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성인간호학 대장용종 케이스
본 내용은
"
성인간호학 대장용종 케이스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11.03
문서 내 토픽
-
1. 대장(Large intestine)대장은 소화기 중에 마지막에 위치하며 1.5미터 길이의 관 모양의 장기이다. 대장은 소장의 끝부분인 골반의 오른쪽 장골에서 시작되어 위로 올라가 상복부를 가로지르고 왼쪽 복부를 따라 아래로 내려가 직장을 통해 항문으로 연결된 모양을 하고 있다. 대장은 막창자, 결장, 직장으로 구분되며, 대장벽은 점막, 점막 하 조직, 근육층, 장막의 4층으로 나누어진다.
-
2. 막창자(맹장)막창자(맹장)은 소장의 마지막 부분과 상행결장이 연결되는 부위로 끝에는 막창자꼬리(충수돌기)가 있다. 막창자는 음식물을 소장에서 받아들여 일시적으로 저장했다가 결장으로 이동시키며, 충수돌기는 특별한 기능은 없지만 인체의 면역발달에 관여하고 유아기 때 인체의 유익한 박테리아들이 대장 내에 자리하도록 조절한다. 또한 수분과 염분을 흡수한다.
-
3. 결장결장은 대장의 대부분을 차지하며 상행결장, 횡행결장, 하행결장, S상결장으로 분류할 수 있다. 상행결장은 맹장이 있는 오른쪽에서 시작해서 간을 향해 위쪽으로 뻗어 올라가 있으며, 횡행결장은 배위 위쪽을 가로지르고, 하행결장은 복부의 왼쪽에 위치한다. S상결장(구불결장)은 길이 약 45cm, S자 모양으로 꺾여서 직장과 연결된다.
-
4. 직장직장은 대장의 마지막 부분으로 결장의 끝부분부터 항문에 이르기까지 약 20cm 정도 부분을 말한다.
-
1. 대장(Large intestine)대장은 소화기관의 마지막 부분으로, 주요 기능은 물과 전해질을 흡수하여 배설물을 만드는 것입니다. 대장은 맹장, 상행결장, 횡행결장, 하행결장, 에스결장, 직장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대장의 주요 기능은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물과 전해질 흡수를 통해 배설물의 농도를 조절합니다. 둘째, 장내 세균총을 유지하여 장내 환경을 안정적으로 유지합니다. 셋째, 배변 반사를 통해 배설물을 배출합니다. 넷째, 비타민 K와 비타민 B12를 합성합니다. 이처럼 대장은 소화기관의 마지막 부분으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
2. 막창자(맹장)맹장은 대장의 첫 부분으로, 소장과 대장을 연결하는 역할을 합니다. 맹장의 주요 기능은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소화 과정에서 발생한 잔여물을 대장으로 이동시킵니다. 둘째, 장내 세균총을 유지하여 장내 환경을 안정적으로 유지합니다. 셋째, 면역 기능을 수행하여 장내 병원균을 제거합니다. 그러나 맹장은 불필요한 기관으로 간주되어 왔으며, 맹장염이 발생할 경우 맹장 절제술을 통해 제거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최근에는 맹장의 중요성이 재조명되고 있으며, 맹장 절제술 이후 장내 세균총 변화와 관련된 질병 발생 위험이 증가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보고되고 있습니다.
-
3. 결장결장은 대장의 중간 부분으로, 상행결장, 횡행결장, 하행결장, 에스결장으로 구성됩니다. 결장의 주요 기능은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소화 과정에서 발생한 잔여물을 저장하고 수분을 흡수하여 배설물을 만듭니다. 둘째, 장내 세균총을 유지하여 장내 환경을 안정적으로 유지합니다. 셋째, 장운동을 통해 배설물을 직장으로 이동시킵니다. 결장 질환으로는 결장암, 크론병, 궤양성 대장염 등이 있으며, 이러한 질환은 결장의 기능 저하와 관련이 있습니다. 따라서 결장의 건강한 기능 유지가 중요하며, 이를 위해 규칙적인 운동, 식이 섬유 섭취, 스트레스 관리 등이 필요합니다.
-
4. 직장직장은 대장의 마지막 부분으로, 배설물을 저장하고 배출하는 역할을 합니다. 직장의 주요 기능은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배설물을 저장하여 배변 시기를 조절합니다. 둘째, 배변 반사를 통해 배설물을 배출합니다. 셋째, 항문을 통해 배설물을 배출합니다. 직장 질환으로는 직장암, 치핵, 직장탈출증 등이 있으며, 이러한 질환은 직장의 기능 저하와 관련이 있습니다. 따라서 직장의 건강한 기능 유지가 중요하며, 이를 위해 규칙적인 배변, 충분한 수분 섭취, 식이 섬유 섭취, 운동 등이 필요합니다.
