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803개
-
현직 암병동간호사가 정리한 위암2025.11.141. 위암의 분류 및 병기 위암은 조기위암(EGC)과 진행성위암(Advanced gastric cancer)으로 분류됩니다. TNM 병기 체계를 사용하여 원발종양(T), 지역림프절(N), 원격전이(M)를 평가합니다. T 병기는 T0부터 T4까지 분류되며, N 병기는 N0부터 N3까지, M 병기는 M0 또는 M1로 구분됩니다. 이러한 분류는 치료 방침 결정과 예후 판정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2. 내시경 점막하 절제술(EMR) 내시경 점막하 절제술(Endoscopic Mucosal Resection, EMR)은 조기위암의 치료 방법...2025.11.14
-
자궁경부암 케이스스터디2025.05.051. 자궁경부암 자궁경부암은 우리나라에서 발생하는 전체 암 중에서 4위, 여성에게 발생하는 암 중에서는 2위를 차지하는 질환이다. 발생빈도는 여성인구 10만명 당 29명으로 여성에서 발생되는 암중 22.3%를 차지하고 있으며 질병에 대한 통계가 시작된 이래 여성암 중에서는 계속 높은 수위를 차지하고 있다. 자궁경부암은 전 세계적으로 여성에게 발병하는 암 중 두 번째로 흔한 암이며, 우리나라에서 발생하는 전체 암 중에서 4위를 차지하고 있다. 자궁경부암은 40~50대 여성에서 주로 발생하지만, 암의 전단계인 자궁경부 상피내종양인 0기...2025.05.05
-
조기위암의 정의, 원인, 진단 및 치료2025.11.151. 조기위암의 정의 및 특징 조기위암은 림프절 전이 유무와 관계없이 암 세포가 점막 또는 점막하층에 국한된 경우를 말한다. 진행 위암에 비해 위벽 침습이 깊지 않고 림프절 전이도 적기 때문에 적절한 치료 시 90% 정도에서 완치를 기대할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최근 내시경을 이용한 정기 검진의 영향으로 45% 이상에서 조기 위암을 진단하고 있으며, 대부분 무증상이어서 검사에서 우연히 발견되는 경우가 많다. 2. 위암의 원인 및 위험요인 위암의 원인으로는 발암성 식품첨가물, 화학물질, 방사선, 바이러스, 방부제 등의 환경 요인과 ...2025.11.15
-
성인간호학 실습 전 과제 , 대장항문외과2025.05.101. 대장의 구조와 기능 대장(large intestine)은 회장맹장판막에서 항문까지 연장되는 기관으로 길이는 약 1.5~1.8m이고 지름은 약 5m이다. 대장은 맹장, 결장, 직장 및 항문의 4부분으로 나누어진다. 회장의 내용물은 회맹판을 통해 맹장으로 들어가고, 맹장의 아래 부분에는 충수돌기가 있다. 장막이 대장을 싸고 있으며 근육층은 바깥쪽 세로근육층과 안쪽 돌림 근육층으로 분류된다. 대장의 소화기능은 거의 없다. 단지 물과 전해질을 흡수한다. 대장의 기능은 신체에서 변을 형성, 저장, 배출하는 것이다. 2. 대장에서의 물과...2025.05.10
-
담낭암 문헌고찰2025.05.021. 담낭암 담낭암은 담낭(쓸개)에서 생기는 암으로 담낭 세포에서 발생하는 선암종이 거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남자보다 여자에게 2~3배 많고 60대에 가장 많이 발생한다. 대부분 담석 때문에 발생하며, 서양에서는 80%가 담석 때문에 발생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약 30%에서만 담석이 발견된다. 담낭 점막의 만성적인 자극과 염증으로 상피세포의 이형성을 초래하고 암으로 발전하게 된다. 담석, 석회화 담낭, 담낭용종, 췌담관이 만나는 부위의 이상, 만성 장티푸스 보균 상태, 유전적 또는 인종적 요인, 감염, 발암 물질 등의 환경적 요...2025.05.02
