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박출량 (전부하, 심근수축력, 후부하)
본 내용은
"
심박출량 (전부하, 심근수축력, 후부하)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6.29
문서 내 토픽
  • 1. 심박출량
    심장이 1분 동안 동맥으로 내보내는 혈액량을 의미하며, 일회박동량(stroke volume)과 심박수(heart rate)의 곱으로 계산됩니다. 심장의 기능을 평가할 때 심박동수와 심박출량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일회박동량은 좌심실에서 대동맥으로 1회 박출하는 혈액량으로 평균 70ml 정도를 유지하며, 운동 등으로 교감신경이 활성화되면 150ml 정도로 증가할 수 있습니다. 심박수는 1분 동안 심장이 뛰는 횟수로 평균 70~80회/분 정도입니다. 심박출량은 일회박동량과 심박수의 곱으로 계산되며, 휴식 시 약 5000ml/분 정도입니다.
  • 2. 전부하
    전부하는 심장 수축 전, 심장에 가해지는 부하로 심실 수축 전 이완기말에 늘어난 심근섬유의 길이를 말합니다. 심실이 이완기 동안 많은 양의 혈액으로 채워질수록 심실의 이완기말 용적(EDV)이 증가하고, 심근의 길이가 증가하여 심근수축력이 증가하게 됩니다. 이에 따라 1회 박동량이 증가하게 됩니다(Starling의 심장법칙). 하지만 심근의 과도한 증가는 오히려 수축력을 저하시켜 박동량을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
  • 3. 심근수축력
    심근수축력은 심장 수축 시 심근이 발휘하는 힘을 의미합니다. 심근수축력이 증가하면 1회 박동량이 증가하게 되어 심박출량이 증가하게 됩니다. 심근수축력은 전부하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적절한 전부하 증가는 심근수축력을 높일 수 있습니다.
  • 4. 후부하
    후부하는 심장 수축 시 심장에 가해지는 부하로, 주로 혈관저항에 의해 결정됩니다. 후부하가 증가하면 심장이 더 많은 힘을 들여 혈액을 내보내야 하므로 1회 박동량이 감소하게 됩니다. 따라서 후부하는 심박출량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 중 하나입니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심박출량
    심박출량은 심장이 1회 수축할 때 내보내는 혈액의 양을 의미합니다. 이는 심장의 기능을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로, 심장의 펌프 기능을 평가하는 데 사용됩니다. 심박출량은 심장의 수축력, 전부하, 후부하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습니다. 심박출량이 감소하면 심장의 펌프 기능이 저하되어 전신으로 공급되는 혈액량이 감소하게 됩니다. 이는 피로감, 호흡곤란, 부종 등의 증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심박출량은 심장 기능을 평가하고 치료 방향을 결정하는 데 중요한 지표가 됩니다.
  • 2. 전부하
    전부하는 심장이 수축할 때 심실에 유입되는 혈액량을 의미합니다. 전부하는 심장의 수축력을 결정하는 주요 요인 중 하나입니다. 전부하가 증가하면 심실 내 혈액량이 늘어나 심실 벽의 신전이 증가하게 됩니다. 이에 따라 심근 수축력이 증가하여 심박출량이 증가하게 됩니다. 반면 전부하가 감소하면 심실 내 혈액량이 줄어들어 심근 수축력이 저하되고 심박출량이 감소하게 됩니다. 따라서 전부하는 심장 기능을 평가하고 치료 방향을 결정하는 데 중요한 지표가 됩니다.
  • 3. 심근수축력
    심근수축력은 심장 근육의 수축 능력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심근수축력이 증가하면 심장이 더 강하게 수축할 수 있어 심박출량이 증가하게 됩니다. 반면 심근수축력이 감소하면 심장의 펌프 기능이 저하되어 심박출량이 감소하게 됩니다. 심근수축력은 심장 근육의 상태, 신경 조절, 호르몬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습니다. 심근수축력은 심장 기능을 평가하고 치료 방향을 결정하는 데 중요한 지표가 됩니다. 심근수축력이 저하된 경우 약물 치료, 운동 요법, 수술 등 다양한 치료 방법을 통해 심장 기능을 개선할 수 있습니다.
  • 4. 후부하
    후부하는 심장이 혈액을 내보내는 데 저항이 되는 힘을 의미합니다. 후부하가 증가하면 심장이 더 많은 힘을 들여 혈액을 내보내야 하므로 심근 수축력이 증가하게 됩니다. 반면 후부하가 감소하면 심장이 혈액을 내보내는 데 더 적은 힘이 필요하므로 심근 수축력이 감소하게 됩니다. 후부하는 혈관의 저항, 동맥압, 말초혈관 저항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습니다. 후부하는 심장 기능을 평가하고 치료 방향을 결정하는 데 중요한 지표가 됩니다. 후부하가 증가한 경우 혈압 조절, 혈관 확장 등의 치료 방법을 통해 후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
주제 연관 토픽을 확인해 보세요!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