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64개
-
목발 보행법2025.05.031. 목발 보행법 준비자세 목발 보행 시 준비자세로는 겨드랑이와 목발 어깨받침 사이가 손가락 세 마디 들어갈 정도의 높이(5cm)로 하고, 팔꿈치 각도를 20-30도 정도 구부린다. 새끼발가락에서 대각선 앞쪽으로 목발을 올려두고, 목발을 본인의 한 보(15cm) 정도 전방에 짚는다. 2. 2점 보행법 빠른 속도로 걸을 수 있고 정상 보행에 가까운 보행법으로, 양다리에 어느 정도 체중을 실을 수 있을 때 시행한다. 우측 목발과 좌측 다리, 좌측 목발과 우측 다리 순으로 보행한다. 3. 3점 보행법 수술 직후 통증으로 인해 체중 부가가...2025.05.03
-
성인간호학 비골골절 간호진단 5개 간호과정 2개2025.05.081. 비골골절 비골 골절은 얼굴뼈 손상 중 가장 많은 40%를 차지하며, 전체 골절 중 세번째로 흔하다. 코뼈는 얼굴의 중심부에 돌출해 있고 다른 안면골격보다 약하여 비교적 작은 힘으로도 쉽게 골절된다. 또한 남자가 여자보다 훨씬 많고 5세에서 40세 사이의 활동적인 청장년층에서 스포츠 활동, 육체적 충돌 등 각종 사고로 인하여 많이 발생한다. 비골 골절은 생명에 지장을 초래할 정도의 중상은 아니지만 비골의 폭과 길이가 개인마다 매우 다양하여 폭이 너무 좁거나 넓으면 미용적 문제뿐만 아니라 코막힘을 유발하거나 안경을 착용하기가 불편...2025.05.08
-
성인간호학 복사뼈골절 케이스 스터디 / 간호과정3개2025.04.281. 복사뼈 골절 복사뼈 골절은 발목 양쪽의 튀어나온 부위인 안쪽복사(medial malleolus)와 가쪽복사(lateral malleolus)에 발생하는 골절이다. 안정골절과 불안정골절로 나뉘며, 불안정골절은 관절의 양쪽이 모두 손상되어 쉽게 전위될 수 있다. 복사뼈 골절의 원인은 주로 외부의 강한 압력이 가해져 발생하며, 직접적인 외상과 간접적인 외상으로 구분된다. 증상으로는 심한 통증, 부종, 관절 운동 제한, 마찰음 등이 나타난다. 진단을 위해 X-ray, CT, MRI 등의 검사를 시행하며, 치료는 수술적 치료와 비수술적...2025.04.28
-
성인간호학 골절 케이스스터디2025.05.041. 경골 골절 경골 골절은 장관골의 골절 중에서 가장 빈번히 발생하며 해부학적인 구조상 경골의 전측부가 피부직하에 위치함으로 개방성 골절이 되기 쉽다. 개방성 골절을 포함한 연부 조직의 손상이 흔하게 동반되는 경골 원위부 골절은 치료에 어려움이 따르는 손상이다. 최근 교통수단의 복잡화와 산업의 발달로 인한 각종 산업재해 및 여가 체육활동의 급증은 경골 골절의 발생률을 높이고 있으며 골절의 양상 또한 복잡해지고 있다. 2. 원위 비골 골절 원위 비골 골절(distal fibular fracture)은 하지 골절 중 빈번하게 발생하는...2025.05.04
-
2022년 원광대 챠밍마사지요법 10주차 강의노트2025.05.021. 하퇴부 마사지 요법 하퇴부 마사지 방법에 대해 알고 실제 마사지를 전개할 수 있다. 하퇴부 오일마사지 방법에 대해 알고 실제 마사지를 전개할 수 있다. 2. 장딴지근(비복근) 장딴지근은 비복근이라고도 하며, 영어로는 Gastrocnemius라고 한다. 이는 곳은 안쪽갈래 : 넙다리뼈 안쪽위관절융기와 가쪽갈래 : 넙다리뼈 가쪽위관절융기이며, 닿는 곳은 아길레스 힘줄을 거쳐 발꿈치뼈이다. 관련된 신경은 정강신경(S1, S2)이다. 장딴지근은 발목바닥쪽 굽히기 또는 무릎굽히기 보조역할을 한다. 3. 가자미근 가자미근은 영어로는 So...2025.05.02
-
