐표면활성제 보충요법, 산소요법, 기계적 환기요법 등이 있다. 이를 통해 대상자의 호흡 상태가 점차 호전되고 있으며, 산소포화도가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있다. 또한 가족 교육을 통해 어머니의 불안이 감소되고 신생아 관리에 대한 이해도가 높아졌다. 향후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함께 퇴원 준비를 위한 교육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 9. 실습 소감
    처음에는 NICU 실습이 어려울 것이라고 생각했지만, 실제로 아기들을 돌보면서 점차 적응하게 되었다. 아기들과 눈을 마주치고 소통하는 것이 즐거웠고, 이론 지식을 실제 사례에 적용해볼 수 있어 유익한 경험이었다. 다만 아기들이 너무 작아 보여 무서웠던 점도 있었다. 앞으로 이론 수업에서 배운 내용을 NICU 실습에서 배운 경험을 바탕으로 더 잘 이해할 수 있을 것 같다.
  • 10. 참고문헌
    문헌고찰을 위해 '최신 아동건강간호학 I', 보건복지부 및 대한의학회 자료, KIMS 온라인, NANDA 간호진단과 중재가이드 등을 참고하였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주제2: 호흡곤란증후군(RDS)
    호흡곤란증후군(RDS)은 폐 표면활성물질의 부족으로 인해 발생하는 호흡 장애입니다. 주로 미숙아에게 나타나며, 폐 표면활성물질이 부족하여 폐포 허탈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호흡 곤란이 나타납니다. RDS의 주요 증상으로는 빠른 호흡, 호흡 곤란, 청색증 등이 있습니다. 치료로는 산소 공급, 인공 폐표면활성제 투여, 기계 환기 등이 사용됩니다. 이를 통해 폐 기능을 개선하고 합병증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또한 조기 진단과 적극적인 치료가 매우 중요합니다.
  • 2. 주제4: RDS의 임상증상 및 치료
    RDS의 주요 임상증상으로는 빠른 호흡, 호흡 곤란, 청색증, 흉부 함몰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증상은 폐 표면활성물질 부족으로 인한 폐포 허탈과 관련됩니다. 치료로는 산소 공급, 인공 폐표면활성제 투여, 기계 환기 등이 사용됩니다. 산소 공급을 통해 저산소혈증을 개선하고, 인공 폐표면활성제 투여로 폐포 허탈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또한 기계 환기는 환기-관류 불균형을 개선하고 가스 교환을 향상시킵니다. 이러한 치료법들을 통해 RDS 환자의 예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 3. 주제6: 대상자 간호사정
    RDS 환자에 대한 간호사정은 매우 중요합니다. 호흡 양상, 산소포화도, 활력징후 등의 생리적 지표를 면밀히 관찰하여 환자의 상태를 파악해야 합니다. 또한 피부색, 체온, 체중 변화 등을 통해 전반적인 건강 상태를 확인해야 합니다. 더불어 배설, 영양 섭취, 수액 균형 등의 생리적 기능도 사정해야 합니다. 이와 함께 가족의 불안감, 스트레스 수준 등 심리사회적 요인도 함께 고려해야 합니다. 이러한 다각도의 사정을 통해 환자의 문제를 종합적으로 파악하고, 이에 맞는 간호 계획을 수립할 수 있습니다.
  • 4. 주제8: 간호중재 및 평가
    RDS 환자에 대한 간호중재는 매우 다양합니다. 우선 산소 공급, 인공 폐표면활성제 투여, 기계 환기 등의 치료적 중재가 필요합니다. 이를 통해 저산소혈증, 환기-관류 불균형 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또한 감염 예방을 위한 무균술 준수, 영양 관리, 피부 간호 등의 기본적인 간호중재도 중요합니다. 더불어 가족 교육, 정서적 지지 등의 중재를 통해 가족의 불안감을 해소하고 환자 간호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이러한 다양한 간호중재를 통해 환자의 상태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평가해야 합니다. 이를 바탕으로 간호 계획을 수정하고 개선해 나가야 합니다.
  • 5. 주제10: 참고문헌
    RDS 환자 간호와 관련된 참고문헌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대한신생아학회. 신생아학. 서울: 군자출판사; 2020. 2. Cloherty JP, Eichenwald EC, Stark AR. Manual of neonatal care. 8th ed. Philadelphia: Wolters Kluwer; 2017. 3. Verklan MT, Walden M. Core curriculum for neonatal intensive care nursing. 6th ed. St. Louis: Elsevier; 2020. 4. Kenner C, Lott JW. Comprehensive neonatal nursing care. 6th ed. New York: Springer Publishing Company; 2019. 5. Merenstein GB, Gardner SL. Handbook of neonatal intensive care. 8th ed. St. Louis: Mosby; 2016. 이러한 문헌들을 통해 RDS의 병태생리, 임상증상, 치료 및 간호 중재 등에 대한 심도 있는 이해를 할 수 있었습니다.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