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Ventilator의 종류와 기전, 사용 환자의 간호, 합병증
본 내용은
"
[A+] Ventilator의 종류와 기전, 사용 환자의 간호, 합병증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12.05
문서 내 토픽
-
1. Ventilator의 종류Ventilator에는 음압 인공호흡기와 양압 인공호흡기가 있다. 음압 인공호흡기는 흉벽 주변에 음압을 적용하여 인공기도가 필요 없이 호기를 보조하는 방식이다. 양압 인공호흡기는 병원에서 많이 사용되며, 흡기 시 압력으로 공기를 폐 안으로 밀어 넣고 호기는 수동적이다. 양압 인공호흡기는 기관내관 삽관이나 기관절개술이 필요하다.
-
2. Ventilator의 모드와 기전Ventilator의 주요 모드에는 XCMV(controlled mandatory ventilation), ACMV(assist controlled mandatory ventilation), SIMV(synchronized intermittent mandatory ventilation), PS(pressure support ventilation), CPAP(continuous positive airway pressure) 등이 있다. 각 모드는 환자의 자발호흡 정도에 따라 기계 환기의 정도를 조절하는 방식이 다르다.
-
3. Ventilator 사용 환자의 간호Ventilator 사용 환자의 간호 목표는 인공호흡기에 대한 환자의 반응을 평가하고 안전하게 적용하며, 합병증을 예방하는 것이다. 주요 간호 활동에는 호흡양상 사정, 기관내관 및 기관절개술 부위 관찰, 인공호흡기 상태 확인, 의사소통 및 수면 지원 등이 포함된다.
-
4. Ventilator 사용 환자의 합병증Ventilator 사용 환자에게 발생할 수 있는 주요 합병증에는 기도 합병증(기관내관 폐쇄), 폐 합병증(ventilator induced lung injury), 폐렴(ventilator associated pneumonia), 심혈관계 합병증, 간 허혈, 위장관계 출혈 등이 있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 적절한 PEEP과 Tidal volume 유지, 손위생, 영양공급, 무균적 흡인 등의 간호중재가 필요하다.
-
1. Ventilator의 종류Ventilator는 환자의 호흡을 보조하거나 대체하는 의료 장비로, 다양한 종류가 있습니다. 크게 기계식 ventilator와 전자식 ventilator로 나뉩니다. 기계식 ventilator는 압축 공기나 산소를 이용하여 환자의 호흡을 보조하는 방식이며, 전자식 ventilator는 전자 제어 시스템을 통해 환자의 호흡을 모니터링하고 보조하는 방식입니다. 또한 ventilator는 사용 목적에 따라 침습적 ventilator와 비침습적 ventilator로 구분됩니다. 침습적 ventilator는 기관 삽관이나 기관 절개술을 통해 환자의 기도에 직접 연결되는 반면, 비침습적 ventilator는 마스크나 코 캐뉼라를 통해 환자의 호흡을 보조합니다. 이처럼 ventilator의 종류는 다양하며, 환자의 상태와 필요에 따라 적절한 ventilator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2. Ventilator의 모드와 기전Ventilator는 다양한 모드와 기전을 가지고 있습니다. 주요 모드로는 volume-controlled mode, pressure-controlled mode, pressure support mode 등이 있습니다. Volume-controlled mode는 일정한 호흡량을 제공하는 방식이며, pressure-controlled mode는 일정한 압력을 제공하는 방식입니다. Pressure support mode는 환자의 자발적인 호흡을 보조하는 방식입니다. 이 외에도 CPAP, PEEP, SIMV 등의 다양한 모드가 있습니다. 이러한 모드들은 환자의 상태와 필요에 따라 선택되며, 각 모드의 기전과 특성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ventilator의 기전은 환자의 호흡 패턴을 모니터링하고, 이에 맞춰 적절한 압력과 호흡량을 제공하는 것입니다. 이를 통해 환자의 호흡을 보조하고, 산소 공급과 이산화탄소 배출을 원활하게 할 수 있습니다.
-
3. Ventilator 사용 환자의 간호Ventilator를 사용하는 환자의 간호는 매우 중요합니다. 먼저 환자의 호흡 상태와 ventilator 작동 상태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해야 합니다. 환자의 호흡 양상, 산소 포화도, 이산화탄소 농도 등을 확인하고, ventilator의 설정 값과 작동 상태를 점검해야 합니다. 또한 환자의 기도 유지와 분비물 관리에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기관 내 흡인, 구강 간호, 체위 변경 등을 통해 기도를 깨끗하게 유지하고 분비물을 제거해야 합니다. 이와 함께 피부 간호, 영양 관리, 감염 예방 등 전반적인 환자 관리가 필요합니다. 환자의 상태와 ventilator 사용 목적에 따라 간호 계획을 수립하고, 다학제 팀과 협력하여 환자 관리를 해나가는 것이 중요합니다.
-
4. Ventilator 사용 환자의 합병증Ventilator를 사용하는 환자에게는 다양한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가장 대표적인 합병증으로는 폐렴, 기도 손상, 기흉, 폐 손상 등이 있습니다. 폐렴은 환자의 면역력 저하와 기도 내 세균 증식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으며, 기도 손상은 기관 삽관이나 기관 절개술로 인한 합병증입니다. 기흉은 ventilator의 압력으로 인해 폐 조직이 손상되어 발생할 수 있으며, 폐 손상은 과도한 호흡량이나 압력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 외에도 인공 기도 관련 합병증, 근육 약화, 혈전 형성, 영양 불량 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환자 상태 모니터링, 적절한 ventilator 설정, 감염 관리, 조기 이동 및 재활 등의 노력이 필요합니다. 또한 합병증 발생 시 신속한 대응과 관리가 중요합니다.
