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28개
-
심박출량 감소, 급성 혼돈, 감염위험성 간호과정2025.01.121. 출혈과 관련된 심박출량 감소 대상자의 V/S을 한시간 마다 사정하여 출혈 여부를 확인하고 혈압을 지속적으로 관리하였다. 심박출량 감소로 인한 흉부 통증과 호흡곤란을 경험할 수 있어 심전도를 통해 심장기능을 평가하였다. 더 이상 출혈을 보이지 않아 대상자의 V/S이 정상범위를 유지하였다. 2. 섬망, 중환자실 환경과 관련된 급성혼돈 대상자의 의식 상실 상태와 행동변화를 사정하였다. 소음과 환경적인 자극을 제한하고 적절한 안전조치를 취하며 제한적인 억제대 사용을 시행하였다. 간호절차나 직무를 수행할 때마다 간단하고 단순하게 설명해...2025.01.12
-
외상성 지주막하 출혈 (Traumatic Subarachnoid Hemorrhage)2025.05.051. Glasgow Coma Scale (GCS) GCS는 의식수준을 평가하는 도구로, 눈 뜨기, 언어 반응, 운동 반응의 3가지 항목으로 구성되며 총 3-15점 사이의 범위를 가진다. 이를 통해 의식 저하 정도를 파악할 수 있다. 2. 뇌실외 배액 장치 (EVD) 뇌실외 배액 장치는 뇌압 상승 시 뇌척수액을 배출하여 두개내압을 낮추기 위해 사용된다. 삽입 방법, 제로잉, 레벨링, 드레인, ICP 측정 등의 관리가 필요하다. 3. 기도 청결 대상자는 기도 내 분비물 증가로 인해 비효과적 기도 청결 문제를 겪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2025.05.05
-
성인 완전방실차단 Complete AV Block 중환자실 케이스2025.01.221. 방실차단 방실전도차단은 심방의 전기 자극이 방실 전도계의 병적인 불응 현상이나 절단에 의하여 심실로 전도되는 데에 장애가 생긴 현상을 말한다. 방실전도의 차단은 심방 내, 방실결절, His-Purkinje 계의 전도지연이나 차단으로 인하며, 히스속 전기도의 기록으로 차단 부위의 해부학적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부 즉, 방실결절 부위에서 방실차단이 일어나면 예후가 좋고, 반대로 하부 즉, 히스속 이하에서 차단이 일어나면 예후는 불량하다. 2. 증상 및 징후 1도 방실전도 장애 - AV node에서 잠깐의 전도 지연...2025.01.22
-
사례기반간호학 실습 PASSBAR 보고서2025.05.111. Acute Subdural Hemorrhage Acute Subdural Hemorrhage는 두개강 내 출혈의 한 유형으로, 뇌 실질 내부와 경막 사이에 출혈이 발생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로 인해 두개강 내압이 상승하고 뇌 조직이 손상될 수 있습니다. 주요 증상으로는 의식 저하, 두통, 구토, 동공 부등, 운동 마비 등이 있으며, 신속한 진단과 수술적 치료가 필요합니다. 2. Subdural bolt 설치 Subdural bolt 설치는 Acute Subdural Hemorrhage 환자에게 시행되는 수술 방법 중 하나입니다...2025.05.11
-
주요 검사 전후 간호2025.05.051. CT 검사 CT 검사 전 처치에는 처방 확인, 6시간 NPO, NPO time 확인, 검사 전 확인기록, 보철물 제거, 조영제 부작용 과거력 확인, BUN/Cr 수치 확인, IV hydration이나 pre mucosten 처방 시 투여, 당뇨약 metfornim 성분 복용 여부 확인, IV line 22G 이상 유지, NS100 연결 등이 포함됩니다. 검사 후 처치에는 V/S check, 식이 진행, 수분 섭취 교육, 조영제 부작용 관찰, post mucosten 처방 시 투여, 전반적인 상태 관찰 등이 포함됩니다. 2. C...2025.05.05
-
