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377개
-
성인간호학실습2 case study 급성 호흡곤란증후군(간호과정 3개)2025.01.291. 급성 호흡곤란증후군 급성 호흡곤란증후군(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ARDS)은 갑자기 심한 호흡곤란, 저산소혈증과 미만성 폐침윤으로 과잉탄산증 없이 나타나는 급성 저산소성 호흡부전 증후군이다. 폐손상은 성인의 다양한 급-만성 질환으로 인해 발생한다. 좌심방 또는 폐모세혈관압의 상승 없이 염증과 폐투과성의 증가를 특징으로 하는 증후군으로 동맥혈 산소분압과 산소흡입농도 비율(PaO2/FiO2), 즉 P/F ratio≤200mmHg인 경우를 말한다. 2. 기계환기 자발적 호흡으로 가스교환이 불...2025.01.29
-
Mode of Mechanical ventilation, 인공호흡기 모드2025.05.141. CMV (Continuous Mandatory Ventilation) CMV는 흡기 시 목표하는 기도내압을 정하여 정해진 흡기 시간에 도달할 때까지 기도내압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환기 모드입니다. 일회 환기량(tidal volume)은 일정하지 않지만, 압력에 의한 폐 손상(barotrauma)을 예방할 수 있어 ARDS 환자에게 유리합니다. 2. VCV (Volume Controlled Ventilation) VCV는 흡기 시 목표하는 일회 환기량을 정하여, 정해진 시간동안 일정한 유량으로 설정된 용량을 전달하는 환기 모드입니...2025.05.14
-
Ventilator의 종류와 기전, 사용 환자의 간호, 합병증2025.01.281. Ventilator의 종류 Ventilator에는 음압 인공호흡기와 양압 인공호흡기가 있다. 음압 인공호흡기는 흉벽 주변에 음압을 적용하여 인공기도가 필요 없이 호기를 보조하는 방식이다. 양압 인공호흡기는 병원에서 많이 사용되며, 흡기 시 압력으로 공기를 폐 안으로 밀어 넣고 호기는 수동적이다. 양압 인공호흡기는 기관내관 삽관이나 기관절개술이 필요하다. 2. Ventilator의 모드와 기전 Ventilator의 주요 모드에는 XCMV(controlled mandatory ventilation), ACMV(assist cont...2025.01.28
-
ICU(중환자실) 실습 전 사전학습 하기 위해 작성한 자료입니다. (기도관리, 호흡 PART)2025.05.051. 기도 유지 관리 위한 ABGA ABGA(동맥혈가스분석, Arterial Blood Gas Analysis) 검사는 신체의 산·염기 균형 및 산소 공급 상태를 파악하기 위한 검사로 동맥혈의 산도, 산소 분압, 이산화탄소 분압, 중탄산이온 비율, 산소포화도를 함께 측정한다. 대사성 산증, 호흡성 산증, 대사성 알칼리증, 호흡성 알칼리증 등 다양한 산-염기 불균형 상태와 그에 따른 증상 및 치료법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2. 인공호흡기 목적, 적응증, 모드 인공호흡기의 목적은 생리적인 호흡을 유지하기 위해 폐를 확장시키고, 호흡 운...2025.05.05
-
중환자실 실습 워드클래스: ventilator, IICP, ABGA 등2025.01.271. 기계환기 기계환기의 종류와 기전, 용량조절환기, 압력조절환기, 압력보조환기, 호기말 양압호흡(PEEP), 지속성 양압호흡법(CPAP) 등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또한 기계환기 관련 합병증과 모니터링 방법, 산소독성 예방 등에 대해 다루고 있습니다. 2. 두개내압 상승 두개내압 상승의 기전과 병태생리, 위험요인, 증상, 진단 및 치료, 간호중재 등을 자세히 설명하고 있습니다. 두개내압 모니터링, 환기유지, 영양공급, 체위관리 등의 간호중재 방법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3. 산염기 균형 동맥혈가스분석(ABGA)의 의미와 해석방법...2025.01.27
-
