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542개
-
식품미생물학 실험 보고서 배지제조 및 대장균접종 (A+보고서)2025.01.041. 무균조작 실험을 진행할 때 외부 미생물의 유입을 막기 위해 무균 조작 방법을 익히는 것이 중요합니다. 멸균된 표면과 기구를 사용하고, 공기 노출을 최소화하며, 작업자도 장갑을 착용하는 등의 방법으로 무균 환경을 유지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실험 미생물 외의 오염을 방지하고 순수 배양물을 분리 및 유지할 수 있습니다. 2. 배지 제조 및 살균 배지 제조 시 정량의 배지 가루와 증류수, agar를 섞어 준 뒤 고압 살균기나 여과 방식으로 살균합니다. 고압 살균기는 100°C 이상의 온도와 압력을 이용하여 배지와 기구를 살균하며, ...2025.01.04
-
대장균에서 재조합 단백질의 생산과 Western blot에 관한 실험2025.01.131. IPTG IPTG는 대장균 lactose operon의 효소합성을 유도하는 강력한 유도물질이다. 보통 유도물질은 operon의 활동에 의해 만들어지는 β-D-galactosidase에 의해 대사 이용하는 것이 많지만, IPTG는 분해되지 않아 비대사성 유도물질이라고도 불린다. 또한, 고농도로 사용시 galactoside permease가 없는 세포에도 투과할 수 있기 때문에 permease가 없는 균주에서의 유도실험에도 사용된다. 2. Buffer condition Tank buffer에는 glycine과 Cl-(Tris-ba...2025.01.13
-
대장균에서 재조합 단백질 생산 및 정제2025.01.131. 재조합 단백질 생산 대장균 BL21(DE3) 균주는 재조합 단백질 고발현에 널리 사용되며, lac 프로모터와 T7 프로모터를 이용하여 IPTG 유도 하에 단백질을 발현할 수 있다. 본 실험에서는 pET28a 벡터를 사용하여 His-tag 융합 단백질을 생산하고, Ni-NTA 친화성 크로마토그래피와 FPLC를 통해 단백질을 정제하는 방법을 익혔다. 2. 단백질 분석 SDS-PAGE를 통해 단백질 크기별 분리와 정제 과정을 확인하였고, Bradford assay로 단백질 농도를 정량하였다. 또한 DES와 OASS 효소 활성 측정을...2025.01.13
-
식품미생물학 - 수분활성도, 미생물 생육, 대장균 계산2025.01.031. 수분활성도와 미생물 생육의 관계 수분활성도는 미생물의 성장에 중요한 요소이며, 수분활성도가 낮으면 미생물의 생육이 억제됩니다. 실생활에서 수분활성도를 낮추어 식품의 저장성을 높인 예로는 과자, 분유, 크래커, 전분계 간식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식품들은 분말 형태로 제조되어 수분활성도가 낮아 미생물의 성장이 억제되어 안정성이 높습니다. 2. 세대시간이 20분인 세균의 개체수 계산 세대시간이 20분인 세균 1개가 2시간 후에 도달하는 개체수는 64개입니다. 미생물은 생육 환경이 좋을 때 빠르게 분열을 반복하며, 세대시간은 한 번...2025.01.03
-
[식품미생물학-방송통신대-24-2학기-출석수업과제물] 수분활성도와 미생물 생육, 절대혐기성균, 대장균수 산출2025.01.261. 수분활성도와 미생물 생육 수분활성도(water activity, Aw)는 식품 내 자유 수분의 비율을 나타내며, 물리적으로 식품 내 물이 얼마나 이용 가능한지를 의미한다. 수분활성도는 식품의 미생물학적 안전성 및 저장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일반적으로 수분활성도가 높을수록 미생물의 생육이 촉진된다. 실생활에서 수분활성도를 낮추어 식품의 저장성을 높인 예로는 건조법, 염장법, 당장법, 냉동 및 냉장 등이 있다. 2. 절대혐기성균 절대혐기성균(obligate anaerobes)은 산소가 없는 무산소 조건에서만 생육할 수 있는 ...2025.01.26
-