스포츠의학 손목 통증2025.01.171. 원위 요골 골절 원위 요골 골절은 스포츠 활동이나 낙상 등의 고에너지 손상으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초기 치료로 정복이 중요하며, 보존적 치료로 석고 부목 고정이나 열가소성 부목 사용이 가능합니다. 수술적 치료로는 장측 금속판 고정술이 추천됩니다. 재활 시기에 따라 단계적으로 관절 가동범위 운동, 근력 강화 운동을 시행하며, 합병증 예방에 주의해야 합니다. 2. 주상골 골절 주상골 골절은 손을 짚고 낙상하면서 발생하는 가장 흔한 손목 골절입니다. 진단이 지연될 수 있으며, 불유합 위험이 높습니다. 보존적 치료로 8주간 고정 후...2025.01.17
-
Bimalleolar fracture, ankle, closed (양측 복사 골절, 발목, 페쇄성) [진단 2개]2025.01.141. 복사뼈골절(malleolar fracture) 복사뼈 골절은 족부골절에 속하는 골절로 가쪽 복사뼈의 몸 쪽 2~6cm정도에서 가장 흔하게 발생하며 골절과 동시에 발목인대가 찢어지기 쉽다. 대부분 뼈에 강한 외력이 가해지는 외상 후에 발생하게 되며, 직접적인 외상과 간접적인 외상으로 구분이 된다. 직접적인 외상은 교통사고, 총상, 넘어지거나, 무거운 물건 등이 발등에 떨어져서 발생하며, 간접적인 외상에 의한 골절은 뼈에 붙은 근육이나 인대가 갑작스럽게 힘이 가해지면서 뼈를 잡아당겨 골절이 생기거나 뼈에 회전력 등이 가해져 골절이...2025.01.14
-
A++자료[성인간호학실습]간호대상자의 건강문제, 전방십자인대 파열2025.01.121. ACL(Anterior Cruciate Ligament) 정의, 원인, 증상 징후 전방십자인대(ACL)는 무릎 관절의 주요 인대 중 하나로, 대퇴골과 경골 사이를 연결하여 무릎 관절의 안정성을 유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ACL 파열은 주로 급격한 방향 전환, 갑작스러운 정지, 착지 시 등의 외력에 의해 발생하며, 무릎 통증, 부종, 관절 운동 제한 등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2. ACL(Anterior Cruciate Ligament) 진단검사, 치료 및 간호 ACL 파열은 MRI 검사를 통해 진단할 수 있으며, 보존적 치료와 수...2025.01.12
-
전방십자인대파열 ACL rupture_간호진단2개(급성통증, 신체기동성장애)2025.01.031. 전방십자인대파열 전방십자인대(ACL)는 무릎 관절의 안정성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인대 중 하나이다. 전방십자인대파열(ACL rupture)은 과도한 운동이나 외상으로 인해 십자인대가 찢어지거나 파열된 상태를 의미한다. ACL rupture는 다양한 기전으로 발생할 수 있으며, 주로 축구나 스키 등의 운동 중 갑작스러운 움직임으로 인해 발생한다. ACL의 부분 파열의 경우 재활 및 회복에 약 3개월 정도 걸리며 예후가 좋지만, 완전 파열의 경우 자연 경과가 좋지 않아 수술적 치료가 필요하다. 진단을 위해서는 이학적 ...2025.01.03
-
요골 원위부 골절 케이스 스터디, 간호진단8개(+간호문제 2개), 간호과정 2개, Fx Distal radius wrist case study2025.04.271. 요골 원위부 골절 요골 원위부 골절은 상지 골절 중 가장 흔한 골절로 대부분 넘어지면서 손목을 뒤로 젖힌 상태로 손을 짚어서 생기며 골절 형태 중 콜레스 골절(Colles' fracture)이 대표적이다. 콜레스 골절은 손목관절에서 팔꿈치 쪽으로 약 2cm 상방이내에서 생긴 골절로 손목과 연결된 골절편(원위 요골 골절편)이 뒤로 밀려나 손목의 포크모양의 변형(Silver fork deformity)이 특징적이다. 스미스 골절은 역 콜레스 골절이라고도 하며 콜레스 골절과 반대로 원위 요골 골절편이 앞으로 꺾여 보아정원 삽 모양이...2025.04.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