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심장내과 약물 사용
본 내용은
"
Cardio에서 사용하는 약물, 심장내과에서 사용하는 약물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3.05
문서 내 토픽
-
1. 항혈소판제혈액 중 혈소판의 응집을 억제하여 혈전의 생성을 억제하는 약물로, 주로 동맥에 작용합니다. P2Y12 억제제로는 Clopidogrel, Ticlopidine, Prasugrel, Ticagrelor 등이 있으며, 기타 항혈소판제로는 Cilostazol, Triflusa, Sarpogrelate 등이 있습니다.
-
2. 항응고제응고인자의 활성화를 억제하여 섬유성 형성을 억제하는 약물입니다. DOAC(CHA2DS2-VASc score 2점 이상)로는 Argatroban, Bivalirudin, Lepirudin, Rivaroxaban, Apixaban, Dabigatran, Edoxaban 등이 있습니다.
-
3. 혈관확장제ACE 억제제는 안지오텐신 II 형성을 직접적으로 막아 혈압을 낮추며, bradykinin 분해 억제로 인한 부작용이 있습니다. ARB는 안지오텐신 II가 안지오텐신 type1 수용체에 결합하는 것을 막습니다. CCB는 세포내 칼슘 유입을 차단하여 수축을 억제하고 말초동맥을 이완시킵니다.
-
4. 이뇨제신경계에 의한 혈관조절 기전을 통해 혈압을 낮추는 약물로, Thiazide, Furosemide, Amiloride, Metolazone, Eplerenone, Chlorthalidone 등이 있습니다.
-
5. 베타차단제교감신경의 베타수용체를 차단하여 심근 수축력과 심장 박동수를 감소시키는 약물로, Carvedilol, Atenolol, Bisoprolol, Metoprolol, Propranolol, Sotalol, Nebivolol 등이 있습니다.
-
6. 지질저하제고지혈증 치료를 위해 혈중 지질을 저하시키는 약물로, Statin계열인 Atorvastatin, Rosuvastatin, Simvastatin, Pravastatin, Pitavastatin, Fluvastatin, Lovastatin 등이 있습니다.
-
1. 항혈소판제항혈소판제는 혈액 내 혈소판의 응집을 억제하여 혈전 형성을 방지하는 약물입니다. 이는 심혈관 질환, 뇌졸중, 말초혈관 질환 등의 예방과 치료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항혈소판제는 아스피린, 클로피도그렐, 티클로피딘, 프라수그렐 등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각각의 작용 기전과 부작용 프로파일이 다릅니다. 따라서 환자의 상태와 위험 요인을 고려하여 적절한 항혈소판제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장기 복용 시 발생할 수 있는 출혈 위험 등의 부작용에 대한 주기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합니다. 전반적으로 항혈소판제는 심혈관 질환 예방과 치료에 매우 중요한 약물이지만, 개인차와 부작용 관리에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
2. 항응고제항응고제는 혈액 응고 과정을 억제하여 혈전 형성을 방지하는 약물입니다. 이는 심방세동, 심부정맥혈전증, 폐색전증 등의 예방과 치료에 사용됩니다. 대표적인 항응고제로는 와파린, 리바록사반, 아픽사반, 에독사반 등이 있습니다. 각 약물은 작용 기전과 약동학적 특성이 다르므로, 환자의 상태와 출혈 위험 요인을 고려하여 적절한 약물을 선택해야 합니다. 또한 정기적인 혈액 검사와 모니터링이 필요하며, 약물 상호작용과 부작용에 주의해야 합니다. 항응고제는 혈전 예방과 치료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개인차와 안전성 관리가 필수적입니다.
