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953개
-
5. SOAP note 총비골신경손상으로 인한 foot drop 환자분2025.01.171. 총비골신경손상으로 인한 foot drop 이 환자는 총비골신경손상으로 인한 foot drop 증상을 겪고 있습니다. 발등을 올리는 동작이 어려워 보행에 불편함을 느끼고 있습니다. 치료 목표는 발등 관절 가동범위 증진과 발등 굽힘근 및 발바닥 굽힘근 근력 강화입니다. 치료 계획으로는 관절가동범위 운동, 연부조직 가동술, 전기자극치료, 탄력밴드 저항운동 등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1. 총비골신경손상으로 인한 foot drop 총비골신경손상으로 인한 foot drop은 매우 심각한 신경학적 문제로, 환자의 일상생활과 이동에 큰 지장을...2025.01.17
-
두경부 및 안면부 근육의 종류와 기능2025.11.141. 안면부 근육 안면부 근육은 앞이마근(전두근), 뒤통수근(후두근), 관자근(측두근), 깨물근(교근), 안쪽날개근(내익상근), 바깥날개근(외익상근) 등으로 구성됩니다. 앞이마근은 눈썹을 올리고 이마 주름을 형성하며, 뒤통수근은 두피를 움직이고 두개골을 보호합니다. 관자근은 턱을 움직이고 하악을 매달고 있으며, 깨물근은 음식을 씹는 작용을 합니다. 안쪽날개근과 바깥날개근은 턱의 열고 닫는 기능을 담당합니다. 2. 경부 근육 경부 근육은 두힘살근(이복근), 목널판근(경판상근), 목갈비근(사각근), 목빗근(흉쇄유돌근) 등으로 구성됩니다...2025.11.14
-
근골격계 질환 예방 ppt2025.05.161. 근골격계질환이란? 근골격계질환은 무리한 힘의 사용, 반복적인 동작, 부적절한 작업자세, 날카로운 면과의 신체접촉, 진동 및 온도 등의 요인으로 인해 근육과 신경, 힘줄, 인대, 관절 등의 조직이 손상되어 신체에 나타나는 건강장해를 말합니다. 2. 근골격계질환 발생단계 근골격계질환은 3단계로 발생합니다. 1단계는 작업 중 통증과 피로감이 있지만 하룻밤 지나면 증상이 없어지고 작업능력 감소가 없는 단계입니다. 2단계는 작업 시간 초기부터 통증이 발생하고 하룻밤 지나도 통증이 지속되며 작업능력이 감소하는 단계입니다. 3단계는 휴식 ...2025.05.16
-
근위축성 측삭경화증(ALS)의 원인, 병태생리, 증상 및 간호2025.11.161. 근위축성 측삭경화증(ALS)의 정의 및 원인 근위축성 측삭경화증(ALS)은 상하 운동신경원의 변성으로 나타나는 만성 진행성 신경학적 질환으로, 호흡근이 약해지고 마비되어 사망에 이르게 된다. Lou Gehrig 병으로도 불린다. 원인은 신경전달물질인 글루타메이트의 비정상 자가면역 반응에 의한 신경세포의 변이와 손상, 자유기에 의한 환경적 요인(과도한 세포 내 칼슘, 칼슘통로에 대한 항체 형성), 그리고 약 10%의 환자에서 상염색체 우성 유전자로 유전된다. 2. 근위축성 측삭경화증의 병태생리 ALS는 진행성 퇴행성 질환으로 척...2025.11.16
-
의식수준(LOC, GCS), 운동기능 사정방법 및 해석2025.01.291. 의식수준 사정 방법 및 해석 의식수준은 신경계 환자의 상태 변화를 나타내는 민감한 지표이므로 매우 중요합니다. 의식수준 사정 시 우선 시각이나 청각 자극을 주고 이에 대한 반응을 봅니다. 통각이나 압박 자극을 주고 반응을 볼 수도 있습니다. 의식수준은 5단계로 구분되며, 각 단계별로 자발적인 움직임과 자극에 대한 반응이 다릅니다. 2. GCS(Glasgow Coma Scale) GCS는 의식장애의 수준을 눈뜨기, 언어, 운동의 3가지 기능마다 4~6단계로 기재하는 방법입니다. 각 항목의 점수를 합산하여 coma scale을 산...2025.01.29
-
