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대] 분자생물, 생화학 실험 보고서1
본 내용은
"
[충남대] 분자생물, 생화학 실험 보고서1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12.05
문서 내 토픽
  • 1. 대장균 배양
    실험에서는 대장균(Escherichia coli, E. coli.)을 이용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대장균은 정온동물의 창자에서 많이 볼 수 있는 박테리아로 단백질 발현에 대해 가장 일반적인 숙주이다. 대장균은 실험실에서 보관과 배양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어 주로 사용하는 원핵생물 모델이며, 자가복제를 하는 DNA 고리인 Plasmid DNA를 가지고 있다. 이는 DNA vector(운반체)로써 유전자 재조합 기술의 중요한 재료이다.
  • 2. 배지 제조
    실험에서는 TB(Terrific broth) 배지를 사용하였다. TB 배지는 Tryptone, Yeast extract, Glycerol, KPO4 salt solution을 이용하여 만들어졌다. Tryptone은 유청 단백질인 카세인을 분해하여 단백질 공급원이 되어주고, Yeast extract은 효모로부터 추출되어 미생물이 생장하는데 필요한 여러 가지 영양물질을 함유하여 공급해준다. Glycerol은 나중에 세균을 키울 때 발효과정을 거치지 않게 하기 위해 넣어주고, KPO4 salt solution는 pH를 조정해주기 위한 조정제로 사용하여 배지에 첨가해주었다.
  • 3. 단백질 발현 및 정제
    실험에서는 pETite SUMO IBR5+G in Hicontrol BL21 단백질을 이용하여 단백질 클로닝 발현을 한 뒤 Ni-NTA 방법을 통해 1차 정제한 단백질을 FPLC 방법을 통해 크기에 따라 단백질을 정제하고 Bradford assay로 정량한 뒤 SDS-PAGE통해 발현된 단백질의 AtlBR5 full-length의 분석을 진행하였다.
  • 4. SDS-PAGE 및 단백질 정량
    SDS-PAGE를 통해 발현된 단백질의 분자량을 확인하였고, FPLC를 통해 고유한 상태의 단백질의 분자량을 확인하였다. 또한 Bradford assay를 통해 정제된 단백질의 농도를 정량하였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대장균 배양
    대장균 배양은 생명과학 연구에서 매우 중요한 기술입니다. 대장균은 빠르게 증식하고 유전자 조작이 용이하여 다양한 실험에 활용됩니다. 대장균 배양 시 배지 조성, 온도, pH, 산소 공급 등 여러 요인을 최적화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균주의 생장과 목적 단백질의 발현을 극대화할 수 있습니다. 또한 무균 기술을 철저히 지켜 오염을 방지해야 합니다. 대장균 배양은 생명공학 분야에서 필수적인 기술이며, 연구자들은 이를 숙달하여 다양한 실험에 활용할 수 있어야 합니다.
  • 2. 배지 제조
    배지 제조는 대장균 배양을 위한 필수적인 과정입니다. 배지에는 세포 성장에 필요한 탄소원, 질소원, 무기염류 등이 포함되어야 합니다. 배지 조성은 실험 목적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연구자는 이를 최적화해야 합니다. 배지 제조 시 멸균 과정이 중요하며,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무균 기술을 철저히 지켜야 합니다. 또한 배지의 pH, 삼투압, 용존 산소 등의 물리화학적 특성도 고려해야 합니다. 배지 제조는 대장균 배양의 기반이 되므로, 연구자는 이 과정을 숙지하고 정확히 수행할 수 있어야 합니다.
  • 3. 단백질 발현 및 정제
    단백질 발현 및 정제는 생명공학 연구에서 매우 중요한 기술입니다. 대장균을 이용한 단백질 발현은 빠르고 경제적이며, 다양한 유전자 조작을 통해 목적 단백질의 생산량을 극대화할 수 있습니다. 단백질 정제 과정에서는 크로마토그래피, 원심분리, 전기영동 등의 기술이 활용됩니다. 이를 통해 순수한 단백질을 얻을 수 있으며, 이는 구조 분석, 기능 연구, 치료제 개발 등에 활용됩니다. 단백질 발현 및 정제 기술은 생명공학 분야에서 필수적이며, 연구자는 이를 숙달하여 다양한 실험에 활용할 수 있어야 합니다.
  • 4. SDS-PAGE 및 단백질 정량
    SDS-PAGE와 단백질 정량은 단백질 연구에서 매우 중요한 기술입니다. SDS-PAGE를 통해 단백질의 분자량과 순도를 확인할 수 있으며, 단백질 정량 기술을 통해 단백질의 농도를 정확히 측정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기술은 단백질 발현, 정제, 구조 분석, 기능 연구 등 다양한 실험에 활용됩니다. 연구자는 SDS-PAGE와 단백질 정량 기술을 숙달하여 실험 결과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또한 이 기술들은 생명공학 분야에서 필수적이므로, 연구자는 이를 정확히 수행할 수 있어야 합니다.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