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46개
-
인체구조와기능 심장(심장주기, 심음, 심박출량, 프랭크-스탈링의 법칙, 자율신경의 작용)2025.05.071. 심장주기 심장은 심방이 먼저 수축하고 심실이 이완이 되어야만 한 번이 끝남. 심실이 이완되고 나면 다시 심방 수축이 되는데 이것처럼 심방수축의 개시에서 다음 심방수축 개시까지를 심장주기라고 한다. 정상적인 사람의 심장주기는 0.8초이며, 심방수축기(0.11초) → 심실수축기(0.27초) → 심실확장기(0.42초)로 구성된다. 2. 심음 심장에서 나는 소리로, 주로 판막이 닫힐 때 발생한다. 제1 심음(S1)은 방실판막이 닫힘에 의해 발생하며, 제2 심음(S2)은 반월판막이 닫힘에 의해 발생한다. 제1 심음이 제2 심음보다 크게...2025.05.07
-
EKG(심전도) 발표 PPT2025.01.241. 심전도란 심장의 전기적 활동을 심장의 전면부에서 기록한 그래프를 심전도라 한다. 안정시 심장근육 세포의 안쪽은 음전극, 바깥쪽은 양전극의 분극상태를 유지하며, 이러한 분극상태는 Sodium(Na+)이 세포막으로 이동하면서 깨지게 되어 탈분극이 시작되고 이때 심근의 수축이 일어나게 된다. 2. 심장의 자극전도계 심장의 전기적 활동을 심장의 전면부에서 보는 것을 사지유도(limb lead)라 하며, 심장의 전기적 활동을 횡단면으로 보는 것을 흉부유도(precordial lead)라 한다. 12 lead EKG는 사지유도와 흉부유도...2025.01.24
-
심장 주기와 심음2025.01.171. 심장 주기 심장의 물리적 활동인 심박동과 심장주기(cardiac cycle)에 대해 설명합니다. 심장주기는 이완기(diastole)와 수축기(systole)로 구성되며, 이완기에는 등용성 이완기, 심실의 충만기, 심방수축기가 있고, 수축기에는 등용성 수축기, 심실의 급속 박출기, 심실의 감소 박출기가 있습니다. 2. 심음 심장 근처 가슴벽에서 들을 수 있는 소리인 심음에 대해 설명합니다. 제1심음(S1)은 방실판막이 닫힐 때 나는 소리이고, 제2심음(S2)은 반월판막이 닫힐 때 나는 소리입니다. 제3심음과 제4심음은 심실충만기...2025.01.17
-
방실접합부, 전도장애로 인한 부정맥2025.04.281. 방실리듬 (AV junctional rhythm) 동심방결절의 심박조율 기능이 약화되거나 전도계의 장애로 인해 전기자극의 빈도가 감소될 때 방실접합부(심방심실이음부, AV junction)가 동심방결절을 대신하여 박동조율기(pacemaker)로서의 역할을 하여 발생한 리듬. 심박출량 감소와 심근조직관류 저하와 관련된 증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약물 독성, 저산소혈증, 고칼륨혈증, 미주신경 긴장도 증가, 방실결절 손상, 심근경색, 심부전 등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심전도 상 심장박동수는 40~60회/분 정도이며, 보통 P파가 ...2025.04.28
-
심박출량 (전부하, 심근수축력, 후부하)2025.01.171. 심박출량 심장이 1분 동안 동맥으로 내보내는 혈액량을 의미하며, 일회박동량(stroke volume)과 심박수(heart rate)의 곱으로 계산됩니다. 심장의 기능을 평가할 때 심박동수와 심박출량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일회박동량은 좌심실에서 대동맥으로 1회 박출하는 혈액량으로 평균 70ml 정도를 유지하며, 운동 등으로 교감신경이 활성화되면 150ml 정도로 증가할 수 있습니다. 심박수는 1분 동안 심장이 뛰는 횟수로 평균 70~80회/분 정도입니다. 심박출량은 일회박동량과 심박수의 곱으로 계산되며, 휴식 시 약 5000m...2025.01.17