-
직장암 성인간호학 사례보고서 케이스스터디1. 직장암 직장암은 우리나라에서 네 번째로 발병률이 높은 암으로, 선진국에서는 암환자 중 12%가 대장암으로 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직장암은 주로 선종성 용종에서 시작하여 악성화되며, 동물성 지방 섭취 과다, 섬유질 섭취 부족, 칼슘 및 비타민 D 부족, 조리 방법, 운동 부족, 염증성 장 질환, 대장 용종 등이 주요 원인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증...2025.01.07 · 의학/약학
-
성인간호학실습 대장용종 사례연구 CASE STUDY1. 대장용종의 병태생리 대장은 소화기관의 마지막 부위로, 주로 수분 및 전해질의 흡수가 일어난다. 여러 요인에 의해 정상 대장 점막 세포에 변화가 생겨 작은 선종이 되고, 점차 크기가 커지면서 유전자 변이가 생긴 암세포가 생기면 주변 조직을 침범하며 자라게 된다. 크게 암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있는 종양성 용종과 암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없는 비종양성 용종으...2025.05.11 · 의학/약학
-
성인간호학실습 대장용종 사례연구 CASE STUDY 20페이지
성인간호학실습ⅠCase StudyColonic polyp간호진단 1. 장 세척 약물 투여와 관련된 설사간호진단 2. 질병과 관련된 지식부족간호진단 3. 설사와 관련된 전해질 불균형의 위험과목성인간호학실습Ⅰ실습병원/병동실습기간학번/반/조이름제출일담당교수목 차Ⅰ. 서론 .........................................................................1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Ⅱ. 질병에 대한 문헌 고찰 ....................................................2023.07.25· 20페이지 -
성인간호학 case study 대장용종Polyp of colon 용종절제술polypectomy 29페이지
성인간호학Case Study(Polyp of colon 대장용종, polypectomy 용종절제술)실습조실습장소실습기간교수수간호사학번 및 이름제출일목 차Ⅰ. 자료수집Ⅱ. PBL을 통한 간호과정Ⅲ. 진단검사Ⅳ. 약물Ⅴ. 간호과정Ⅵ. 출처Ⅰ. 자료수집이름 연령 성별입원일 사정일 정보제공자진단명 Polyp of colon수술명 polypectomy1. 대상자의 건강양상1) 교환순환신경 : 신경계 변화 / 증상 약간있음/치매(현재 많이 호전되었음)GCS 점수 14 (E: 4 M: 6 V: 4 )지남력 의식수준 Alert 사람 알아봄 시간 ...2022.10.18· 29페이지 -
[성인간호학 실습A+] 대장용종 케이스스터디 34p 간호진단7개, 간호과정3개 34페이지
Other polyp of coloncase study전공간호학과학년과목성인간호학 실습1학번담당교수님이름- 목 차 -Ⅰ서론1. 사례2. 질병의 특징1) 정의2) 원인3) 임상 증상4) 진단검사3. 치료 및 간호Ⅱ본론1. 대상자 간호사정을 위한 자료수집2. 우선순위에 따른 간호진단 목록Ⅲ참고문헌서론(질병에 대한 문헌고찰)1. 사례92세 남성으로 내원하기 전 변비가 있어 관장 시도 후에도 증상이 호전되지 않아 외래를 통해 내원하였다. 지주막하출혈로 을지대 병원에서 2021.02. 입원하였었고 을지대 병원약을 한달가량 복용을 중단하였다....2022.03.12· 34페이지 -
성인간호학 대장암 케이스 30페이지
20166225 김혜윤 / 성인간호학3 장희정 교수님 / 한림성심병원 본관9병동(기타과)CASE STUDY성인 간호학대장암케이스스터디목 차Ⅰ. 서론1. 사례선정 의의2. 대상자의 건강력3. 입원동기Ⅱ. 본론1. 문헌고찰2. 간호과정Ⅲ. 결론1. 학습자와 사례자와의 종료 사정에서의 환자상태 및 추후 계획/Ⅰ. 서 론1. 사례선정 의의00병원 00병동은 총 57bed로 응급실을 통해 입원한 환자들이 있으며, 장기 입원으로 이어질 경우 main 병동으로 옮겨지게 된다. 그 중에서 외과 case 환자는 실습 주에 2명이 계셨다. 선택한 대...2022.01.22· 30페이지 -
성인간호학 대장암 문헌고찰 8페이지
성인간호학실습(1)대장암 case study목차대장암 31) 정의 32) 원인 3~43) 임상증상 44) 진단검사 4~55) 대장암의 치료 5~66) 대장암수술대상자 간호 67) 수술 후 합병증 6~72. 자아성찰 73. 참고문헌 7~8대장암1) 정의대장암(colorectal cancer)이란 결장과 직장에 생기는 악성 종양을 뜻한다. 발생 위치에 따라 결장에 생기면 결장암, 직장에 생기면 직장암이라고 하며, 이를 통칭하여 대장암 혹은 결장직장암이라고 한다. 대장의 대부분이 결장이기 때문에 맥락에 따라 대장이라는 말로 결장만을 뜻할...2022.10.11· 8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