기관 삽관 및 기계 환기2025.01.141. 호흡 생리학 호흡근의 수축과 이완, 폐의 팽창과 수축, 공기의 흡입과 내쉬기 등 호흡 생리학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2. 호흡 부전 호흡근 피로, 폐 팽창 실패, 기도 폐쇄 등으로 인한 호흡 부전의 원인과 증상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3. 기계 환기 저산소증과 산증을 해결하기 위한 기계 환기의 목표, 준비 사항, 절차 등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1. 호흡 생리학 호흡 생리학은 인체의 가장 기본적이면서도 중요한 기능 중 하나입니다. 호흡은 산소를 공급하고 이산화탄소를 배출하는 과정으로, 우리 몸의 모든 세포가 생명을 ...2025.01.14
-
tracheostomy 기관절개관 간호와 정의2025.01.141. 기관절개 목적 기관에 절개를 하여 상기도를 통하지 않고도 직접 기관을 통해 외부의 공기를 흡입해서 숨을 쉴 수 있도록 하기 위함. 2. 기관절개의 적응증 1) 상기도 혹은 기관 상부의 기도 폐쇄, 2) 기도 분비물의 배출 장애, 3) 지속적인 기계호흡의 필요, 4) 흡인의 방지를 위해 기관 절개 3. 기관절개 절차 이중 내관 기관 절개, 단순 기관절개관, Cuff, Uncuff 등 다양한 기관절개관 종류가 있으며 각각의 특징과 사용 목적이 다름. 4. 기관 절개 간호 목적 환자의 기도 개방성을 유지하며 치료 목적으로 가스 교환...2025.01.14
-
ARDS 병태생리와 case 대학병원 발표 70페이지 marinos the little icu book 참고2025.05.161. ARDS(급성 호흡 곤란 증후군) ARDS(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ARDS)는 ICU 입원의 10%, 전 세계적으로 장기간 기계 환기치료하는 환자의 25%를 차지하는 미만성 염증성 폐 손상을 말한다. ARDS의 특징은 기계 환기, 불용성 저 산소혈증 등이며, 발병기전은 순환하는 호중구의 활성화로 시작된다. ARDS의 선행요인에는 폐렴, 폐 외 패혈증, 흡인 등이 있으며, 대부분 전신 염증 반응을 유발한다. ARDS의 임상적 특징은 방사선 소견상 양측성 폐침윤과 산소화 장애이다. 2. ...2025.05.16
-
인공호흡방법 및 절차에 대해 조사하시오2025.05.051. 인공호흡 방법 및 절차 심폐소생술에서 사용되는 인공호흡 방법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어린아이, 코로 하는 인공호흡, 입과 입의 인공호흡법, 기계환기 등 다양한 인공호흡 방법과 절차를 자세히 다루고 있습니다. 영아와 어린이의 경우 성인과 다른 방법으로 처치해야 하며, 기계환기는 응급상황에서 사용되는 중요한 치료 보조 수단임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1. 인공호흡 방법 및 절차 인공호흡은 심폐소생술의 핵심 요소로, 심정지 환자의 생명을 구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적절한 인공호흡 방법과 절차를 숙지하는 것은 응급 상황에...2025.05.05
-
간호과정보고서2025.01.141. 관류 불균형과 관련된 가스교환 장애 관류 불균형과 관련된 가스교환 장애는 폐포 내 액체 축적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호흡수와 리듬이 변화하며, 호흡음이 감소되거나 기관지 호흡음이 청진될 수 있습니다. 간호 중재로는 객담 배출 격려, 적절한 산소 공급, 체위 유지 및 안정 취하기 등이 있습니다. 2. 비효율적인 호흡양상 비효율적인 호흡양상은 폐포 내 액체 축적으로 인한 환기 부전으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호흡수와 호흡음의 변화, 저산소증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간호 중재로는 호흡 양상 모니터링, ...2025.0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