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35개
-
MI, CAG, PCI, PTCA, HF, 심장약물, case (병동 컨퍼런스 발표용)2025.01.041. MI (심근경색증) 심근경색증은 관상동맥의 폐쇄로 인해 심근 조직이 괴사되는 질환입니다. 증상으로는 흉통, 호흡곤란, 오심, 구토 등이 있으며 신속한 치료가 필요합니다. 치료법으로는 혈전용해제 투여, 경피적 관상동맥 중재술(PCI), 관상동맥 우회술 등이 있습니다. 2. CAG (관상동맥 조영술) 관상동맥 조영술은 관상동맥의 협착 정도를 확인하는 검사입니다. 카테터를 통해 조영제를 주입하고 X선 촬영을 하여 관상동맥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치료 방법을 결정할 수 있습니다. 3. PCI (경피적 관상동맥 중재술...2025.01.04
-
PICC2025.01.021. PICC (Peripherally Inserted Central Catheter) PICC는 말초에서 삽입되는 중심정맥관으로, 항암제, TPN, 수혈 및 정기적 채혈을 위해 사용됩니다. PICC 시술의 목적은 반복적인 정맥 천자로 인한 환자의 통증과 스트레스를 줄이고, 고삼투액의 주입이나 수포성 항암제 투여 시 합병증을 예방하는 것입니다. PICC는 최소 2주에서 최대 1년까지 유지할 수 있으며, 특히 혈관이 약하거나 작은 어린이, 노인 환자에게 적합합니다. PICC 시술 전후 간호 준비물품과 주의사항, 관리 방법 등이 자세히...2025.01.02
-
NESTEMI 간호진단(2개)2025.01.201. 심근 허혈과 관련된 통증 심근 허혈은 심장 근육으로 혈액 유입이 감소되는 상태로 이로 인해 충분한 산소를 취하지 못하게 된다. 혈액 유입의 감소는 부분적 또는 완전히 심장 근육으로 가는 관상동맥이 막히게 되면서 오게 된다. 심근 허혈은 심장 근육에 손상을 주게 되는데 이는 통증의 주 원인이 된다. 2. 혈전 용해제 투여와 관련된 출혈 위험성 PCI 시술은 대퇴동맥이나 요골동맥을 통해 관상동맥으로 스텐트가 장착된 풍선카테터를 삽입한 후 스텐트를 막힌 부위에 놓는다. 스텐트 삽입 후 혈전증을 예방하기 위해 시술 전후와 시술동안 항...2025.01.20
-
클라리베인 시술2025.01.181. 하지정맥류 치료법 클라리베인(ClariVein)은 하지정맥류 3세대 치료법 중 하나로, 경화제(STS)를 주입하여 혈관을 딱딱하게 만들어 사멸되고 조직이 사라지게 유도하는 방법입니다. 수술 과정 중 클라리베인의 카테터가 돌아가면서 혈관을 자극하는 동시에 약물이 투입되어 물리적, 화학적 자극을 통해 고장난 혈관을 치료합니다. 2. 클라리베인 시술 방법 클라리베인 시술은 카테터 끝의 쇠로 된 부분이 분당 3000회 이상 회전하면서 혈관벽을 긁어주고, 약을 쏘면서 혈관벽 내로 약이 침투하는 방식으로 혈관을 폐쇄시키는 방법입니다. 3...2025.01.18
-
A+ 성인간호학 ICU 임상 실습 일지2025.01.201. JCI 실제 적용 첫 날 전체 오티시간에 아주대학교병원은 감염관리에 특히 철저하게 주의하고 신경쓰고 있다고 하였다. 그래서 CCU에 간 후에 JCI 인증기준 중 '감염예방과 관리'를 중점으로 살펴보았다. 실제로 병원에서 환자의 체위변경을 하거나 검사나 전실을 위해 스트레쳐 카트 등으로 환자를 옮겨야 할 때 맨손으로 하지 않고 반드시 청결장갑과 비닐가운을 착용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한 환자와 접촉한 후에는 반드시 손위생을 실시한다. CCU에는 읍압병실이 2병실이 있는데 그 중 한 곳은 코로나 환자 격리 병실로 이용되었다....2025.01.20
-
