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774개
-
간호학과 약리학 A+ 중간고사, 기말고사 요약정리본 (완전꼼꼼, 성적인증)2025.01.161. 약리학 총론 약리학은 약물의 작용 기전, 약물의 체내 동태, 약물의 치료 목적 등을 다루는 학문입니다. 약물은 정상보다 항진되거나 저하된 생리적 기능을 정상 상태에 가까워지게 하는 화학물질입니다. 약물의 작용 기전은 세포 수용체에 결합하여 신호전달 경로를 조절하는 것이 주요하며, 이온통로 개폐, 효소 억제 등의 기전으로도 작용합니다. 약물은 흡수, 분포, 대사, 배설 과정을 거치며 체내에 순환하게 됩니다. 약물 치료에 있어 간호사의 역할은 약물 오용 방지, 치료 효과 확인, 부작용 발견과 예방 등입니다. 2. 항감염증약 항감염...2025.01.16
-
약물 작용기전2025.05.151. 항생제 약물 작용기전 항생제 약물의 작용기전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페니실린 계열 항생제는 세포벽 합성을 억제하여 항균 효과를 나타내며, 베타락타마제에 대응하는 항생제와 광범위 항생제가 개발되었습니다. 세팔로스포린계 항생제는 페니실린보다 베타락타마제에 더 안정적이며 그람 양성균과 그람 음성균에 효과적입니다. 카바페넴계 항생제는 다른 항생제에 내성을 지닌 세균을 치료할 수 있는 광범위 항균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글리코펩타이드계 항생제는 세균 세포벽 합성을 억제하여 작용하며, 반코마이신과 테코플라닌이 대표적입니다. 퀴놀론계 항...2025.05.15
-
항콜린성 작용이 우리 몸에 미치는 영향 탐구 보고서2025.01.031. 항콜린성 작용 항콜린성 약물은 부교감 신경의 신경 전달 물질인 아세틸콜린의 효과를 억제하는 약물로 비염을 포함하여 위장 장애나 방광 상태, 천식 등을 치료하기 위해 처방 받고 있다. 항콜린성 작용은 부교감 신경 작용을 억제하다 보니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 부작용으로는 동공 축소, 입마름, 심장 박동 천천히, 소화기 운동 저하, 소변 배출 어려움, 땀 분비 감소 등이 있다. 2. 항히스타민제 알레르기 비염은 히스타민의 작용으로 일어나게 되는데, 히스타민은 혈관을 확장시키고 콧물 등 비염 증상을 유발하게 된다. 때문에 비염 치...2025.01.03
-
심장내과 약물 사용2025.01.051. 항혈소판제 혈액 중 혈소판의 응집을 억제하여 혈전의 생성을 억제하는 약물로, 주로 동맥에 작용합니다. P2Y12 억제제로는 Clopidogrel, Ticlopidine, Prasugrel, Ticagrelor 등이 있으며, 기타 항혈소판제로는 Cilostazol, Triflusa, Sarpogrelate 등이 있습니다. 2. 항응고제 응고인자의 활성화를 억제하여 섬유성 형성을 억제하는 약물입니다. DOAC(CHA2DS2-VASc score 2점 이상)로는 Argatroban, Bivalirudin, Lepirudin, Riva...2025.01.05
-
심혈관질환 약물의 약리학적 기전과 효과2025.01.291. 심혈관질환 약물의 분류 심혈관질환을 치료하기 위해 사용되는 약물들은 크게 항고혈압제, 항응고제 및 항혈전제, 항지질제, 심장 기능 개선 약물로 분류된다. 각 약물군은 혈압 조절, 혈액 응고 방지, 지질 수치 개선, 심장 기능 향상 등의 다양한 기전으로 작용한다. 2. 항고혈압제의 기전 및 효과 ACE 억제제, ARB, 베타차단제, 칼슘채널차단제 등의 항고혈압제는 혈관 확장, 심박수 및 수축력 조절 등을 통해 혈압을 낮추는 효과를 나타낸다. 각 약물군은 개별적인 특성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된다. 3. 항응고제 및 항혈전제의 기전...2025.01.29
