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15개
-
[도착지인도조건] 부두인도조건(DEQ)2025.01.271. 부두인도조건(DEQ) 부두인도 DEQ는 Incoterms 1980의 EXQ(Ex Quay)를 개칭한 것으로 'Revised American Foreign Trade Definitions, 1941'의 Ex Duck~(named port of importation)과 동일한 조건이며, Ex Wharf Ex Pier 등으로 불리운다. 부두인도조건은 매수인이 계약물품에 대한 수입통관절차를 완료한 후 지정된 목적항의 부두상에서 임의처분할 수 있도록 하는 조건이다. 2. 위험부담의 분기점 DEO 조건에서 매도인은 계약물품을 합의한 목적...2025.01.27
-
[무역거래절차] 수출거래절차(과정, 단계)2025.01.191. 계약체결의 준비 무역거래를 시작할 때 제일 먼저 하여야 하는 일이 해외시장조사(overseas marketing research)이다. 이것은 자신의 상품을 어느 나라 어느 수입상에게 수출하느냐 하는 것을 결정하기 위한 사전 작업이기 때문이다. 먼저 대상 국가를 선정하기 위하여 각국의 정치. 경제. 사회적 여건을 조사하고, 거래 상대방을 선정하기 위하여 품질, 가격 및 인도기일 등의 적응력을 조사하는 것이 해외시장 조사이다. 이러한 조사결과로 목적시장이 결정되면 구체적인 수입상 또는 수출상을 물색하여야 한다. 2. 계약의 성립...2025.01.19
-
화재로 인한 주택 소실 시 매매계약의 법률관계2025.01.261. 위험부담 위험부담은 유효하게 성립된 채권관계에서 채무자의 귀책사유 없이 급부의 이행이 불가능해진 경우, 그로 인해 발생하는 불이익(위험)을 누가 부담해야 하는지를 다루는 법정책적 문제이다. 우리 민법 제537조는 채권자가 급부의 위험을 부담한다는 전제하에, 쌍무계약의 존속과 그 견련관계를 고려하여 반대급부의 위험(즉, 대가 위험)을 채무자에게 부담시키는 채무자 위험부담주의를 채택하고 있다. 2. 위험이전의 시점 쌍무계약에서 양 당사자의 귀책사유 없이 채무가 후발적으로 이행 불가능해진 경우, 채무자가 부담하던 반대급부의 위험이 ...2025.01.26
-
무역계약에 대한 이론적 내용, 무역계약 체결시 주의해야 할 유의점2025.04.281. 무역계약의 개념 무역계약은 물품이 국제적으로 이동하는 수출입거래를 포함한 대리점계약, 플랜트 수출계약, 합작투자계약 등 제(諸)계약을 의미한다. 무역계약의 기본적 계약은 매도인(seller)과 매수인(buyer)사이에 체결되는 국제물품매매계약(contracts for international sale of goods)이다. 2. 무역계약의 법적 성격 무역계약은 매매당사자 방방의 의사표시 합치만으로 성립하고 계약성립을 위하여 당사자 간에 아무런 급여를 요하지 않는 낙성계약이다. 또한 무역계약은 그 성립을 위하여 당사자 간의 합의...2025.04.28
-
부동산 매매계약에서 매도인과 매수인의 법률관계2025.01.261. 부동산 거래 대금 관련 제도 우리나라의 부동산 거래는 계약 체결, 중도금 지불, 잔금 지불, 부동산 명도 및 등기 등 다단계의 절차를 거치게 된다. 이에 따라 매도인이 계약금과 중도금을 수령하고도 제3자에게 등기명의를 이전함으로써 계약이행을 할 수 없는 상태가 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 계약금 등의 예치제도를 통해 중개업자와 중개의뢰인 양자를 보호하고 원상회복의 문제를 쉽게 해결할 수 있다. 2. 부동산 거래사고 - 기술적 측면의 사고 부동산 거래에서 발생할 수 있는 기술적 측면의 사고는 주로 건물의 하자와 관련된다. 건...2025.01.26
-
