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5개
-
코뼈 골절 간호진단 3 간호과정 32025.01.111. 코뼈 골절 코뼈 골절은 얼굴 뼈 손상 중 가장 흔한 골절로 코는 얼굴의 중심부에 돌출되어 있고 다른 안면 골격보다 약하며 비교적 작은 힘으로도 쉽게 골절됩니다. 남자가 여자보다 훨씬 많은 골절 비율을 차지하고 있으며, 젊은 층에서 과격한 운동 중 충돌 또는 폭력 사고로 인해 많이 발생하며, 발생 원인으로는 대다수의 보고에서 스포츠로 인한 외상이 가장 많으며, 타인의 구타 역시 높은 빈도를 보이고 있습니다. 여성의 경우 60세 이후에 코뼈 골절의 빈도가 높으며 그 원인은 실수로 인한 낙상이 제일 많기 때문이라고 하며, 소아의 경...2025.01.11
-
태아주요경선 A+2025.05.071. 태아 주요경선 태아의 주요 경선에는 후두결절 하방 함몰부~대천문 중앙의 소사경선(길이 9.5cm), 미간에서 후두융기까지의 전후경선(길이 12cm), 턱 끝에서 후두 최대거리의 대사경선, 좌우 두저골 결절 간 거리의 대횡경선(길이 9.25cm), 좌우 관상봉합 간 최대거리의 소횡경선(길이 8.0cm) 등이 있다. 이러한 경선들은 태아의 태위, 태세, 선진부, 태향 등과 관련되어 분만 진행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이다. 2. 태아 태위 태아 태위는 태아 장축과 모체 장축의 관계를 의미한다. 3. 태아 태세 태아 태세는 태아의...2025.05.07
-
지중해빈혈 유전질환 보고서2025.01.161. 지중해빈혈 정의 및 특성 지중해빈혈은 적혈구 내 헤모글로빈이 결핍되어 발생하는 선천적 혈액 질환입니다. 헤모글로빈을 구성하는 폴리펩티드 사슬의 합성 작용에 이상이 생겨 발생하며, 알파형과 베타형으로 구분됩니다. 지중해 연안 지역과 중동, 동남아시아, 아프리카에서 많이 발견되며, 우리나라에서도 경증의 베타형 지중해빈혈이 비교적 높은 빈도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2. 지중해빈혈 증상 지중해빈혈의 주요 증상으로는 창백, 피로감, 황달, 검은 소변, 비장/간 비대 등이 있습니다. 이는 헤모글로빈 이상으로 인한 적혈구 파괴와 산소 운반 ...2025.01.16
-
정상신생아 케이스2025.01.131. 신생아의 정의 및 특성 신생아는 출생 후 4주까지의 아기를 말한다. 신생아기는 모체로부터 독립하여 스스로 생리 조절을 해야하는 시기로, 호흡, 순환기계 등 신체의 각 부분이 많은 변화를 겪는 시기이다. 사망률 및 이환률이 높아 영아 사망률의 2/3를 차지한다. 2. 신생아의 신체사정 신생아의 신체사정은 머리에서 발끝(Head to Toe)으로 진행하며, 필요한 물품과 기구를 준비한다. 아동의 불안과 스트레스를 최소화하고 협조와 참여를 격려하며, 피부, 두부와 경부, 코와 구강, 눈, 귀, 심장, 흉부, 복부, 생식기, 근골격계...2025.01.13
-
A+ 받은 아동간호학 데일리 케이스 스터디2025.01.131. 백일해(pertussis, whooping cough) 백일해는 Bordetella pertussis에 의해 초래되는 급성호흡기감염이다. 주로 예방접종을 받지 못한 4세 이하 아동에게 호발하며 이는 발작, 뇌병증, 폐렴으로 이어질 수 있다. 6개월 미만 영아는 무호흡을, 이보다 나이가 많은 아동은 지속적인 기침과 그르렁거리는 특성이 있다. 한번 발병하면 평생 면역을 획득한다. 진단은 비인두면봉으로 검체를 배양하거나 PCR검사를 통해 이루어진다. 백일해는 백신이 존재하며 파상풍, 디프테리아, 무세포 백일해 백신(Boostrix)...2025.01.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