-
성인간호학실습 과제 ventilator 종류와 기전, 간호, 합병증, ABGA 의미, 산염기 균형1. Ventilator의 종류와 기전 압력 조절 인공호흡기(pressure-cycled), 시간조절 인공호흡기(time-cycled), 용적조절 인공호흡기(volume-cycled)의 종류와 각각의 기전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또한 CMV(controlled mandatory ventilation), ACV(assisted controlled vent...2025.01.29 · 의학/약학
-
여성건강간호학 실습 사전학습과제1. 호흡기계의 구조와 기능 호흡기계의 구조와 기능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고 있습니다. 상부기도인 코와 인두, 후두의 구조와 기능을 자세히 다루고 있으며, 하부기도인 기관, 기관지, 폐의 구조와 기능도 자세히 설명하고 있습니다. 또한 호흡생리, 호흡조절, 호흡기계 방어기전 등 호흡기계의 전반적인 기능에 대해 자세히 다루고 있습니다. 2. 심혈관계 구조와 기능...2025.05.16 · 의학/약학
-
성인간호학실습 사전학습 보고서_ICU 중환자실 사전학습 보고서1. 호흡기계 구조와 기능 호흡기계는 상부기도와 하부기도로 나뉘며, 조직에 산소를 공급하고, 대사산물의 노폐물인 이산화탄소 제거와 산-염기 균형, 발성, 후각, 체액균형, 체온조절 등의 역할을 한다. 상부기도에는 비강, 부비동, 인두, 후두가 있으며, 하부기도에는 기관, 기관지, 세기관지, 폐가 있다. 호흡기계의 기능에는 호흡, 음성과 기타 발성, 냄새 감...2025.01.09 · 의학/약학
-
성인간호학실습 과제 ventilator 종류와 기전, 간호, 합병증, ABGA 의미, 산염기 균형 6페이지
성인간호학 실습 Ward Class-Ventilator의 종류와 기전, 사용 환자의 간호, 합병증-ABGA의 의미와 산 염기 균형목차1. ventilator 종류와 기전2. ventilator 사용환자의 간호3. ventilator 합병증4. ABGA 의미와 산 염기 균형과목명성인간호학 실습주차3,4주차담당교수님김** 교수님학번/학년/반/이름*****/4학년/*반 김**제출일2022년 09월 15일1. Ventilator의 종류와 기전?압력 조절 인공호흡기(pressure-cycled)-인공호흡기는 미리 설정된 압력에 도달하면 흡기...2024.12.18· 6페이지 -
[ICU 워드클라스] - Ventilator의 종류와 기전, 사용환자의 간호와 합병증 19페이지
ICU 워드클라스 1. ventricular의 종류와 기전, 사용환자의 간호와 합병증1. Ventilator의 정의와 적응증 1) 정의 인공호흡기. 환자의 호흡이 유지되지 않아서 폐에서 산소교환이 적절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때 호흡부전이 치료되는 동안 인위적으로 호흡기능을 향상시키는 방법 2) 적응증 - 저산소증 - 장기간 스스로 환기를 유지할 수 없는 경우 - 산염기 불균형 교정 - 다른 산소 보조기구를 통한 호흡만으로 O2, CO2의 정상수치를 유지할 수 없는 경우 - 폐질환이 있는 경우2. Ventilator의 종류 1) 음압 ...2021.12.08· 19페이지 -
중환자실 사전학습 21페이지
1. Glasgow Coma Scale에 대해 설명하고 의식수준의 단계를 정리하시오.◆ GCS (Glasgow coma scale): 의식손상 정도를 사정하는 빠르고 실제적이며 표준화된 신경학적 도구: ①눈뜨기(개안반응), ②언어반응, ③운동반응으로 구성: 15점은 정상(가장 높은 점수), 7점은 심한 혼수상태를 의미Glasgow coma scale (글라스고 혼수 척도)행동점수개안반응(eye opening)*C: 부종으로눈 감김자발적으로 눈을 뜬다. (spontaneous)4불러서 눈을 뜬다. (to speech)3통증자극에 눈을...2020.12.15· 21페이지 -
[중환자실 실습 워드클래스] ventilator, IICP, ABGA 등 20페이지
ventilator 의 종류와 기전 용량조절환기 : 기도압력에 상관 없이 미리 정한 일정한 환기량이 폐로 전달되면 흡기가 완료되는 기계적 환기 방식 . 폐탄성이 저하되고 기도 저항이 커서 정상 폐량을 유지할 수 없는 환자에게 적용 . 강제환기와 보조환기가 있다 . 지속적 필수환기 (CMV) : 무호흡이거나 흡기 노력이 미약한 경우 , 호흡근육이 마비된 환자에게 호흡을 강제로 조절하는 것으로 인공호흡기에 호흡수 , 흡기 유속 , 흡기 호기율 1 회 호흡량 등을 설정한 후 시행 . 보조 필수 조절환기 (ACV) : 자발적으로 호흡을 유...2024.11.06· 20페이지 -
VENTILATOR 종류와 기전, 사용환자의 간호, 합병증 26페이지
성인간호학실습 4 Ventilator Glasgow Coma Scale ABGAVENTILATOR 종류와 기전 사용 환자의 간호 합병증Ventilator 기전 환자의 호흡기능이 유지되지 않아 폐에서의 산소교환이 적절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때 , 호흡부전이 치료되는 동안 혈액 내의 이산화탄소와 산소 압력이 유지 될 수 있도록 기계를 동원하여 인위적으로 호흡기능을 향상시키는 방법 → 생리적인 호흡을 유지하기 위해 양압으로 폐를 확장시키고 Ventilation 과 oxygenation 의 효율성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일회 호흡량과 흡기 시 ...2019.02.18· 26페이지