-
3. 혈관확장제혈관확장제는 혈관 내경을 확장시켜 혈류를 증가시키는 약물입니다. 이는 협심증, 고혈압, 말초혈관 질환 등의 치료에 사용됩니다. 대표적인 혈관확장제로는 질산염 제제, 칼슘 통로 차단제, ACE 억제제, 안지오텐신 II 수용체 차단제 등이 있습니다. 각 약물은 작용 기전과 부작용 프로파일이 다르므로, 환자의 상태와 동반 질환을 고려하여 적절한 약물을 선택해야 합니다. 또한 장기 복용 시 내성 발생, 신장 기능 저하, 저혈압 등의 부작용에 주의해야 합니다. 혈관확장제는 심혈관
-
성인간호학 심혈관계 약물 정리1. 심근에 작용하는 약물 심근에 작용하여 심근의 수축력을 높이거나 심장기능조절을 담당하는 중추신경을 활성화시켜 심장박동을 강화시키는 약물이다. 강심배당체는 심근세포막의 Na+ pump를 억제하여 Ca++유입을 증가시켜 심근의 수축력을 증가시키며, 베타효능제는 adenylate cyclase(아데닐산 고리효소)를 활성화 시켜 cMAP농도를 증가시켜 심근의 ...2025.05.07 · 의학/약학
-
응급약물 및 심폐소생술 CPR 관련 PPT 컨퍼런스 자료1. 약물 투여 경로에 따른 효과 약물의 투여 경로에 따라 생체 내에서의 효과가 달라진다. 경구 투여는 문맥순환을 거치므로 효능이 제한되지만, 설하 투여는 모세혈관으로 직접 전달되어 간대사 과정을 거치지 않는다. 직장 투여는 간대사 제거율을 최소화하고, 정맥 투여는 신속한 최대 농도 도달이 가능하다. 근육 및 피하 투여는 서서히 용해되어 지속성 효과가 있으...2025.01.12 · 의학/약학
-
울혈성 심부전 케이스 및 약물 사례 보고서1. 울혈성 심부전 이 환자는 심장의 기능 저하로 신체에서 필요한 만큼의 혈액을 충분히 공급하지 못하는 질환인 울혈성 심부전을 의심해볼 수 있다. 울혈성 심부전은 좌심부전과 우심부전을 동반한다. 이 환자는 호흡곤란, 쉽게 피로함, 가래가 있는 기침, 경정맥 울혈, 복부팽만, 부종 등의 증상을 보이고 있어 울혈성 심부전을 의심할 수 있다. 2. Valsart...2025.05.09 · 의학/약학
-
선천성심장질환 아동간호 시나리오 및 문헌고찰1. 선천성 심장질환의 주요 증상과 징후 선천성 심장질환의 주요 증상과 징후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심방중격결손, 심실중격결손, 동맥관 개존증, 방실중격결손, 동맥간증, 폐동맥 협착, 활로 4징후, 대혈관 전위, 삼천판 폐쇄, 대동맥 축착, 대동맥 협착, 좌심형성부전증후군 등의 증상과 징후를 자세히 기술하고 있습니다. 2. 모세기관지염 아동의 간호중재 ...2025.01.13 · 의학/약학
-
성인간호학 심방세동 간호과정, 케이스 스터디1. 심방세동 심방세동은 심실상성 자극형성장애로, 심방벽에서 발생되는 이소성 자극에 의해 심방의 여러 부위가 아주 빠르고 불규칙적으로 흥분하는 상태이며 심방수축이 효과적이지 않다. 원인으로는 선천적/후천적 심질환, 비정상적인 전도경로/전도장애, 심근비대, 심근세포 손상, 폐질환, 결합조직 질환, 전기쇼크, 대사성 질환 등이 있다. 심방세동의 빈도는 구조적인...2025.05.03 · 의학/약학
-
심근경색증 케이스스터디1. 심근경색증 심근경색증은 관상동맥이 막혀 심근에 산소 공급이 원활하지 않아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주요 증상으로는 가슴 답답함, 호흡곤란, 흉통 등이 있으며 신속한 치료가 필요합니다. 치료로는 관상동맥 중재술(PCI), 약물 치료 등이 있습니다. 환자 관리를 위해 산소 공급, 안정, 금연, 저염식이 등의 간호중재가 필요합니다. 2. 심전도 검사 심전도 검...2025.01.21 · 의학/약학
-
