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78개
-
A+] 성인간호학실습_대장염 colitis CASESTUDY(간호진단2개, 간호과정2개)2025.01.201. 대장염 대장염은 강한 병원성 세균이 장내에 들어오면 직접 장점막을 침범하거나, 이들이 내는 독소가 이러한 균형을 깨뜨려 장내로 수분과 전해질이 흡수되지 않고 분비되어 대장에 염증이 발생한 상태로 다양한 원인에 의해 염증이 발생할 수 있다. 원인에 따라 크게 감염성 장염과 비감염성 장염으로 분류한다. 전세계적으로 많이 발생하며 주요 증상으로는 설사, 복통, 혈변, 체중 감소 등이 있다. 내과적 치료에 반응하지 않을 경우 수술이 필요할 수 있다. 2. 대장의 구조와 기능 대장은 회맹판막부터 항문까지 연결되어 있으며, 길이는 1.5...2025.01.20
-
[A+] 아동간호학 케이스 스터디 체액부족의 위험2025.05.081. 감염성 기원 위장염 및 결장염 이XX(M/3) 대상자는 5월 8일 감염성 기원 및 상세불명의 위장염 및 결장염 진단하에 도보로 외래를 경유하여 09:55 입원하였다. 내원 4일전부터 매일 저녁 구토, 설사하여 상태가 호전되지 않아 본원에 내원하였다. 대상자의 주호소는 지속적인 구토, 설사로 인한 탈수 증상, 복통이다. 입원 시부터 NPO 유지하였고 멕쿨(0.3)+5% D/W 50ml IV로 주입하였다. NPO 후 복통은 완화되었다. 1:4 SD 500ml(메인 약물) IV 시작하였고 페디아민 100ml IV로 주입하였다. 구토...2025.05.08
-
성인간호학 대장용종 케이스2025.01.241. 대장(Large intestine) 대장은 소화기 중에 마지막에 위치하며 1.5미터 길이의 관 모양의 장기이다. 대장은 소장의 끝부분인 골반의 오른쪽 장골에서 시작되어 위로 올라가 상복부를 가로지르고 왼쪽 복부를 따라 아래로 내려가 직장을 통해 항문으로 연결된 모양을 하고 있다. 대장은 막창자, 결장, 직장으로 구분되며, 대장벽은 점막, 점막 하 조직, 근육층, 장막의 4층으로 나누어진다. 2. 막창자(맹장) 막창자(맹장)은 소장의 마지막 부분과 상행결장이 연결되는 부위로 끝에는 막창자꼬리(충수돌기)가 있다. 막창자는 음식물을...2025.01.24
-
A+ 성인간호학 실습 결장천공 케이스 간호진단 3개, 간호과정 3개2025.01.091. 장루 관리 장루는 장의 부분이 복벽 위로 끌어올려져 장 내용물의 배설을 위한 출구가 된다. 정상 장루는 분홍-적색, 습기 마찰되면 약간 출혈이 되고, 접촉에 대한 감각이 없으며 불수의적으로 배변한다. 장루 관리 시 주머니는 1/3이 차기 전에 비우고, 개구부의 크기를 측정하여 주머니 구멍크기가 개구부보다 2~3mm 더 크게 붙여야 한다. 또한 장루 관리 방법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다. 2. 수술 후 간호 수술 후 간호에는 신체상 혼란, 급성 통증, 피부통합성 장애 등이 포함된다. 신체상 혼란은 장루로 인한 상실감과 슬픔 반응을 ...2025.01.09
-
궤양성대장염2025.01.221. 궤양성 대장염의 정의 궤양성 대장염은 대장 전체에 걸쳐 점막과 점막 밑 조직에 나타나는 염증성 장질환입니다. 대개 직장과 결장의 말단부에서부터 직장-S자 결장판막을 걸쳐 올라와서 S자 결장과 내림결장으로 퍼져나갑니다. 궤양성 대장염은 염증, 장점막 비대, 울혈, 부종 및 작고 미세한 열상으로 인해 출혈과 농양이 발생합니다. 2. 궤양성 대장염의 원인 및 위험요인 궤양성 대장염의 원인은 세균감염(바이러스, 박테리아), 알레르기 반응 또는 면역 상태 변화, 장벽에 보호 물질이 부족하거나 파괴적인 효소에 의해서 염증이 발생하는 것으...2025.01.22
-