무역계약 이론과 체결 시 유의점2025.05.071. 무역계약의 정의와 유형 무역계약은 국경이 다른 당사자 사이 매도인이 약정된 물품에 대한 제공을 약속하고, 매수인은 물품의 대가로 대금을 지불할 것에 대해 약속하여 성립되는 이국간 물품매매계약이다. 이러한 무역계약은 개별계약, 장기계약, 독점계약으로 나눌 수 있다. 2. 무역계약의 법적 성격 무역계약의 법적 성격을 보면 합의 계약, 쌍무계약, 유상계약, 불요식계약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무역계약은 일방 당사자의 청약(Offer)과 상대방 당사자의 승낙(Acceptance)에 의해 성립된다. 3. 무역계약 체결 시 유의점 무역계...2025.05.07
-
무역계약2025.01.191. 무역계약의 개념 무역계약은 국제물품매매계약(國際物品賣買契約, contract for inter- national sale of goods)을 말하는 것으로 매도인(수출상)의 입장에서는 수출계약(export contract)이 되고, 매수인(수입상)의 입장에서는 수입계약(import contract)이 된다. 무역계약은 매매계약(賣買契約, sales contract), 물품계약(物品契約, contract of goods), 국제계약(國際契約, international contract)의 특성을 가지고 있다. 2. 무역계약의 특수...2025.01.19
-
[수업과정안] 정치와 법 교과 중 <개인 생활과 법> 단원의 수업지도안 6차시2025.05.041. 물건의 개념 물건의 개념은 유체물 및 전기 기타 관리할 수 있는 자연력을 말하며, 신체, 바람, 공기, 빛 등은 물건에 해당하지 않지만 관리할 수 있다면 가능하다. 2. 물권의 종류 물권의 종류에는 소유권, 점유권, 제한물권(용익물권, 담보물권)이 있다. 용익물권에는 지상권, 지역권, 전세권이 있고, 담보물권에는 유치권, 질권, 저당권, 근저당권이 있다. 3. 공시의 원칙 거래의 안전을 위해 당사자는 물론 제3자도 쉽게 그 관계를 알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공시의 원칙이다. 부동산 물권 변동의 공시 방법은 등기이며, 동산 물권의...2025.05.04
-
(채권각론) 2023. 5. 1. 甲은 자신이 소유하는 Y 주택을 시가 1억 원에 매매하기로 乙과 합의하였다2025.01.261. 부동산 매매계약에서 매도인의 계약해제권 매수인 을이 중도금을 지급하지 않은 경우, 매도인 갑은 일정한 요건을 갖추어 계약을 해제할 수 있다. 갑은 을에게 상당한 기간을 정해 중도금 지급을 최고해야 하며, 을이 그 기간 내에 중도금을 지급하지 않으면 갑은 계약을 해제할 수 있다. 2. 중도금 미지급 상태에서 잔금 지급 기일이 도래한 경우 중도금 지급의무는 잔금 지급의무에 선행하므로, 을이 중도금을 지급하지 않은 상태에서 잔금 지급 기일이 도래하더라도 갑은 을에게 중도금과 잔금을 모두 지급하고 소유권이전등기를 받아갈 것을 최고해야...2025.01.26
-
무역계약의 품질조건과 수량조건에 대해 설명하시오2025.01.281. 무역계약의 품질조건 무역계약에서 품질에 관한 조건으로 품질결정방법, 품질결정시기, 품질증명방법 등을 명확하게 해야 한다. 품질결정방법에는 견본에 의한 매매, 표준품에 의한 매매, 상표에 의한 매매, 규격에 의한 매매, 명세서에 의한 매매 등이 있다. 품질결정시기는 선적품질조건과 양륙품질조건으로 구분된다. 2. 무역계약의 수량조건 수출입물품의 수량과 관련하여 수량단위, 수량결정시기, 과부족용인 등에 대해 약정해야 한다. 수량단위에는 중량, 길이, 용적, 개수 등이 있으며, 과부족용인조건을 활용하면 운송도중 감량으로 인한 과부족을...2025.01.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