TFCA 보고서, 뇌혈관조영술2025.01.041. TFCA(Transfemoral Cerebral Angiography) TFCA(Transfemoral Cerebral Angiography)는 대퇴동맥을 통해 조영제를 주입하여 뇌혈관을 X-ray로 확인하는 검사 방법입니다. 이 검사는 뇌혈관 질환을 진단하는 데 가장 정확한 방법이지만 침습적이어서 합병증의 위험이 있습니다. 따라서 CT, MRI, 경동맥 초음파 등의 비침습적 검사를 먼저 시행하고, 혈관 이상이 의심되는 경우에 TFCA를 실시합니다. TFCA를 통해 뇌동맥류, 동정맥 기형, 뇌혈관 폐쇄성 질환, 두개내 종양 등...2025.01.04
-
PCD 문헌고찰2025.05.041. 경피적 카테터 배액술 경피적 카테터 배액술(Percutaneous Catheter Drainage, PCD)은 몸 안에 있는 농양(고름집)에 카테터라는 가늘고 긴 관을 몸 밖에서 피부를 통해 넣어 고름을 배출시키는 시술입니다. 이 시술은 농양을 방치하면 감염이 확장되고 패혈증 같은 큰 부작용으로 이어질 수 있어 사용됩니다. 적응증으로는 흉막강 내 체액 저류, 혈흉, 복강 내 농양, 복수, 혈종, 간 내 농양 및 혈종, 췌장의 가성 낭종 등이 있습니다. 2. 시술 전 간호 시술 전 간호 과정에는 4~6시간 금식, 동의서 확인, ...2025.05.04
-
흡인, 분비물 배출을 위한 간호2025.05.071. 흡인 간호 흡인은 기도를 폐쇄하는 분비물을 제거하여 기도 개방을 유지하고, 호흡기능을 증진시키며, 진단적 목적으로 분비물을 채취하고, 분비물 축적으로 인한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 시행합니다. 흡인 방법에는 구강인두 흡인, 비강인두 흡인, 구강기관흡인, 비강기관흡인 및 인공기도를 통한 기관 흡인이 있습니다. 흡인 시 주의해야 할 사항으로는 흡인 압력, 흡인 시간, 카테터 삽입 길이, 체위 등이 있습니다. 흡인 간호 외에도 수분섭취 및 수액공급, 가습요법, 흉부물리요법 등이 객담 배출을 돕는 간호 중재로 사용됩니다. 2. 구강인두 ...2025.05.07
-
E-tube, T-tube, CVC, perm-cath, PICC, CTD, PCD, HV, JP, EVD2025.04.301. TUBE 삽입과 관리 TUBE는 기체 또는 액체를 실어 나르는 관으로, 금속관(G)과 플라스틱관(Fr)으로 구분됩니다. E-tube는 사면(bevel)과 Murphy eye가 있으며, 기도 내 고정과 흡인 예방을 위한 cuff가 있습니다. E-tube 삽입 길이는 남자 22~24cm, 여자 19~21cm이며, 위치 확인 및 고정이 중요합니다. T-tube는 상부 기도 폐쇄, 호흡 부전, 아나필락틱 쇼크 등의 경우에 사용되며, cuff와 내관 유무에 따라 관리가 달라집니다. 2. CVC (Central Venous Cathete...2025.04.30
-
내시경적 역행성 담췌관 조영술, ERCP2025.01.151. 내시경적 역행성 담췌관 조영술(ERCP) 내시경적 역행성 담췌관 조영술(ERCP)은 십이지장, 유두부(ampulla of Vater), 담관, 담낭(쓸개) 및 췌장 등을 관찰하기 위한 검사입니다. 이 검사는 담도, 담낭, 췌장, 유두부에서 발생한 다양한 질병의 진단과 치료를 위해 사용됩니다. 검사 시 부작용 및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경험 많은 의사에 의해 시행되어야 합니다. 검사 전 준비와 검사 중, 후 주의사항이 필요하며, 검사 후 비강내 담즙배액관 관리법도 중요합니다. ERCP는 통증이 적고 회복이 빠르며 고령 환자...2025.01.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