일반생물학실험 결과레포트 [실험8] 대장균에서 플라스미드 DNA 소량 분리2025.05.131. S1, S2, S3 buffer 성분 및 역할 S1 buffer(재부유, Resuspension buffer)에는 EDTA, RNase, glucose, Tris-Cl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들은 세포벽 파괴, RNA 분해 촉진, 삼투압 유지, pH 유지 등의 역할을 한다. S2 buffer(용해, Lysis buffer)에는 도데실황산나트륨(SDS)과 수산화 나트륨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들은 세포막 분해, DNA와 RNA 변성, 단백질 제거 등의 역할을 한다. S3 buffer(중화, Neutralization buffer)에...2025.05.13
-
2022년 1학기 서울대 생물학실험 모듈 3 실험보고서2025.01.231. 형질전환 본 실험에서는 재조합된 플라스미드로 대장균을 형질전환하고, PCR과 전기 영동을 통해 형질전환의 결과를 DNA 수준에서 확인하고자 하였다. 여러 종의 플라스미드를 대장균에 도입해 형질전환을 유도했으며, colony PCR을 통해 도입된 플라스미드를 대량으로 복제한 후 확인했다. 2. PCR PCR은 DNA 중합 효소와 프라이머를 이용해 DNA의 특정 부분을 대량으로, 인공 환경에서 복제하는 기술이다. PCR을 통해 실험에서 활용되는 DNA를 대량으로 복제해 사용할 수 있으므로 PCR 기술은 유전 공학에서 매우 중요하다...2025.01.23
-
[충남대] 분자생물, 생화학 실험 보고서12025.01.281. 대장균 배양 실험에서는 대장균(Escherichia coli, E. coli.)을 이용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대장균은 정온동물의 창자에서 많이 볼 수 있는 박테리아로 단백질 발현에 대해 가장 일반적인 숙주이다. 대장균은 실험실에서 보관과 배양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어 주로 사용하는 원핵생물 모델이며, 자가복제를 하는 DNA 고리인 Plasmid DNA를 가지고 있다. 이는 DNA vector(운반체)로써 유전자 재조합 기술의 중요한 재료이다. 2. 배지 제조 실험에서는 TB(Terrific broth) 배지를 사용하였다. T...2025.01.28
-
그람 염색법에 의한 미생물의 관찰2025.01.271. 그람 염색법 그람 염색법은 박테리아의 세포벽 구조와 화학 반응을 이용하여 박테리아를 염색하는 방법입니다. 그람 양성 박테리아와 그람 음성 박테리아를 구분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박테리아를 분류할 수 있습니다. 그람 염색법의 원리는 일차 염색약, 탈색약, 대조 염색약을 사용하여 박테리아의 세포벽 특성에 따라 다른 색으로 염색되는 것입니다. 2. 그람 양성 박테리아 그람 양성 박테리아는 일차 염색약으로 염색되어 진한 푸른색을 띱니다. 이는 그람 양성 박테리아의 세포벽 구조가 일차 염색약과 화학 반응을 일으켜 염색이 유지되기 때문...2025.01.27
-
개체군의 성장(Population Growth)2025.01.221. 개체군 성장 곡선 미생물의 시간에 따른 개체수 변화를 그래프로 나타낸 성장 곡선은 Lag phase, Exponential(Log) phase, Stationary phase, Death phase의 4단계로 구분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미생물의 doubling time을 계산할 수 있다. 2. 대장균 증식 실험 밤새 키운 대장균을 LB 배지에 넣고 37°C에서 배양하면서 30분 간격으로 흡광도를 측정하여 성장 곡선을 그렸다. 실험 결과 대장균의 doubling time은 36.6분으로 나타났다. 3. 실험 결과 분석 실험 결...2025.0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