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분자공학실험]PMMA 무유화 중합
본 내용은
"
[고분자공학실험]PMMA 무유화 중합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2.04
문서 내 토픽
-
1. PMMA 무유화 중합이 실험은 모노머인 MMA(Methyl methacrylate)에 KPS 개시제를 이용하여 무유화중합 반응을 일으켜 PMMA(Poly methyl methacrylate)를 만드는 실험이었습니다. 실험 후에는 SEM 장치를 통해 만들어진 PMMA의 표면을 관찰하고, 각 시각마다 Conversion을 계산하였습니다. 무유화중합반응은 유화중합반응을 개선시킨 반응으로, 유화제나 이온성 개시제와 같은 물질들이 반응 후에도 잔존하여 폴리머의 성능이나 반응의 Conversion을 저해하는 단점을 보완한 방법입니다. 실험 결과, 시간별 Conversion은 58.88%, 88.87%, 94.85%로 나타났으며, SEM 사진에서는 비교적 균일한 PMMA 표면 구조를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
1. PMMA 무유화 중합PMMA(Polymethyl Methacrylate)는 투명성, 내구성, 내화학성 등의 우수한 물성으로 인해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는 중요한 고분자 재료입니다. PMMA의 제조 방법 중 하나인 무유화 중합은 유화제를 사용하지 않고 중합을 진행하는 방식으로, 제품의 순도와 물성 향상에 유리합니다. 이 방식은 반응 속도가 상대적으로 느리고 반응 온도가 높아야 한다는 단점이 있지만, 유화제 잔류물 문제를 해결할 수 있어 최근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무유화 중합 기술의 발전을 통해 PMMA의 제조 공정을 더욱 효율적이고 친환경적으로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