-
약리학 항암제정리2025.05.121. 항암제 약리 대부분의 항암 화학요법제(항암제)는 유전자의 본체인 핵산의 합성을 억제하거나 헥산의 기능을 저해함으로써 세포분열이 왕성한 악성종양 세포에 강하게 작용하여 항암효과를 발현한다. 항암제의 병용요법은 항암제의 부작용을 감소시키고 암세포들이 항암제에 대해 나타내는 내성을 감소시키기 위해 서로 다른 작용기전을 가진 항암제를 병용하는 방법이다. 항암제에 대한 암세포의 내성 발현 및 그 기전에는 1차 내성과 2차 내성이 있다. 2. 알킬화제 알킬화제는 DNA와 쉽게 공유결합을 형성하여 DNA의 정상적 합성 및 복제를 방해함으로...2025.05.12
-
중추신경계 약물2025.05.051. 항뇌전증제 뇌신경세포에서 비정상적인 전기자극이 일어나 이상행동과 때때로 불수의적 근육 운동을 동반하는 질환인 뇌전증의 치료에 사용되는 약물. 주요 작용기전은 GABA의 억제 효과 증강, 신경막의 소디움 채널 불활성화 기간 연장, 흥분성 신경전달물질 글루타메이트 유리 감소 등이다. 대표적인 약물로는 바르비튜레이트, 히단토인, 카르바마제핀, 발프로산, 프리미돈, 레비티라세탐, 토피라메이트, 조니사마이드 등이 있다. 2. 전신마취제 수술 중 통증 감각을 억제하고 의식을 소실시키는 약물. 주요 작용기전은 GABA 수용체 활성화, NM...2025.05.05
-
정신약물치료 요약정리2025.04.281. 항정신병 약물 정형적 항정신병 약물과 비정형 항정신병 약물의 특징, 작용 기전, 부작용 및 간호 중재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정형적 항정신병 약물은 D2 수용체를 차단하여 양성 증상에 효과적이지만 추체외로계 증상 등의 부작용이 있습니다. 비정형 항정신병 약물은 세로토닌-도파민 길항제, 선택적 D2 길항제, 도파민 부분 길항제 등으로 양성, 음성 증상 모두에 효과적이며 지연성 운동장애 유발 위험이 낮습니다. 항정신병 약물의 부작용으로는 신경학적 부작용, 체중 증가, 대사 부작용, prolactin 증가, 자율신경계 부작용 등...2025.04.28
-
정신간호학 정신약물치료 요약 정리2025.05.031. 항정신병 약물 항정신병 약물은 정신증, 정서장애, 중독장애 등 다방면의 정신질환의 증상 조절이 가능하게 하여 환자들의 삶의 질이 향상되었다. 정형 항정신병 약물(1세대)은 도파민 수용체를 차단하여 작용하며, 비정형 항정신병 약물(2세대)은 도파민과 세로토닌 수용체를 동시에 차단하여 양성증상과 음성증상 모두에 효과적이다. 비정형 항정신병 약물(3세대)은 도파민 시스템을 조절하여 부작용이 거의 없다. 항정신병 약물은 다양한 부작용이 있어 주의 깊게 모니터링해야 한다. 2. 항우울 약물 우울증은 신경전달물질인 아민(노르에피네프린, ...2025.05.03
-
신장이식에서의 면역억제요법의 최신지견2025.04.271. 생물학적 제제를 이용한 면역억제요법 신이식 분야에서 급성거부반응의 예방과 단기간의 이식편 생존율의 향상은 뚜렷한 성장을 보였으나, 이러한 성공은 장기간의 이식편 생존율 향상으로 연결되지 못했다. 역설적이게도 이러한 단기간의 성공적인 성적에 큰 역할을 했던 칼시뉴린 억제제는 후기 이식신 기능 소실과 일반인구에 비해 신이식 환자의 높은 사망률과 관계가 있다. 이에 따라 신독성 약제와 심혈관 부작용을 유발하는 약제를 포함시키지 않는 새로운 면역억제 요법을 모색하고 있다. 특히 생물학적제제들 즉 단클론 항체, 다클론 항체, 면역글로불...2025.04.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