EKG상세, 심장약물 및 사용법 재세동기사용법 26페이지
EKG 심장약물 제세동기심장의 심박동 주기 중에 일어나는 심장 근육의 전기적인 활동 상태를 그래프로 나타낸것 V1 오른쪽 흉골의 네번재 늑간 V2 V1 과 대칭되는 왼쪽 흉골의 네번째 늑간 V3 V2 와 V4 사이의 중간지점 V4 좌측 쇄골 중앙선상의 5 번째 늑간 V5 V4 에서 수평으로 좌측 전액와선상의 5 번째 늑간 V6 V5 에서 수평으로 좌측 액와중안선상의 5 번째늑간정상 심전도 심전도 기본 파형의 명칭 P 파 : 심방 흥분시에 생기는 파형 QRS 파 : 심실 흥분시에 생기는 파형 T 파 : 심실의 탈분극으로부터 재분극에 ...2023.02.11· 26페이지 -
약리학-심장기능상실 약물(심장 작용 약물) 7페이지
약물별 교육지침 및 간호과정주제: Chapter10심장기능상실약물과목명임상병리학제출일2019. 04. 01조원3조담당교수강OO 교수님목차Ⅰ. 해부, 생리 및 병태생리 개요1. 심장기능상실이란?2. 원인3. 증상4. 분류Ⅱ. 약리개요1. 안지오텐신전환효소억제제(ACE 억제제)2. 안지오텐신 Ⅱ 수용체 차단제3. beta-blockers4. aldosteron 길항제5. B-type natriuretic peptide6. PHOSPHODLESTERASE(PDIs) 억제제7. 강심배당제Ⅲ. 간호과정Ⅳ. 환자교육지침Ⅴ. 기억해야 할 사항Ⅵ...2022.06.23· 7페이지 -
심장내과 약물 종류, 작용, 기전 10페이지
< REPORT >(심장내과: 상품명, 일반명, 약리작용, 적응증, 부작용, 투여 시 주의사항)Ⅰ. 항응고제와 항혈소판제? Antiplatelets- Aspirin- P2Y12 Inhibitor1. Clopidogrel (Plavix)2. Ticlopidine3. Prasugrel4. Ticagrelor (Brillinta)- other Antiplatelets1. Cilostazol(Pleetal)2. Triflusal(Disgren)3. Sarpogrelate(Anplag)? 약리작용- 혈액 중 혈소판 응집을 억제하여 혈전의 생...2023.03.28· 10페이지 -
순환계 약물 6페이지
순환계 약물▶병명?약물?작용?부작용?간호중재 알아보기※ 심부전(1) Digitalis 투여 : 심근수축 강화(2) β 교감신경 효능제- Dopamine, dobutamine , 에피네프린, 노르에피네프린(3) 이뇨제※ 심근경색(1) 정맥주사용 니트로글리세린 (nitroglycerine)(2) β 교감신경 차단제- Propra-nolol, atenolol, metoprolol(3) 모르핀※ 협심증(1) 항혈소판제- 아스피린, clopidogrel(2) 교감신경차단제 (β-blocker)- propranolol, atenolol, me...2022.05.28· 6페이지 -
A+ 약리학과제(약물사용에 대한 조사. 알레르기성 비염) 4페이지
약리학과제(약물사용에 대한 조사)대상자 성명/성별/나이: 최**(F,46)나와의 관계: 어머니병명: 알레르기성 비염지금으로부터 5년 전 고양이를 처음 키우고나서부터 어머니는 심한 눈 가려움, 재채기,콧물의 증상을 발견했지만, 처음엔 환절기철이었기에 감기에 걸린 줄 아시고 면역 관리에 신경쓰심. 하지만 증상이 호전되지 않고 지속되자 고양이 알레르기성 비염일 가능성을 생각해보게 되셨고 병원에 내원에 알레르기 검사를 하게 되어 고양이에 높은 알레르기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되셨다고 함. 알레르기성비염을 치료하는 가장 최적의 방법은 항...2025.02.05· 4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