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57개
-
마음에 새겨진 율법: 새 언약의 의미와 실천2025.11.141. 새 언약과 옛 언약의 비교 히브리서 8:8-13절은 예레미야 31:31-34을 인용하여 새 언약이 옛 언약보다 우월함을 설명합니다. 옛 언약은 돌판에 새긴 외적 율법으로 이스라엘 백성이 불순종하여 실패했으나, 새 언약은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 성도의 마음에 성령으로 기록되는 내적 변화를 약속합니다. 새 언약은 완전한 죄 용서, 하나님과의 친밀한 관계, 모든 성도가 하나님을 직접 알 수 있는 특징을 가집니다. 2. 신앙의 내면화와 자율화 구약에서 신약으로의 전환은 신앙의 내면화를 의미합니다. 하나님은 특정 장소가 아닌 성도의 마음...2025.11.14
-
성경 요약 시편 19장2025.11.121. 하나님의 영광과 창조 시편 19장은 하늘과 창공이 하나님의 영광을 드러내고 그의 솜씨를 알려준다고 표현합니다. 낮과 밤이 말씀과 지식을 알려주며, 그 말씀은 들리지 않아도 온 누리에 퍼지고 세상 끝까지 번져갑니다. 해는 신랑처럼 기뻐하고 제 길을 달리는 용사처럼 즐거워하며, 이는 창조주의 위대함과 자연을 통한 신의 계시를 강조합니다. 2. 주의 교훈과 법령의 가치 주의 교훈은 완전하여 생기를 북돋우고, 증거는 참되어서 어리석은 자를 깨웁니다. 교훈은 정직하여 기쁨을 안겨주고, 계명은 순수하여 눈을 밝혀줍니다. 말씀은 맑아서 영...2025.11.12
-
요한복음 20장 11-23절: 부활의 증인2025.11.131. 예수의 부활과 마리아의 만남 빈 무덤 앞에서 울고 있던 마리아는 부활하신 예수님을 처음에 알아보지 못합니다. 예수님이 마리아의 이름을 부르시자 마리아는 예수님을 인식하고 '랍오니'(선생님)라고 부릅니다. 예수님은 마리아를 부활의 첫 증인으로 삼아 제자들에게 부활의 소식을 전하도록 보내십니다. 이는 부활의 진실과 의미를 증언하는 사명을 부여하는 것입니다. 2. 제자들에게 주어진 평강과 사명 부활하신 예수님은 두려움에 사로잡혀 문을 닫고 있던 제자들에게 나타나 '너희에게 평강이 있을지어다'라고 말씀하십니다. 예수님은 손과 옆구리를...2025.11.13
-
한국기독교회사 3권 서평 및 한국교회의 과제2025.11.141. 한국교회의 성장과 변질 1960년부터 한국은 경제성장과 함께 교회도 놀라운 성장을 이루었다. 70-80년대 주일학교 발전과 대형교회 출현으로 전례 없는 부흥을 경험했다. 그러나 최근 20-30년 사이 교회는 세속화되면서 그리스도인으로서의 정체성이 흐려지고 있다. 교회가 세상을 보고 배우는 형태로 변질되었으며, 이단의 기승과 교회 지도자의 도덕적 타락으로 교회의 권위가 실추되었다. 2. 영적 지도자의 역할과 설교의 중요성 복음주의 4인방(옥한흠, 홍정길, 하용조, 이동원)과 같은 영적 지도자의 부재가 현재 한국교회의 과제이다. ...2025.11.14
-
요아스 왕의 타락과 예배의 중요성2025.11.121. 예배의 본질과 중요성 역대하 24장에서 강조되는 예배는 단순히 예배 장소에 앉아있는 것이 아니라, 삶 전체에서 하나님께 드리는 전심의 경배를 의미합니다. 요아스 왕이 여호야다 제사장의 죽음 이후 예배를 버리고 우상을 섬기게 된 것은 예배의 부재가 얼마나 위험한지를 보여줍니다. 예배는 하나님의 사랑을 묵상하고 기뻐하며 찬양하는 행위로, 우리의 죄를 위해 아들을 보내신 하나님을 경배하는 것입니다. 2. 지도자의 영적 책임과 신앙 교육 여호야다 제사장은 요아스 왕을 돌보았지만 예배를 드리는 방법을 가르쳐주지 못한 한계가 있었습니다....2025.11.12
