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간호학 재활프로그램 NDT, MATT, OT 특징
본 내용은
"
노인간호학 재활프로그램 NDT, MATT, OT 특징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5.17
문서 내 토픽
-
1. NDT(neurodevelopmental treatment)중추신경계발달재활치료로, 뇌졸중, 외상성 뇌손상, 척수손상, 파킨슨병 등의 중추신경계 손상장애 및 근골격계질환으로 근력이 약화되거나 이동·보행·일상생활에 제한이 있는 환자를 대상으로 한다. 보바스 개념, 중추신경계 발달치료, 고유수용성 신경근촉진법 등을 실시한다.
-
2. MATT or gait운동치료외상성 뇌손상 및 척수손상 등 중추신경계 손상환자를 대상으로 매트에서의 자세조절 및 자세변경 훈련을 통해 기본적인 체간의 조절과 안정적인 활동을 위한 동작들을 훈련한다. 경사대와 기립기 등을 이용하여 보행전 필요한 근력훈련과 관절안정성 증진, 동통감소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
3. OT(Occupational Therapy)작업치료외상성 뇌손상 및 척수손상환자, 골절 및 절단 등 근골격계 손상환자, 화상, 감각 및 신경손상이 있는 환자, 수부손상이 있는 환자를 대상으로 한다. 단순히 물건을 다루는 능력부터 기능적인 동작과 도구사용 훈련을 통하여 능동적인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작업 뿐만 아니라 게임, 스포츠와 같은 여가 활동을 치료에 접목시켜 기능이 손상된 환자분들게 목적있는 활동을 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
1. NDT(neurodevelopmental treatment)NDT(neurodevelopmental treatment)는 신경학적 발달 장애를 가진 환자들의 기능 향상을 위해 사용되는 치료 방법입니다. 이 치료법은 환자의 자세, 움직임, 감각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개별화된 치료 계획을 수립합니다. 치료사는 환자의 신경학적 결손을 최소화하고 기능 향상을 도모하기 위해 다양한 기법을 사용합니다. 특히 환자의 자세 조절, 근육 긴장도 조절, 감각 자극 등에 초점을 맞추어 치료를 진행합니다. NDT 치료는 뇌성마비, 뇌졸중, 외상성 뇌손상 등 다양한 신경학적 장애 환자에게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치료 과정이 장기적이고 환자의 적극적인 참여가 필요하다는 점에서 어려움이 있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치료사와 환자 간의 긍정적인 상호작용이 중요하며, 환자 개인의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치료가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
2. MATT or gait운동치료MATT(Mobility Assessment Tool for Therapists) 또는 보행 운동치료는 신경학적 장애 환자의 보행 기능 향상을 위해 사용되는 치료 방법입니다. 이 치료법은 환자의 보행 능력을 종합적으로 평가하고, 개별화된 치료 계획을 수립합니다. 치료사는 환자의 근력, 관절 가동범위, 균형, 협응 등을 평가하여 보행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합니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환자 맞춤형 운동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실시합니다. 보행 운동치료는 뇌졸중, 척수 손상, 파킨슨병 등 다양한 신경학적 장애 환자에게 적용될 수 있습니다. 이 치료법은 환자의 보행 기능을 향상시키고, 독립적인 일상생활 수행 능력을 높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치료 과정이 장기적이며, 환자의 적극적인 참여와 동기부여가 필요하다는 점에서 어려움이 있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치료사와 환자 간의 긍정적인 상호작용과 지속적인 관리가 중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
3. OT(Occupational Therapy)작업치료OT(Occupational Therapy) 작업치료는 일상생활 활동 수행 능력 향상을 목표로 하는 치료 방법입니다. 작업치료사는 환자의 신체적, 인지적, 정서적 기능을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개별화된 치료 계획을 수립합니다. 이를 바탕으로 일상생활 활동, 직업 활동, 여가 활동 등 다양한 영역에서 환자의 기능 향상을 도모합니다. 작업치료는 뇌졸중, 외상성 뇌손상, 근골격계 질환, 정신 질환 등 다양한 질환 환자에게 적용될 수 있습니다. 이 치료법은 환자의 자립성과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치료 과정이 장기적이며, 환자의 동기부여와 가족의 협조가 필요하다는 점에서 어려움이 있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치료사와 환자, 가족 간의 긍정적인 상호작용과 지속적인 관리가 중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