-
직장암 환자 간호 사례 보고서2025.01.091. 직장암 정의 직장암은 직장에 생긴 암세포로 이루어진 악성 종양을 말한다. 대장은 결장과 직장으로 구분되며, 암이 발생하는 위치에 따라 결장암과 직장암으로 구분된다. 직장은 대장의 마지막 부분으로 길이는 약 15cm이며, 점막층, 점막하층, 근육층, 장막층 등 4개의 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대부분의 직장암은 장의 점막에서 발생하는 선암이다. 2. 직장암 위험요인 직장암의 주요 위험요인으로는 동물성 지방의 과도한 섭취, 섬유질 섭취 부족, 칼슘 및 비타민D 부족, 굽거나 튀기는 조리방법, 운동 부족, 염증성 장 질환, 대장 용종,...2025.01.09
-
난소암 문헌고찰 정리본2025.05.061. 난소암 정의 난소암(ovarian cancer)은 자궁 양쪽에 위치한 난소에 생긴 암을 의미한다. 90%가 상피성이며, 한국 여성 생식기암 중 자궁암 다음으로 발생 빈도가 높고 전체 여성암의 2.8%를 차지한다. 대부분 폐경기 이후에 발견되며 평균 발병 연령은 64세이다. 조기 진단이 어려워 2/3가 진행성 암으로 발견되어 완치가 어렵다. 2. 난소암 원인 난소암 발생 원인은 명확하지 않으나, 독신 여성, 출산력 적은 여성, 배란 횟수가 많은 여성, 배란 및 난소 표면상피 손상, 석면/활석 노출 등이 위험요인으로 알려져 있다....2025.05.06
-
편도암2025.04.291. 편도암 정의 편도는 두경부의 주요 기능인 호흡과 삼킴 기능을 담당하는 주요 부위인 인두에 있고, 편도암은 구개편도에 발생하는 악성 종양을 말하며 비인두, 구인두 부위의 편도 조직에서 발생하는 악성종양 모두를 의미한다. 2. 편도암 병기 편도암의 병기는 종양의 크기(T), 목 림프절 전이(N), 원격 전이(M)로 나뉘어 질 수 있다. T 1기는 종양의 크기가 2cm 이하, T 2기는 2cm 보다 크고 4cm 이하, T 3기는 4cm 보다 큰 경우, T 4기는 종양이 주변 조직을 침범한 경우이다. N 0기는 경부 림프절 전이가 발...2025.04.29
-
자궁경부암 간호과정 케이스 분석2025.11.141. 자궁경부암의 정의 및 병기 자궁경부암은 자궁의 입구인 자궁경부에 발생하는 여성 생식기 암으로, 정상 상피세포에서 시작하여 자궁경부상피이형성증을 거쳐 상피내암으로 진행한다. 병기는 0기부터 4기까지 분류되며, 0기는 상피내암으로 암이 자궁경부 상피내에만 있는 상태이고, 1기는 암이 자궁경부에 국한된 상태, 2기는 자궁경부를 넘어 퍼진 상태, 3기는 골반벽까지 침범한 상태, 4기는 소골반강을 넘어 퍼지거나 방광과 직장의 점막으로 퍼진 상태이다. 2. 자궁경부암의 위험요인 및 증상 자궁경부암의 위험요인은 인유두종바이러스(HPV) 감...2025.11.14
-
PPPD, 담도암, 담관암 케이스스터디2025.04.291. 담관(담도)암 담관(bile duct)에서 발생하는 암으로, 간에서 만들어지는 담즙을 십이지장으로 보내는 관담도(biliary) 세포에서 발생하는 선암종(adenocarcinoma)이다. 간내 담관암(intrahepatic cholangiocarcinoma), 간문부 담관암(hilar CCA), 원위부 담관암(Distal CCA)으로 구분된다. 담관암의 정확한 발병기전은 알려져 있지 않으나, 환경적, 유전적 요인이 작용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주요 위험요인으로는 간흡충증, 알코올성 간질환, 결석증, 총담관 낭종, 담관 확장증 등...2025.04.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