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64개
-
재료공학기초실험_SEM 전자현미경 원리 및 시편준비(2)_세라믹분말관찰2025.05.081. 주사전자현미경(SEM) 원리 및 시편 준비 본 실험에서는 주사전자현미경(SEM)을 이용하여 재료의 미세구조를 관찰하는 방법을 학습한다. 세라믹재료의 파단면 형상, 기공의 존재, 분말의 입자 크기, 표면형상 및 평균 결정립 크기를 조사하기 위한 시료의 준비방법을 실습하고, 주사전자현미경 관찰 및 사진 분석을 통하여 세라믹스의 미세구조에 대한 일반적인 이해를 얻는다. 2. 시편 준비 과정 시험편의 준비 과정은 다음과 같다: (1) 시험편의 절단 - 카본 테잎 위에 분말을 떨어뜨려 준비. 소결체의 경우에는 단면 분석을 위해 시험편을...2025.05.08
-
고상합성법에 의한 BaTiO3 제조와 평가 (XRD 유전율 SEM)2025.05.101. BaTiO3 합성 및 평가 BaTiO3는 Perovskite 구조의 세라믹 물질로 압전성, 강유전성을 나타내며 커패시터, 전자통신 기기의 변환기 등에 사용된다. 본 실험에서는 고체 상태에서 입자의 확산을 통해 화학 반응을 일으키는 고상합성법(Solid State Reaction Method, SSRM)을 이용하여 TiO2와 BaCO3를 반응시켜 BaTiO3를 합성하였다. 실험 중간 과정 및 결과물에 대하여 XRD, SEM, 임피던스 측정기로 분석하였다. 2. 고상반응법을 이용한 BaTiO3 합성 고상반응법은 BaCO3와 TiO...2025.05.10
-
숭실대학교 신소재공학실험2 반도체 소자 전기적 특성 분석 예비보고서2025.01.211. SEM (주사 전자 현미경) SEM은 전자총과 전자선 검출기의 구조를 가지고 있다. 전자총은 전자를 발생시키는 기기이고, 검출기는 시료와 전자선의 상호작용으로 발생한 다른 전자선을 검출하는 기기이다. SEM의 전자총으로부터 나온 전자선은 관측하려는 시료의 표면 원자들과 상호작용하여 이차 전자, 후방 산란 전자, X선 등을 발생시킨다. SEM은 이러한 이차 전자를 검출하여 기본적인 상을 형성하게 된다. 2. AFM (원자력 현미경) AFM은 측정하고자 하는 시료와 AFM 내의 탐침 사이의 미세한 원자간 상호작용을 측정한다. 이를...2025.01.21
-
[고분자공학실험]PMMA 무유화 중합2025.04.281. PMMA 무유화 중합 이 실험은 모노머인 MMA(Methyl methacrylate)에 KPS 개시제를 이용하여 무유화중합 반응을 일으켜 PMMA(Poly methyl methacrylate)를 만드는 실험이었습니다. 실험 후에는 SEM 장치를 통해 만들어진 PMMA의 표면을 관찰하고, 각 시각마다 Conversion을 계산하였습니다. 무유화중합반응은 유화중합반응을 개선시킨 반응으로, 유화제나 이온성 개시제와 같은 물질들이 반응 후에도 잔존하여 폴리머의 성능이나 반응의 Conversion을 저해하는 단점을 보완한 방법입니다. ...2025.04.28
-
[박막공학실험]이온스퍼터링과 탄소코팅2025.05.021. 진공증착법 진공증착법은 진공 중에서 박막을 만들려는 대상 물질을 가열하여 증발시키고, 그 증기를 기판 위에 부착시키는 방법이다. 진공증착은 장치 구성이 간단하고 많은 물질에 쉽게 적용할 수 있으며 물성 연구에 적합하지만, 접착력이 약하고 재현성이 나쁜 단점이 있다. 2. 이온스퍼터링 이온스퍼터링은 고에너지 이온을 음극 물질에 충돌시켜 원자를 떼어내고, 그 원자들이 기판에 증착되어 박막을 형성하는 방법이다. 스퍼터링법은 진공증착과 달리 증착 물질에 직접 운동량을 전달하여 증착이 이루어진다. 3. FE-SEM 전계방사형 전자현미경...2025.05.02
-