장루 교육2025.05.031. 장루 조성 이유 장루는 주로 IBD(염증성 장질환), 직장암, 항문암, FAP(가족성 선종성 용종증), 장 천공, 장 폐쇄, 괴사성 대장염 등 정상적인 배변 활동이 어려운 경우에 조성됩니다. 2. 장루 위치 선정 장루는 복직근 내에 위치하여 탈장을 방지하고, 환자가 쉽게 볼 수 있는 곳에 있어야 자가 관리가 가능합니다. 또한 환자의 라이프스타일에 맞춰 만족감을 높일 수 있도록 선정됩니다. 3. 장루 유형 장루에는 말단형(End-ostoma)과 루프형(일시적 사용) 두 가지 유형이 있습니다. 장루의 위치, 색, 크기, 모양, 습...2025.05.03
-
병태생리학 A+ 받은 과제 면역질환 크론병과 궤양성대장염 비교2025.01.171. 크론병 크론병은 염증성 장질환의 한 형태로, 소화관 전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원인 불명의 면역성 질환입니다. 다양한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하며, 특히 흡연과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크론병은 주로 15~25세에 호발하며, 여성에게 더 많이 나타납니다. 진단은 장의 모든 층에 걸친 염증과 불연속적인 병변 분포로 이루어지며, 합병증으로는 장벽 섬유화, 장폐색, 누공 형성, 흡수불량 등이 있습니다. 치료는 약물요법, 식이요법, 수술요법 등이 있습니다. 2. 궤양성 대장염 궤양성 대장염은 대장에 염증 및 궤양이 생기는 만성...2025.01.17
-
주로 설사와 함께 나타나는 장애2025.01.111. 급성 설사 급성 설사는 갑작스러운 증상 발현과 함께 정상보다 더 많은 양의 수분이 포함된 대변 배출을 특징으로 합니다. 주요 병리생리학적 기전으로는 장 분비 증가, 장 흡수 감소, 삼투압 부하 증가, 장 운동성 이상 등이 있습니다. 바이러스, 세균, 기생충 감염이 주요 원인이며, 약물 부작용, 염증성 장질환 등도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진단을 위해 대변 검사, 영상 검사 등이 필요하며, 수분 및 전해질 보충, 항생제 치료, 지사제 사용 등의 치료가 필요합니다. 2. 항생제 관련 클로스트리듐 디피실레 감염 항생제 사용 후 발생...2025.01.11
-
성인간호학 실습_소화기외과_장폐색_간호계획-수행-평가2025.05.071. 장폐색 장폐색은 여러 가지 원인으로 인해 장관이 폐색되고, 내용물이 정체하는 병적 상태입니다. 장관이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막혀 장의 내용물을 통과하지 못하는 질병입니다. 증상으로는 심한 복통, 구토, 복부 팽만 등이 있으며, 지속될수록 수분 및 전해질 불균형, 장벽 손상, 복막염 등의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기계성 장폐색의 경우 수술적 치료가 필요합니다. 2. 독성거대결장 독성거대결장은 궤양성 대장염의 급성, 중증형으로 결장, 많게는 상행과 횡행결장의 일부에 가스가 충만하여 발열, 오심, 구토, 복통, 하혈, 설사 ...2025.05.07
-
소화기계 의학용어 및 약어정리(full term/ 한국용어/설명)2025.01.231. 소화기계 의학용어 및 약어 이 자료는 소화기계와 관련된 의학용어와 약어를 정리한 것입니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소화기관의 구조와 기능: 편도, 식도, 위, 간, 췌장, 담낭, 십이지장, 공장, 회장, 맹장, 충수돌기, 결장, 직장, 항문, 장간막, 복막 등 2) 소화기계 질환과 관련된 용어: 연하곤란, 역류, 소화불량, 토혈, 구토, 오심, 식욕부진, 복수, 황달, 저혈당증, 고혈당증, 구내염, 구개파열, 이하선염, 식도염, 급속이동증후군, 궤양, 변비, 설사, 혈변, 장폐색증, 게실증, 장염, 장비틀림, ...2025.0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