성인간호학(2) - 골절 사례 진단 보고서 5가지2025.01.161. 골절과 관련된 급성통증 대상자는 골절로 인해 심한 통증을 호소하였다. 간호사는 활력징후 측정, 통증 사정, 비약물적 중재 적용, 진통제 투여, 통증조절 교육 등을 통해 대상자의 통증을 효과적으로 관리하였다. 2. 근골격 손상(골절)과 관련된 운동장애 대상자는 골절로 인해 운동 능력이 저하되었다. 간호사는 ROM 운동, 체위변경, ADL 격려, 재활운동 교육 등을 통해 대상자의 기능 유지 및 향상을 도모하였다. 3. 하지 보조기 착용과 관련된 낙상위험성 대상자는 단하지 석고붕대 착용으로 인해 낙상 위험이 높았다. 간호사는 낙상 ...2025.01.16
-
노인간호학 재활프로그램 NDT, MATT, OT 특징2025.01.151. NDT(neurodevelopmental treatment) 중추신경계발달재활치료로, 뇌졸중, 외상성 뇌손상, 척수손상, 파킨슨병 등의 중추신경계 손상장애 및 근골격계질환으로 근력이 약화되거나 이동·보행·일상생활에 제한이 있는 환자를 대상으로 한다. 보바스 개념, 중추신경계 발달치료, 고유수용성 신경근촉진법 등을 실시한다. 2. MATT or gait운동치료 외상성 뇌손상 및 척수손상 등 중추신경계 손상환자를 대상으로 매트에서의 자세조절 및 자세변경 훈련을 통해 기본적인 체간의 조절과 안정적인 활동을 위한 동작들을 훈련한다. ...2025.01.15
-
신경외과 척추 시술 및 수술 가이드2025.11.181. 요추 디스크 진단 검사법 요추 디스크 탈출증 진단을 위한 주요 검사 방법으로는 하지 직거상 검사(SLR test), 대퇴신경 견인 검사, 근력저하, 감각저하, 심부건 반사 소실 등이 있습니다. SLR 검사는 누운 상태에서 하지를 들어 고관절을 굴곡시켜 좌골신경을 자극하며, 60도 이하에서 방사통이 나타나면 양성입니다. 대퇴신경 견인 검사는 엎드린 상태에서 하지를 뒤로 당겨 고관절을 신전시키는 방법입니다. 신경근 압박 위치에 따라 특정 근육의 근력저하와 감각저하가 나타나며, 심부건 반사도 감소합니다. 2. 경추 디스크 및 신경차...2025.11.18
-
근육수용기의 종류, 관절수용기의 종류와 특성2025.01.271. 근방추 근방추는 근육의 길이 변화와 변화 속도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수용기로, 근육이 늘어나는 것을 감지하여 근육의 길이나 속도에 대한 정보를 중추신경으로 보내 반사적으로 수축을 하여 근육의 길이를 적절하게 유지시켜주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근방추에는 2가지 형태의 감각신경세포가 있는데, 1차 구심성 섬유는 길이와 속도에 민감하고 전도속도가 빠르며, 2차 구심성 섬유는 근 신장 길이에 민감하고 전도속도가 느리다. 2. 골지힘줄기관 골지힘줄기관은 근육의 양 끝에 있는 힘줄에 존재하는 기관으로, 신장성 수축이나 단축성 수축을 할 때...2025.01.27
-
루게릭병 문헌고찰2025.01.161. 루게릭병(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ALS) 루게릭병(Lou Gehrig's Disease)으로 알려진 근위축측삭경화증은 점진적으로 진행하는 퇴행성질환으로, 운동신경세포만 선택적으로 파괴하는 치명적인 질환이다. 원인불명이며 치료방법도 없고, 표준화된 진행양상도 없으며, 예방법도 없다. 일반적으로 50대 후반부터 발병이 증가하며 남성에게 1.4~2.5배 더 높다. 질병 발생 후 2~5년 안에 사망한다. 2. 병태생리 대뇌피질의 상부운동신경원과 뇌간과 척수의 하위운동신경세포에서 퇴행성 변화를 나타낸다....2025.01.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