Cu와 Sn의 합금 제조 및 분석2025.04.291. 구리(Cu) 구리는 Al과 함께 비철 금속재료 중에서 가장 중요한 금속 원소중의 하나이며, 다른 금속에 비해 우수한 특징은 전기, 열의 양도체이며 전연성이 좋아 가공이 쉽고 내식성이 크며 쉽게 합금이 된다는 것이다. 구리의 물리적, 화학적, 기계적 성질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고 있다. 2. 청동(Cu+Sn) 청동은 구리와 주석의 합금을 말한다. 청동은 인류가 처음 사용하기 시작한 금속으로, 청동기 시대라 하여 역사의 시대 구분에 인용될 정도로 예부터 이용되어 왔다. 주석의 분량을 늘리면 경도가 증가하므로 예전에는 무기 등에 이용...2025.04.29
-
나노 임프린트 리소 그래피 실험 결과 보고서2025.01.211. 나노 임프린트 리소그래피 나노 임프린트 리소그래피 공정은 나노 크기의 패턴을 만들어 내는데 대량 생산이 가능한 방법이다. 나노 크기의 패턴의 mold만 제작 한다면 간단한 공정으로 패턴을 프린트 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공정의 간소화로 공정 시간 및 비용이 감소한다. NIL은 크게 2가지 공정 방법으로 나뉘는데 PR이 열에 반응하는 Thermal NIL방법과 UV에 반응하는 UV NIL 방법이 있다. Thermal와 UV의 대표적 차이점은 공정 방법, 사용 가능한 재료, mold 재질 등이 다르다. 2. Ni mold 처리...2025.01.21
-
[재료공학실험]OLED소재 제조 및 물성 측정2025.01.121. OLED 소재 제조 및 물성 측정 이 실험에서는 OLED 소재인 Alq3를 이온성 액체(TFSI, BF4)를 이용하여 정제하고 열처리 조건에 따른 결정 특성을 SEM과 XRD 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실험 결과, 소수성이 높은 TFSI를 이용하여 160도에서 24시간 열처리한 경우 가장 우수한 결정 특성을 보였다. 이는 OLED 소재로 활용하기에 적합한 것으로 판단된다. 1. OLED 소재 제조 및 물성 측정 OLED 소재 제조 및 물성 측정은 차세대 디스플레이 기술 개발에 매우 중요한 부분입니다. OLED 디스플레이는 기존 ...2025.01.12
-
Synthesis of highly uniform 400nm silica spheres2025.05.011. 실리카 구 합성 이번 실험에서는 sol-gel 방법을 이용해 400nm 크기의 균일한 실리카 구를 합성했다. 먼저 에탄올, 물, 암모니아수를 섞어 염기성 환경을 만들고, 여기에 TEOS(tetraethyl orthosilicate)를 넣어 가수분해와 축합 반응을 통해 실리카 콜로이드를 형성했다. 이렇게 생성된 실리카 콜로이드를 원심분리하여 세척하고 건조하여 최종 생성물을 얻었다. SEM 분석 결과 377-513nm 크기의 균일한 실리카 구가 합성되었음을 확인했다. 이 실험을 통해 sol-gel 방법으로 실리카 입자의 크기를 조...2025.05.01
-
숭실대학교 신소재공학실험2 반도체 소자 전기적 특성 분석 결과보고서2025.01.211. 반도체 소자 전기적 특성 분석 이 보고서는 반도체 소자의 전기적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SEM, AFM, TEM, OM, Alpha step, Four-point probe 등의 분석 기법을 사용한 실험 결과를 다루고 있습니다. 실험을 통해 표면 morphology, 단면 두께, 소자 면적, 상부 전극 두께, 금속 막의 비저항 등을 측정하고 분석하였습니다. 실험 결과 분석에 따르면 불순물, 온도, 금속 막의 구조 등의 요인으로 인해 실험값과 이론값의 차이가 발생하였으며, 금속 막의 두께 감소에 따라 비저항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2025.0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