-
요한 웨슬리의 탄생과 인생2025.11.131. 요한 웨슬리의 초기 생애 요한 웨슬리는 1703년 6월 28일 영국 링컨셔의 에프워스 마을에서 태어났다. 그는 영국국교회 목사인 새뮤얼 웨슬리와 수잔나 애니슬리의 19명 자녀 중 15번째였다. 5세 때인 1709년 2월 9일 목사관에서 발생한 신비로운 화재로부터 기적적으로 구출되었으며, 이 사건은 그의 신앙에 깊은 영향을 미쳤다. 어머니 수잔나는 뛰어난 여성으로 자녀들에게 가정교육을 제공했고, 형 새뮬과 동생 찰스는 모두 목사가 되어 그의 사역에 함께했다. 2. 교육과 신학적 발전 웨슬리는 1714년 차터하우스 스쿨에 입학했고...2025.11.13
-
표준보육과정 기준 만2세 일일계획안2025.11.181. 표준보육과정과 일일계획안 구성 표준보육과정 운영 방침에 맞춰 일일계획안을 작성하며, 연간계획과 월간·주간 계획안을 바탕으로 구성해야 한다. 만2세는 자조기술을 익혀나가는 시기로 옷 입고 벗기, 화장실 사용, 먹기, 씻기 등이 교육과정에 포함되어야 하며, 영아가 보육시설의 일정을 예상할 수 있도록 규칙적으로 구성해야 한다. 그룹활동보다 개별활동에 중점을 두고 흥미와 요구에 반응하여 융통성 있게 조절 운영한다. 2. 만2세 발달특성과 교육계획 만2세는 개별활동에 관심을 두는 특징이 있으며, 상황을 바탕으로 흥미와 요구에 반응하여 ...2025.11.18
-
목회철학: 소명의식과 영혼 구원의 사명2025.11.141. 목사의 소명의식 목사는 무엇보다 소명의식이 있어야 하며, 이는 단순한 감정이 아닌 불변의 마음을 의미한다. 소명의식이 없으면 어려움 속에서 포기하게 되고, 확실한 소명의식은 환경과 상황에 관계없이 하나님의 뜻을 따르게 한다. 저자는 신학을 결심했을 때 가정의 핍박을 받았지만, 확실한 소명의식으로 10년 이상 기도하며 인내한 결과 부모님의 마음이 열렸다고 증언한다. 2. 바른 말씀 선포의 책임 목사는 하나님의 바른 말씀을 온전히 전해야 할 책임이 있으며, 성도들의 눈과 귀를 자극하는 오락적 요소로 말씀을 대체해서는 안 된다. 영...2025.11.14
-
금요기도회 열왕기상 13장 1-10절 말씀 분석2025.11.121. 하나님의 심판과 징조 여로보암이 벧엘 제단에서 불법적으로 분향할 때 하나님이 선지자를 보내 심판을 예고합니다. 심판의 징조는 두 가지로 나타나는데, 첫째는 왕의 손이 갑자기 말라 거두지 못하게 되고, 둘째는 제단이 갈라지며 재가 쏟아집니다. 이는 벧엘 제단과 제사가 부정함을 알려주며, 약 300년 후 요시야 왕을 통해 반드시 이루어질 심판을 예언합니다. 2. 말씀의 순종과 신앙의 정절 하나님의 사람은 여로보암과 극명하게 대조됩니다. 여로보암은 권력을 위해 신앙을 조작하지만, 하나님의 사람은 받은 말씀대로 행하고 전합니다. 왕이...2025.11.12
-
유대교 삼대 종파의 부활관 비교2025.11.171. 바리새파의 부활관 바리새파는 부활을 명확히 믿었던 율법주의자 집단이다. 이들은 율법을 철저히 따르며 정결한 삶을 중시했으며, 죽음 이후에도 하나님의 공의가 실현된다고 믿었다. 지금 이 세상에서 고난받는 자들도 결국 하나님에 의해 구원받고, 정의로운 자는 부활하여 보상을 받을 것이라는 종말론적 신념을 가졌다. 이러한 부활관은 로마의 지배 아래 억압받던 유대인들에게 현실의 불의와 고통을 견딜 수 있는 희망을 제공했다. 2. 사두개파의 부활 부정 사두개파는 바리새파와 정반대로 부활을 믿지 않았다. 이들은 모세오경만을 권위 있는 경전...2025.11.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