-
부정맥 레포트(심전도사진)2025.01.071. 부정맥의 정의와 원인 부정맥이란 자극형성장애나 자극전도장애로 인해 심장의 리듬이 불규칙하거나 심장박동수가 비정상적인 상태를 말한다. 부정맥의 원인으로는 선천성 및 후천성 심질환, 비정상적인 전도경로, 전도 장애, 심근비대, 심근세포 손상, 폐질환, 산-염기 불균형, 약물의 부작용, 전해질 불균형, 정서적 불안정, 저산소증, 쇼크, 대사성 질환 등이 있다. 2. 부정맥의 병태생리 부정맥은 자극형성장애, 자극전도장애, 혼합장애로 인해 발생한다. 자극형성장애는 동심방결절의 기능 상실로 하위조직이 대신 전기자극을 형성하는 것이고, 자...2025.01.07
-
AV block 문헌고찰, 간호진단 6개, 주객관자료2025.01.241. 방실결절 전도장애(Conducting disorder): 방실 차단 Atrioventricular block(AV block) 심장 수축 자극은 동방결절에서 시작해 방실결절에 도달한 후, His 다발로 전도되는 과정에서 지연되거나 차단되기도 한다. 이로 인해 심장의 전기 신호가 원활하게 전달되지 않아 심박수와 리듬에 이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전도장애는 정도에 따라 1도, 2도, 3도 방실블록 또는 완전 심장블록으로 구분된다. 각 블록은 전도 지연이나 차단의 심각도에 따라 다르며, 이에 따라 적절한 진단과 치료가 필요하다...2025.01.24
-
심전도 보고서_ 심방조동 (Atrial Flutter)2025.01.281. 정상 EKG 분석 EKG 분석에서 정상 EKG의 특징은 심박동 수 96회/분(60~100회/분), P파 지속시간 0.06초(0.06~0.12초), PR간격 0.12초(0.12~0.2초), QRS파 지속시간 0.06초(0.06~0.12초), 전도는 정상이며 리듬은 규칙적이다. 2. 심방조동 EKG 분석 심방조동의 심전도상 특징은 심박동 수 심방수축 252회/분, 심실수축 132회/분(심방수축 250~350회/분, 심실수축 125~175회/분), P파는 톱니바퀴 모양으로 규칙적인 조동파(F파), QRS파는 0.04초로 정상 형태이...2025.01.28
-
심근의 형태와 기능, 특징, 전도과정, 활동전압 발생과정, 스탈링 심장법칙2025.01.161. 심근의 형태와 기능 심근의 형태적 특성으로는 골격근과 심장근이 공통적으로 횡문근(가로무늬 근육, striated muscle)이며, 심근섬유 사이에 개재판(사이원반, intercalated disk)이라는 구조가 있고 심근섬유와 심근섬유의 세포막이 간극연접(gap junction)을 이루고 있다. 이를 통해 심장근의 기능적 세포결체(functional syncytium)가 형성되어 심근 전체가 마치 하나의 세포처럼 동시에 수축할 수 있다. 2. 심근의 기능적 특성 심근의 기능적 특성으로는 율동성, 전도성, 흥분성, 수축성, 불...2025.01.16
-
성인간호학 심근증, 순환기계 보고서2025.04.281. 심장의 구조와 기능 심장은 좌측 제 3~5늑골 사이의 종격동에 위치하며, 크기는 약 12cm, 무게는 약 300g이다. 심장은 심내막, 심근, 심외막 등 3개 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심낭 속에 보호되어 있다. 심장 내부는 심장 중격을 중심으로 좌우 심장으로 나뉘고, 이는 다시 혈액이 유입되는 좌,우심방과 혈액을 유출시키는 좌,우심실의 4개의 방으로 구성되어 있다. 심장의 자극 전도계는 심근을 흥분시키는 전기적 자극을 발생, 이 자극을 심장 전체에 전달하여 자율적으로 율동하고 수축하는 특수한 신경조직으로 구성되어 있다. 2. ...2025.04.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