[A+]정신간호학실습_지침서_치료적 정신간호 활동(정신과 약물, 투약간호)2025.05.011. Antipsychotic drugs 정신약물 중 항정신병약물은 조현병의 양성증상인 환각, 망상, 와해된 사고 등의 증상에 사용되며, 조현정동장애, 조현양상장애, 단기 정신병적 장애에 주로 사용됩니다. 또한 정신증상을 동반한 주요우울장애와 양극성 장애에 단기간 사용될 수 있습니다. 이 약물들은 기립성 저혈압, 항콜린성 부작용, 체중증가, 내분비와 성기능 부작용, 혈액학적 장애, 신경이완제 악성 증후군, 광과민성 반응, 약물 관련 운동장애 등의 부작용이 있으므로 이를 잘 관찰하고 관리해야 합니다. 2. Anti-depressant...2025.05.01
-
COPD 환자의 약물 치료2025.01.031. Salbutamol Salbutamol은 기관지를 감싸고 있는 평활근에 분포하는 베타-2 수용체에 작용하여 기관지를 확장시키는 약물입니다. 빠르게 작용하여 기관지를 확장시키므로 급성 증상 완화에 효과적이며, 정량식 흡인기, 연무기, 정제 형태 등으로 투여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반복해서 사용하면 기관지 확장 효과가 감소하고 빠르게 내성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주의해야 합니다. 임의로 투여용량 및 투여횟수를 증가시키면 기관지 확장제에 대한 내성이 발생하여 응급상황에서 위험할 수 있으므로 잦은 사용은 제한하고 반드시 의사와 상의...2025.01.03
-
A+폐렴케이스(간호진단4, 간호과정4, 문헌고찰, 간호사정 등)2025.04.271. 질병과 관련된 비효과적 호흡 양상 대상자의 주증상인 Desaturation과 Hemoptysis, 특수검사 결과 Chest A-P view에서 나타난 Hazy opacities in both lungs, ABGA 결과의 호흡성 산증 등을 통해 질병과 관련된 비효과적 호흡 양상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대상자의 객담 양상, 활력징후 및 산소포화도 확인, Ventilator 설정 조정, ABGA 결과 추적 관찰 등의 간호중재를 계획하고 수행하였다. 2. 혈액 응고력 감소와 관련된 출혈위험성 대상자의 DIC Profi...2025.04.27
-
분만장에서 쓰이는 약물2025.01.121. Eruvin - methergin Eruvin - methergin은 1 앰플(1mL) 중 Methylergometrine maleate 0.2mg을 함유하고 있으며, 다음의 경우 출혈의 방지 및 치료에 사용됩니다: 태반 만출 후, 분만 후, 제왕절개술 후, 유산 후 출혈, 자궁퇴축부전. 보통 말레인산메칠에르고메트린으로서 1회 0.1-0.2mg을 정맥주사 또는 1회 0.2mg을 피하 또는 근육 주사합니다. 연령, 증상에 따라 적절히 증감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임부 및 임신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는 부인, 분만 중인 여성, 자간...2025.01.12
-
[A+자료] 가스교환장애, 비효율적호흡양상 등 간호진단12개 간호과정3개2025.05.111. 가스교환장애 대상자는 급성호흡부전으로 인한 가스교환 장애를 겪고 있습니다. 동맥혈 가스분석 결과 PCO2가 상승하고 pH가 상승하는 등 호흡성 산증과 대사성 산증의 양상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이로 인해 빈호흡, 호흡보조근 사용, 객담 배출 곤란 등의 증상이 관찰됩니다. 간호중재로는 활력징후 및 산소포화도 모니터링, 산소 공급, 기도 흡인, 진해거담제 투여 등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2. 비효율적호흡양상 대상자는 폐렴으로 인한 가스교환 장애로 인해 비효율적인 호흡양상을 보이고 있습니다. 빈호흡, 호흡보조근 사용, 객담 배출 곤란 ...2025.05.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